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도전의 불교비판과 불교계의 대응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창안(李昌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본고는 조선의 숭유억불정책의 사상적 체계를 세운 정도전의 불교비판과 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에 대하여 사상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정도전이『불씨잡변』과「심문천답(心問天答)」 및「심기리편(心氣理篇)」을 통하여 비판한 핵심쟁점을 간추리고, 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 논리가 어떠했는지를 규명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정도전이 불교를 비판한 영역은 크게 불교의 심성론, 윤회인과론, 사회윤리적인 면 그리고 신앙적인 면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이러한 정도전의 불교관이 형성되게 된 정치사회적 배경, 사상적 배경 및 신진사대부들의 불교관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도전의 각각의 불교비판에 대하여 함허 기화(涵虛己和)의『현정론(顯正論)』 및 작자미상의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 등에서 구체적인 불교계의 대응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정도전의 불교비판의 타당성 여부와 함께, 그의 불교비판이 유학계와 불교계에 끼친 영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정도전이 불교비판이 고려와 조선의 사상사에서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냈으며, 그 공(功)과 과(過)가 무엇인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considers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formulated by the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in Joseon dynasty and Buddhist community’s response to it from the view of thought. Above all, the writer summarized Jeongdojeon’s central issues through his works, Bulssi Japbyeon(佛氏雜辨) Simmuncheondap(心問天答) and Simgiripyeon(心氣理篇) , after then inquired critically into Buddhist Community’s response against the issues.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is divided into four sides,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causationism of reincarnation, social ethics, and belief on Buddhism. First, the writer examined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nd Neo-Confucianists’ influence of viewpoint of Buddhism forming Jeongdojeon’s viewpoint of Buddhism. And also the writer looked into the Buddhist community’s concrete response through Hamheo-kihwa’s Hyeonjeongnon(顯正論) and Yuseokjileuiron(儒釋質疑論) of unknown authorship, etc. against Jeongdojeon’s each criticism of Buddhism. The writer reviewed the validity of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through this consideration and the influence of his criticism of Buddhism on Confucian community and Buddhist community. In addition, the writer tried to reveal the change by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in the history of thought during Koryeo and Joseon dynasty and its merits and demerits.

      • KCI등재

        조선 초 김시습의 시대인식과 儒佛融合

        이창안(李昌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1 No.-

        조선 조 유불융합에 대한 담론은 성리학자들의 억불숭유정책에 대한 대항 논리로서 이루어졌으며, 담론의 주체는 주로 불교계의 고승들이었다. 대표적인 배불론자인 정도전이『 불씨잡변』을 통하여 배불의 논리를 세운 이후, 불교계에서 이에 대한 유불융합의 논리를 제시한 대표적인 인물은 함허 기화와 청허 휴정이다. 그리고 기화와 휴정의 사이에 유·불 사상의 정점에 서 있던 인물이 바로 설잠 김시습이라 할 수 있다. 계유정난을 통하여 단종을 폐위하고 등극한 세조에 반대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었던 김시습은 출가와 환속을 하고 다시 출가자의 몸으로 일생을 마쳤다. 그는 파란만장한 삶을 통하여 당시 부정한 현실과 타협하지 않았지만 충과 효 및 의리의 정신으로 일관하였으며, 승려의 신분으로 살면서 한국불교의 뛰어난 저술을 남겨 놓았다. 그는 유학과 불교를 넘나들면서 두 사상의 정수를 몸소 체득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시습의 생애와 그가 당시 사회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그의 저술에 나타난 유불융합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김시습의 유불융합의 특징과 조선전기 사상계에 미친 영향과 의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The discourse on the 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Joseon dynasty was made as a counter-argument to the doctrine of the Confucianists" policy of pro-Confucianism and anti-Buddhism, and the main subjects of the discourse were Buddhist monks. Since Jeong Do-jeon, a leading anti-Buddhist, established the logic of anti-Buddhism through 『Bulssijapbeon(佛氏雜辨)』, Hamheo Gihwa and Cheongheo Hyujeong, the representative figures in the Buddhist community, suggested the logic of the 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it was Seoljam Kim Sinim who was at the peak of thought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between Gihwa and Hyujeong. Kim Si-sim, one of the living six retainers who opposed to King Danjong"s dethronement by king Sejo through the Gyeyujeongnan, became a Buddhist monk and returned to the world and ended his life as a monk again. Through his turbulent life, he did not compromise with the dishonest reality, but continued with the spirit of loyalty, filial piety and righteousness, and lived as a monk leaving remarkable works of Korean Buddhism. He can be said to have mastered the essence of both thoughts by frequently cross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is paper, the writer looked at the way how Kim Si-seup had understood the society at that time, and also details and features of the 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focusing on his writings. Through these researches, the writ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Kim Si-seup’s 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it’s influence on the world of though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s meaning.

      • KCI등재

        『증도가(證道歌)』의 선사상(禪思想) 고찰

        이창안(李昌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영가현각(永嘉玄覺)은 선종에서 ‘일숙각(一宿覺)’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증도가(證道歌)』는 범승(梵僧)에 의하여 서역(西域)으로 번역되어 『증도경(證道經)』으로 추앙받았으며, 그에 따라 역대로『육조단경(六祖壇經)』과 함께 선종의 ‘이부경전(二部經典)’으로 평가된다. 또한『증도가』는 고려시대에 이미 전래되어 한국선(韓國禪)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래 현각은 천태종에 속한 승려로서 어려서부터 다양한 경론과 지관(止觀)수행에 전념하였지만, 육조 혜능(慧能)을 참알하면서 깨달음을 열었다. 그러한 까닭으로 『증도가』에는 남종선(南宗禪)에서 제창한 조사선(祖師禪)과 상당히 동일한 선사상(禪思想)을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증도가』의 선사상을 ‘불성(佛性)과 돈오(頓悟)’, ‘무증무수(無證無修)의 수증론(修證論)’, ‘경계(警戒)와 질책(叱責)’ 등 세 부분에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증도가』에서 제시하는 ‘불성’은 천태학의 성구론(性具論)의 사상적 경향도 보이고 있지만, 철저하게 『육조단경』에서 제창하는 ‘자성(自性)’으로서의 불성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론도 『단경』과 마찬가지로 ‘돈오’를 강조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자성’으로서의 ‘불성’에 도달하는 방법으로서 ‘돈오’의 제시는 필연적으로 수증론에 있어서 ‘무수무증’으로 귀결되는데, 이 또한『육조단경』과 일치한다. 한편『증도가』에서는 수행에 있어서 다양한 ‘경계’와 ‘질책’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바로 아직 깨우치지 못한 학인들을 위하여 ‘증도(證道)’의 경지를 결택하고자 한 것이라고 하겠다. Yongjiaxuanjue(永嘉玄覺) is well renowned for ‘Yixiujue(一宿覺)’ in Seon school. His Zhengdaoge (證道歌), A song of enlightenment, had been translated by Sanskrit monk into the Western Regions and revered as Zhengdaojing (證道經). Accordingly, that scripture is highly regarded as one of ‘two major scriptures(二部經典)’ with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六祖壇經)’ in Seon school for generations. Furthermore, Zhengdaoge had been imported in Koryeo era and had a profound effect on Korean Seon. Originally xuanjue(玄覺), a monk in the Cheontae Buddhist order, had devoted himself to various Buddhist scriptures, commentaries and practice with calmness and insight. But he enlightened since he had met Huineng(慧能), the sixth great Seon master. Therefore Seon thought of Zhengdaoge is very similar to Patriarch Seon(祖師禪) advocated by Southern school Seon(南宗禪). So this paper inquires into Seon thought of Zhengdaoge within three parts, ‘Buddha nature(佛性) and sudden enlightenment’, ‘the theory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with no enlightenment and no practice’ and ‘guarding and berating(警戒叱責)’. The ‘Buddha nature(佛性)’ in Zhengdaoge showed a tendency of the theory of inborn nature with good and evil in T’ient’ai Teaching(天台學). But the ‘Buddha nature’ corresponds with the ‘Self-nature’ advocated thoroughly in ‘Platform Sūtra(六祖壇經)’. And also the methodology on the enlightenment is emphasized on ‘sudden enlightenment’ like ‘Platform Sūtra(六祖壇經)’. The suggestion of ‘sudden enlightenment’ as a method to reach ‘Buddha nature’, the ‘Self-nature’, is concluded in ‘the theory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with no enlightenment and no practice’. This point is also coincided with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 On the other hand, the part of practice in Zhengdaoge, showed the various ‘guarding and berating(警戒叱責)’, is to select the stage of ‘enlightenment’ for the living things.

      • KCI등재

        목회자의 선교활동 강화를 위한 방향 모색 :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설교 스피치 유형이 신도들의 종교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창안 ( Lee Chang An ),백승대 ( Baek Seung Dae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6 No.-

        이 연구는 목회자의 설교 스피치 유형이 신도들의 종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냄으로써 신도들의 종교성을 고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설교 스피치 유형을 모색하고 나아가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먼저 신도들이 평가한 목회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등에 대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목회자의 설교 스피치 유형을 분류하였고, 이어서 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목회자의 설교 스피치 유형이 신도의 종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유형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따라 설교 스피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라는 연구가설에 따라 목회자의 설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회자의 설교 스피치 유형은 `적극적 전 문·신뢰-협력형`과 `소극적 비전문·비신뢰-통제형`을 포함하여 총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목회자의 8가지 설교 스피치 유형 가운데 `적극적 전문·신뢰-협력형`이 신도 들의 종교성을 고양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유형으로 확인된 반면, `소극적 비전문·비신뢰-통제형`은 신도들의 종교성을 고양하는데 가장 도움이 안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목회자의 설교 스피치 방안을 시사해 주고 있다. 즉 교회에 대한 사회적 신뢰로 이어 질 수 있는 신도들의 종교성을 고양하기 위해서 목회자는 `적극적 전문·신뢰-협력형`의 설교 스피치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 회자는 신도들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설교의 내용과 관련된 신학적 지식 측면에서 전문가적 면 모를 보여주어야 한다. 동시에 신도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그 들의 상황과 심정에 부합하는 설교를 행해야 한다. 그와 같은 설교 스피치야말로 협력형의 설교 스피치가 될 것이다. 아울러 목회자 는 설교의 내용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제스추어와 같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lergyman`s preaching speech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and to explain the rel ationships between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 and his believers` religios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Korean Christian church. In other words, through empirical study on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 and his believers` rel igiosity, this study tried to find more effective preaching speech types that can enhance Korean Christians` religiosity. This study categorized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of clergyman`s communication types and nonverbal communicati on factors which are being used in his preaching activity. And through multi-variance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earch data of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s and his believers` religiosity, the study verified the causal relationsh ips between christian clergyman`s preaching speech types and his members` religiosit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of clergyman`s communication type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his preaching speech types could be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including `active·professi onal·reliable·cooperative type` and `passive·non-professional·non-reliable·control type`. Second, `active·professional·reliable·cooperative type` of eight preaching speech types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insp iring Korean Christians` religiosity, while `passive·non-professio nal·non-reliable·control type` proved to be the most ineffective.

      • KCI등재

        난소 임신 2례

        창안(CA Kim),김대연(DY Kim),이동수(DS Lee),박승보(SB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2

        본 증례는 Spiegelber`s criteria에 충족한 난소임신 2례였으며, 이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wo cases of ovarian pregnancy, which have Spigelbergs criteria for a primary ovarian pregnancy, ar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가속도 부하 환경과 저압 저산소 환경의 쥐의 간에 대한 효과

        창안 ( Seol Chang Ahn ),정수영 ( Chung Soo Young ),설진곤 ( Seol Jin Gon ) 국군의무사령부 2010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1 No.1

        Objectives: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hypergravity and hypobaric hypoxia may alter the homeostasis of the liver. We tried to find out if there are some kinds of injuries in the rat liver after the exposure to the chronic intermittent hypobaric hypoxia and/or hypergravity. Methods : We used male Sprague-Dawley rats, which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C, G, H and G+H. Group C was the control group, and group G was exposed only to the hypergravity of 10 G for 10 minutes daily. Group H was exposed only to the hypobaric hypoxia of altitude of 25,000 feet for 1 hour daily. Group G+H was first exposed to the hypergravity and was next exposed to the hypobaric hypoxia daily. The exposure to the extreme conditions was continued for 15 days. After the exposure we checked liver function tests and did the pathologic analysis of the liver. Results: Serum AST and ALT levels in group H and G+H were lower than in group C. Serum total protein (TP) and albumin levels in group G and G+H were higher than in group C. In the pathologic analysis of liver, we found centrilobular necrosis in group G, H and G+H and hyperplastic change of bile ducts in group H and G+H. Conclusions: Chronic intermittent hypobaric hypoxia decreased serum AST and ALT levels and chronic intermittent hypergravity increased serum TP and albumin levels in the rat. The sequence of the pathologic significance may be group C << G < H < G+H.

      • KCI등재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선사상과 임제종의 관계

        이창안 ( Lee Chang-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1650년 가까이의 긴 역사를 지닌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근·현대 한국불교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다.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의 탄생과 근대 한국불교학의 탄생과정에 있어서 종조논쟁과 한국불교정체성의 확립은 가장 중요한 과제였고 그 과정에 도의국사와 원효 그리고 보조 지눌과 태고 보우 등이 크게 부각되었다. 그런데 현재 한국불교조계종과 대한불교태고종은 선과 교의 양종이 통합된 통불교의 성격을 띠고 있고, 승려들 대부분은 17세기에 확립된 ``임제-태고 법통설``에 의하여 청허 휴정과 부휴 선수의 법맥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불교의 정체성 문제는 청허 휴정 및 그의 선교관과 선사상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다음의 네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한국불교에 있어서 휴정이 차지하는 위치는 실질적인 중흥조에 해당함을 밝혔다. 둘째, 휴정의 선사상은 조선 중기 억불상황과 선종과 교종이 통합되어진 상황 속에서 조사선을 근본으로 하면서도 교종의 사상을 포용하고, 나아가 유교와 도교 간에 화해와 조화를 시도하며, 호국불교의 형태를 띠면서도 정치와는 거리를 두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휴정은 지눌이 규봉 종밀의 영향 하에 초기 선종의 배경 하에 자신의 선사상을 전개한 것과는 다르게, 선종이 크게 활약한 5가 7종을 배경으로 하여 선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휴정은 혜능과 마조와 임제를 잇는 임제종의 종지종풍이 선종의 정통이며, 자신이 그것을 계승하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지만 기타의 종파의 선사상 또한 수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휴정의 선사상이 지닌 현대적 의의는 무엇이며, 그것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With a long history, closely 1650 years, Korean Buddhism still contains some identity problems which are dealing one of the biggest problem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n 1941, when was recorded as the birth of modern Buddhsim in korea, and the birth of Choseo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argument about the Buddhist founder and establishments of Korean Buddhism`s identity are most important problems to solve. A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Buddhism, many Buddhist masters such as Doeui, Wonhyo, Bojo-jinul and Taego-bowu, were largely highlighted in the fields. However, the present features of Korean Buddhism, Jokye order and Taego order, were evolved as the unified forms of Zen Buddhism and non-Zen Buddhism. Also most of the modern Buddhist monks in Korea, they accede the religious tradition of Cheongheo-huejeong and Buhyu-seonsu on the ground of the theory of Linji-Taego`s religious tradition settled in 17th century. According to those features, the identity problems of present Korean Buddhism should find the answer with Cheongheo-hyujung`s viewpoint on Zen and non-Zen and his Zen thought. This article ranged over four problems with above-mentioned concept. First, the master Hyujeong`s occupied position was the substantial founder in Korean Buddhism, Second, Huejeong`s Zen thought had been developed under mid-Choson dynasty`s anti-buddhism situation and the conditions of Zen and non-Zen`s unified period. His Zen thought is mainly rooted in Zushi-chan(祖師禪) but also embraced non-Zen Buddhism, furthermore, it shaped as the form of the patriotic Buddhism, but also had distance with country`s political matter. Third, compared to master Jinul, who were developed Zen thought under the Guifeng-zongmi(圭峰宗密)`s influence, Huejeong, in contrast, developed his Zen thought with the back ground of the five family seven sects, when Zen was big succeed. Huejeong had clearly shown the succession of Linji school`s tradition, which was descended from Huineng(慧能), Mazu(馬組) and Linji(臨濟), but he also clarified that he accepted other denomination`s Zen thoughts. Lastly, this article examined what is the contemporary meaning of Hue jeong`s Zen thought, and what is lesson for modern people.

      • KCI등재

        백파 긍선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

        이창안 ( Chang-an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고는 『선문수경』에 나타난 백파 긍선의 삼종선에 대한 문제에서 출발한다. 백파는선(禪)을 조사선, 여래선, 의리선의 셋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조사선에 임제종과 운문종을 배대하고, 여래선에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을 배대하고 있으며, 의리선에 화엄을 배대하고 있다. 그런데 조사선과 여래선에 선종 5가를 각각 배대한 백파의 관점에는 청허 휴정 이후 조선후기 불교계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이 집약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백파의 선종 5가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목적 아래 다음의 세 가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백파의 삼종선 사상은 어떠한 목적에서 출현하였으며, 그 사상적 연원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핵심은 임제의 3구를 통하여 선의 문구(文句)를 판별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백파가 조사선과 여래선을 구별한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임제종과 운문종이 조사선으로 분류된 특징은 무엇이고, 위앙종과 법안종 및 조동종이 여래선으로 분류된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백파가 선종 5가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던 내용에 대한 특징과 한계 및 그 의의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백파의 인식은 조선후기 선종의 청허계와 부휴계 문파들의 공통된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것으로서, 이는 선종 5가의 역사적 사실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지만 조선후기 선사상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는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paper starts on the problem of “Baekpa-Geungseon(白坡亘璇, 1767~1852)’s Three Kinds of Meditations(三種禪)” in the book,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禪文手鏡)』. Baekpa divided Zen into three kinds of meditations, Patriach-Meditation(祖師禪), Tathagata-Meditation(如來禪), and Principle-Meditation(義理禪). Among these meditations, he matched Patriach-Meditation into Linji school(臨濟宗) and Yunmen school(雲門宗), Tathagata-Meditation into Weiyang school(위仰宗), Fayan school(法眼宗) and Caodong school(曹洞宗), and Principle-Meditation into Huayan school (華嚴宗). By the way, in Baekpa’s viewpoint, the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in the late Choseon Buddhism world after Cheongheo-Hwujeong had been summar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Choseon Zen Buddhism through Baekpa’s understanding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So I handled the next three problems under the purpose. First, I tried to inquire the reason why Baekpa’s Three Kinds of Meditations had been appeared and the source and characteristics in his thought. The point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istinct the Zen phrase through Linji’s three phrases(臨濟三句). Secondly, studied the standards for the Baekpa’s distinction of the Patriach-Meditation from the Tathagata-Meditation. And then I tr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of meditation. Thirdly, I tried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the limit and the meaning of Baekpa’s understanding of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His understanding speaks for the common recognition of the division of Cheongheo’s line and Buhyu’s line in the late Joseon Zen Buddhism. It is a little far from historical fact of the five Zen schools of Buddhism but it gives u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understand Zen Buddhism in the late Joseon.

      • KCI등재

        송대(宋代) 설숭(契嵩)의 유불융합(儒佛融合)

        이창안 ( Lee Chang-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본고에서는 송(宋) 초기에 활동하였던 설숭(契嵩; 1007~1072)의 사상 가운데 유불융합과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였다. 송대는 당(唐) 중기에 형성된 조사선(祖師禪)이 가장 활발하게 유행되었던 시기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송을 건국한 태조로부터 유학을 중시하여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까닭에 상대적으로 불교, 특히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조사선이 위축되었으며, 심지어 `폐불(廢佛)`의 주장도 출현하였던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설숭은 한편으로는 `유불융합`의 사상적 제시를 하여 유학자들의 비판에 대응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사선의 선맥(禪脈)을 정리하여 선종의 정통성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설숭의 노력으로 말미암아 유학자들의 불교비판이 상당히 중지되었고, 또한 선종의 다시 부흥하는 계기를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설숭의 `유불융합` 사상은 그의 저술을 모은 『심진문집(?津文集)』 19권에 잘 나타나있지만, 여기에는 다양한 주제로 방대하게 유불관계를 논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진문집』 가운데 권1~4에 실린 『보교편(輔敎編)』 상, 중, 하의 3권으로 한정하여 `유불융합`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설숭은 유교의 핵심을 `중용(中庸)`으로 파악하고, 불교의 핵심을 『단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묘한 마음”으로 규정하여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제창하고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효(孝)`를 설정하여 불교의 `오계(五戒)`, `십선(十善)`이 유교의 `오상(五常)`과 `인의(仁義)`와 조금의 차별도 없음을 논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역시 불교와 유교는 `세간`과 `출세간`의 차별이 또한 나타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그러므로 세상을 다스림에 유교가 없어선 안 될 것이요, 출세(出世)를 다스림에 또한 불교가 없어선 안 될 것이다.”라고 결론내리고 있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儒佛融合) among Qisong(契嵩; 1007~1072)`s thought in the early Song dynasty. Song(宋) dynasty is the peak time of Patriarchal Seon formed in the middle of Tang(唐) dynasty. But on the one hand, Patriarchal Seon as a mainstream was relatively intimidated and even the opinion of Buddhism Persecution was inaugurated in those days. Because the founder of Song dynasty had put emphasis on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Under the situation on the one hand, Qisong(契嵩) suggested the thought of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order to face the Confucian scholars` criticism, on the other hand, he made an effort to keep the legitimacy of Seon Buddhism by arranging the lineage of Patriarchal Seon. Owing to his effort, the Confucian scholars` criticism on Buddhism had been considerably decreased and it made an opportunity to revive Seon Buddhism. Qisong(契嵩)`s thought of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as well appeared in his 『The Collection of Simjin`s Works(?津文集)』 volume 19, but he discuss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gigantically in various themes in the book. Therefore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ithin three volumes, from the vol.1 to vol.4 in 『The Collection of Simjin`s Works』. Qisong(契嵩) understoo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as the core of Confucianism, and `the subtle mind` in 『Platform Sutra(壇經)』 as the heart of Buddhism, then he advocated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He also prov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humanity and justice(仁義) in Confucianism and the five Buddhist commandments(五戒), ten great virtue(十善) in Buddhism by seting up `filial duty(孝)` concretely. Nevertheless the difference of `secular society` and `samgha(僧家)` is appeared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So he lastly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of Confucianism to rule the secular society. and there is a need of Buddhism to rule samg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