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즈마 스프레이 (LaSr)(CrCo)O<sub>3</sub> 코팅된 STS-430 합금의 고온 산화 거동 및 전기적 특성

        이충환,임경태,백경호,Lee, Chung-Hwan,Lim, Kyeong-Tae,Baik, Kyeong-Ho 한국분말야금학회 200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6 No.3

        Fe-Cr steels are the most promising candidate for interconnect in solid oxide fuel cells. In this study, an effective, dense and well adherent (LaSr)(CrCo)$O_3$ [LSCC] coating layer was produced onto 430 stainless steel (STS-430) by atmospheric plasma spraying and the oxidation behavior as well as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LSCC coated STS-430 were investigated. A significant oxidation of pristine STS-430 occurred at $800^{\circ}C$ in air environment, leading to the formation of $Cr_2O_3$ and $FeCr_2O_4$ scale layer up to ${\sim}7{\mu}m$ after 1200h, and consequently increased an area specific resistance of $330\;m{\Omega}{\cdot}cm^2$. Although the plasma sprayed LSCC coating contained the characteristic pore network, the coated samples presented apparent advantages in reducing oxidation growth of STS-430, resulting a decrease in oxide scale thickness of ${\sim}1{\mu}m$ at $800^{\circ}C$ after 1200h. The area specific resistance of the LSCC coated STS-430 was much reduced to ${\sim}7\;m{\Omega}{\cdot}cm^2$ after exposure at $800^{\circ}C$ for 1200h, compared to that of the pristine STS-403.

      • SCOPUSKCI등재

        Terrein의 etoposide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 저해효과

        이충환,이호재,김진희,김현아,고영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0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2

        미생물로부터 U937 세포주의 etoposide에 유발된 apoptosis 저해물질을 탐색한 결과 곰팡이 F80834 균주를 선발하였다.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저해물질을 분리한 후 UV, EIMS, ^1H-NMR, ^13C-NMR, DEPT 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terrein으로 동정되었다. 이 물질은 IC_50 20 ㎍/㎖의 농도로 U937 세포주의 etoposide에 의한 caspase 3 유도를 저해하였다. Etoposide에 의한 세포의 사멸도 IC_50 10 ㎍/㎖의 농도로 저해하였으며, 동일한 농도 조건에서 단독 처리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the substances inhibiting apoptosis of U937 human leukemia cell induced by etoposide, a fungal strain F80834 producing a high level of inhibitor was selected. The inhibitory substance was purified and identified as terrein by spectroscopic methods of UV, EI-MS, ^1H-NMR, ^13C-NMR and DEPT. Terrein showed inhibitory activity of caspase 3, a major protease of apoptosis cascade, with an IC_50 value of 20 ㎍/㎖ after 7 hrs of treatment. It also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cell death with an IC_50 value of 10 ㎍/㎖ on U937 cells induced by etoposide after 24 hrs of treatment, but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at the same condition without etoposide.

      • SCOPUSKCI등재

        Trichoderma harzianum이 생산하는 melanin 생성 저해물질 MR304-1

        이충환,정명철,이호재,이계호,고영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3 No.6

        미생물 배양액으로부터 melanin 생합성 저해물질을 탐색하던 중 mushroom tyrosinase를 저해하며 Stretomyces bikiniensis의 melanin 생합성을 저해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그 균주가 생산하는 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한 후 구조를 결정하였고 melanin 생합성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MR304 균주는 형태적,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 Trichoderma harzianum으로 분류되었다. 균 배양액으로부터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ethylacetate extraction,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 등을 통하여 활성물질 MR304-1을 정제한 후 UV, ESIMS, ^1H-NMR, ^13C-NMR, NOE, HMQC, HMBC 등의 기기분석을 한 결과, 활성물질 MR304-1의 구조는 3-(1,5-dihydroxy-3-isocyanocyclopent-(E)-3-enyl)prop-2-enoate로 동정되었다. MR304-1의 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IC_50 값은 0.25㎍/ml이었고, S. bikiniensis의 melanin 생성에 대해서는 paper disc 당 30㎍ 농도에서 1.5 cm 지름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또한 B16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05 ㎍/ml이었다. During the screening of inhibitors of melanin biosynthesis from microbial secondary metabolites, a fungal strain MR304 which was capable of producing high level of an inhibitor was selected. Based on taxonomic studies, this fungus could be classified as Trichoderma harzianum. The active compound (MR304-1) was purified from culture broth by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ethylacetate extraction, Sephadex LH_20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inhibitor was identified as 3-(1,5-dihydroxy-3-isocyanocyclopent-(E)-3-enyl)prop-2-enoate by spectroscopic methods of UV, ESIMS, ^1H-NMR, ^13C-NMR, NOE, HMQC and HMBC. MR304-1 showed strong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 of 0.25 ㎍/ml. It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with 15 mm inhibition zone at 30 ㎍/paper disc in Streptomyces bikiniensis, a bacterium used as an indicator organism in this work. It also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in B16 melanoma cells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0.05 ㎍/ml.

      • SCOPUSKCI등재

        Streptomyces sp. 2074이 생산하는 Tyrosinase-Inhibiting Isoflavonoids

        이충환,전효곤,서영배,고영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1 No.2

        Streptomyces sp. 20747의 배양 상등액에서 tyrosinase를 저해하는 세개의 isoflavonoid 물질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구조는 UV, EI-MS, ^1H-NMR, ^(13)C-NMR 분석결과 daidzein, daidzein 7-rhamnoside 그리고 genistein 7-rhamnoside로 결정되었다. 이 물질들은 mushroom tyrosinase를 기질과 경쟁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각각 14, 19, 16 ㎍/ ㎖의 IC_(50) 값을 나타내었고, Streptomyces bikiniensis의 melanin 생성은 억제하지 않았다. Soybean meal 뿐만 아니고 bacto-peptone도 tyrosinase를 저해하는 isoflavonoid 생산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soybean meal이 Streptomyces sp. 20747이 생산하는 isoflavonoids의 기원물질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Three isoflavonoids having tyrosinase-inhibiting activity were isolated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Streptomyces sp. 20747.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UV, EI-MS, ^1H-NMR, ^(13)CNMR to be daidzein, daidzein 7-rhamnoside, and genistein 7-rhamnoside, which were competitive with substrate and had IC_50 value of 14,19, and 16 ㎍/㎖, respectively to mushroom tyrosinase and did not inhibit melanin production of Streptomyces bikiniensis. Soybean meal as well as peptone were found to be a good nitrogen source for tyrosinase-inhibiting isoflavonoids production, susgesting that soybean meal is not the origin of tyrosinase inhibiting isoflavonoids formation in Streptomyces sp. 20747 strain.

      • KCI등재

        지의의 『보살계의소』의 계체론에 대하여

        이충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0 불교학 리뷰 Vol.27 No.-

        I have confirmed that the Pusajie-yishu (菩薩戒義疏) by Zhiyi (智顗, 538- 597) is indeed the oldest of the Commentaries on Fanwang-jing (Brahmāʼs Net Sutra, 梵網經). Zhiyi uses a unique structure of the Essence of Precepts (戒體), called ‘The Non-apparent Form of a sacred Non-indicative Form’, in the Yishu,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ne shown in his previous books. The Essence of Precepts, in the Yishu, has a unique structure in which its presence or abse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wo Teachings, namely Expedient and True (權實二敎). The Yishu does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Essence of Precepts as the True Teaching, but instead considers it to be the Expedient Teaching. In other words, although the Mental Dharma (心法) represents the Essence of Precepts as the True Teaching, the Essence of Precepts is actually a structure that uses the Form Dharma (色法) as the Expedient Teaching for distributing the Fanwang-jing. And this is a temporary Form Dharma that is different from the Form Dharma of the Lesser Vehicle (小乘). This means that to find the Buddha-nature (佛性) of the Mental Dharma, and attain the Essence of Precepts of the Marvelous Contemplation of the Middle Way, can only be accomplished through ascetic practices. 대승보살계를 대표하는 경전인 <범망경>의 가장 오래된 주석서인 천태지의의 <보살계의소>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그 중에서도 계체론에 대해서 <범망경>의 계체를 색법계체로 보고 있다고 하여 지의 이후의 주석가인 원효, 법장, 태현 등이 심법계체로 주석한 것과는 다른 계체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지의의 색법계체설은 <의소>의 삼중현의에서 “계체란,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대로이며, 일어난다면 성 무작의 가색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는 것을 근거로 한다. 지의는 여기서 ‘성 무작의 가색’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범망경>의 계체를 색법계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종래의 천태학에서는 계체를 심법계체로 설명하고있는 것에 비해, <의소>에서만 색법계체로 설명하고 있다. <의소>와 다른 저술 간의계체론의 차이에 대해서 많은 선학들이 지의의 저술과 사상의 분석을 통해 다양한 해석을 하고 있다. 선학들의 연구에서 공통되고 있는 것은 <의소>의 계체론을 단순한 색법계체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뒤에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의소>에서 설해지고 있는 계체는 ‘성 무작의 가색’으로, 소승의 색법계체와는 다른 대승 독자의 색법계체이다. 따라서 종래의 색법계체의 해석이 아닌 보다 다각도적인 시선으로 <의소>의 계체론을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범망경>이 불성을 계체로 하는 불성계라는 점에 중점을두고, 지의의 불성관인 삼인불성을 통해 <의소>에 설해진 ‘성무작가색’의 계체론이 대승독자의 계체론이라는 것을 확인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