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벼 재배지 노린재류의 발생소장과 벼 반점미 피해

        이진구,홍순성,김진영,박경열,임재욱,이준호,Lee, Jin-Gu,Hong, Soon-Sung,Kim, Jin-Young,Park, Kyeong-Yeol,Lim, Jae-Wook,Lee, Joon-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1

        벼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발생소장, 반점미 피해를 구명하기 위해 화성, 평택 등 경기지역 6개 시군 12개 읍면의 논과 논둑에서 노린재 발생밀도와 노린재 종류별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논둑에서 채집된 노린재는 모두 30종이었고, 화성과 시흥에서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 평택, 파주, 이천에서 홍색얼룩장님노린재(Stenotus rubrovittatus)가 우점하였다. 논에서 채집된 노린재는 모두 23종이었고, 시흥에서 흑다리긴노린재, 평택, 파주, 이천에서 홍색얼룩장님노린재가 우점하였다. 흑다리긴노린재는 화성 시화호 등 주로 서해안 습지에서 월동하고 증식한 후 이동하여 $8{\sim}9$월에 논둑에서 최고의 발생을 보였으며, 홍색얼룩장님노린재와 시골가시허리노린재(Cletus punctiger)는 $8{\sim}9$월에, 가시점둥글노린재(Eysarcoris aeneus)는 $6{\sim}7$월에 논둑에서 발생이 많았다. 벼에 노린재 종류별로 접종하여 반점미 피해를 확인한 결과, 유숙기 접종시 가시점둥글노린재가 10.2%, 흑다리긴노린재가 4.8%, 호숙기 접종시는 홍색얼룩장님노린재(Stenotus rubrovittatus)가 4.3%, 흑다리긴노린재가 2.7%의 반점미율을 보였다. 흑다리긴노린재에 의한 반점미 피해증상은 피해부위의 표면이 매끈하고 함몰되는 것이 없었으나, 가시점둥글노린재에 의한 반점미 피해증상은 흑다리긴노린재와 유사하지만 피해부위가 함몰되는 것이 많았고 그 표면은 거칠었다. 홍색얼룩장님노린재는 벼 낱알 위쪽을 가해하여 반점이 윗부분에 집중되는 특징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occurrence of stink bugs and pecky rice grain caused by the stink bugs in paddy fields in six districts of Gyeonggi-do. In the levee of the paddy fields, 30 species of the stink bug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Hwaseong and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In the paddy fields, 23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P. exiguus overwintered and proliferated mainly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ere its host plant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ois, were abundant, and then moved to paddy fields later in the season, resulting in the peak density in September in paddy area. Stenotus rubrovittatus and Cletus punctiger were abundant in paddy are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Eysarcoris aeneus was abundant in June and July. When the stink bugs were inoculated on the rice, the rate of pecky rice caused by E. aeneus and P. exiguus at milk ripe stage was 10.2% and 4.8%, respectively, and the rate by S. rubrovittatus and P. exiguus at dough ripe stage was 4.3% and 2.7%, respectively. The damage shape of pecky rice was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P. exiguus was very smooth but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E. aeneus was rough and caved. In the pecky rice by S. rubrovittatus, the spot occurred at the topside of the grain.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학습모델 연구

        이진구,이재영,정일찬,김미화,Lee, Jin Gu,Lee, Jae Young,Jung, Il Chan,Kim, Mi Hwa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gital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model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ies based on learn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order f to be competitive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model from these are as follows. Universities that stand out in related fields are actively using learning analysis to implement dashboards, develop predictive models, and support adaptive learning based on big data, They also have actively introduced advanced edutech to classes. In addition,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other universities and K University when implementing digital transformation were also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a digital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model of K University was developed. This model consists of four dimensions: diagnosis, recommendation, learning, and success. It allows students to proceed with learning by diagnosing and recommending various learning processes necessary for individual success, and systematically managing learning outcomes. Finall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뇌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초기 증상 차이에 대한 연구

        이진구,김성민,서영덕,김기성,왕성근,지익성,김정란,Lee, Jin-Gu,Kim, Seong-Min,Seo, Young-Duk,Kim, Ki-Seong,Wang, Seong-Keun,Chee, Ik-Seung,Kim, Jeong-La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0 생물정신의학 Vol.17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etween hallucination group and delusion group in patient with schizophrenia, using Brain $^{99m}Tc$-ECD PECT. Methods : Among 16 patients with less than 3 schizophrenic episodes, 8 patients whose initial symptom was hallucination were assigned to the hallucination group, and other 8 patients with initial sumptom of delusion were assinged to the hallucination group. All of the patients clinically evaluated using the PANSS and BPRS. Both groups of patients and 8 healthy subjects underwent $^{99m}Tc$-ECD PECT. Results : Score of thinking disturbance subscale of BP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allucination group than the delusion group. In SPECT analysis, the hallucin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erfusion in some areas of the right temporal lobe, bilateral limbic lobes and left parietal lobe compared to delusion group. Both group had a reduced rCBF in some areas of the frontal lobe. Conclusion : The hallucniation group, compared with the delu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some regions. Therefore, this data suggests that different neural substrates may affect the process of auditory hallucination and delusion.

      • KCI등재

        일제하 기독교 종파의 형성과 유형

        이진구(Lee Jin Gu)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이 논문은 한국 기독교계 신종교 연구의 일환으로 일제하 기독교 종파에 주목하였다. 일제하 주류교회는 제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신학적으로는 보수 근본주의, 신앙적으로는 형식주의, 조직의 측면에서는 교회주의에 젖어 있었다. 이러한 주류교회에 대해 세 유형의 종파가 등장하여 도전하였다. 보수 근본주의 신학에 가장 먼저 도전한 것은 김장호의 조선기독교회였다. 김장호는 근대 성서비평학을 수용하여 축자영감설에 기초한 문자주의적 성서해석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당시 보수 근본주의 신학에 경도되어 있던 기성교회는 성서비평학을 기독교 신앙을 파괴하는 위험한 학문으로 규정하고 배척하였다. 김장호의 신학적 합리주의는 해방 이후 한국기독교장로회와 같은 진보적인 진영에서는 수용되었으나 한국 개신교 보수진영에서는 아직도 수용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김장호와 기독교조선교회의 신학적 ‘선진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성교회 신앙의 경직화와 형식화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것은 1920-30년대 신비주의 계열의 ‘신령파’이다. 이 흐름은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새주파’와 함경도를 중심으로 한 ‘원산파’로 대표된다. 이러한 종파들의 신앙은 샤머니즘적 종교체험이 기독교 언어를 통해 번역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용도와 관련된 원산파의 경우에는 ‘예수교회’로 수렴되면서 입신을 강조하는 노선과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이지만, ‘성주교회’로 귀결된 새주파의 신앙은 이러한 흐름을 지속한 것으로 보인다. 기성교회가 교회주의에 포획되어 있을 때 이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것이 무교회주의이다. 무교회주의는 교직제도, 세례, 성만찬, 교회건물 등은 형식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성서공부를 통해서만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찾으려고 하였다. 물론 이들은 제도교회의 문자주의적 성서해석이 아니라 근대 성서비평학을 적극 수용하여 문자의 배후에 있는 영적 진리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최태용의 경우 복음교회를 세우면서 무교회주의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그가 추구했던 기본 정신은 무교회주의와 통한다고 볼 수 있다. 우치무라 간조, 김교신, 그리고 최태용은 개신교의 종교개혁 정신을 철저히 하고자 한 인물들로 볼 수 있다. 종교개혁은 ‘만인사제설’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성직제도 자체가 무의미하며, 교회도 ‘비가시적 교회’와 ‘가시적 교회’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지상에 존재하는 제도교회는 절대적 권위를 지닐 수 없다. 김교신의 무교회와 최태용의 복음교회는 종교개혁의 정신이 제도교회에 의해 제대로 계승되지 못하고 종교권력화되고 있다고 보면서 제2의 종교개혁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rise and development of protestant sect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ree kinds of movement. The first group was Joseon Kidok Kyohui(Korea Christian Church) founded by Kim Jang-Ho in 1918 in Hwanghae Province. This sect criticized the theological conservatism of established church in the perspective of liberal theology. Especially Kim revealed the problem and danger of biblical literalism, stressing the necessity of biblical criticism for making sane Korean church.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sects based on mysticism, which put a stress on religious experience. Those mystic sects influenced by shamanism became a threat to the established church, since mysticism tend to relativize the dogma. The third group was known for no-church movement. This group by influenced by Japanese no-church movement criticized the rigidity of established church, arguing that true Christianity need not any formalistic elements, such as creed, worship, chapel, clergy, baptism, eucharist, etc. No-church group put emphasis on Bible study. But, Choei Taeyong, a member of no-church group, made a church called Bokeum Kyouhoei(Gospel Church), arguing the necessity of church in Korea. The commonality of three groups was anti-missionary movement. They challenged the missionary hegemony in theology and decision-making of Korean church. In conclusion, those sects played the role of reforming Korean protestant church, revealing some problems of established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 나타난 종교자유 논쟁: 개종주의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이진구 ( Jin Gu Le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이 글은 최근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서 등장한 종교자유 논쟁의 성격과 의미를 개종주의와 관련하여 탐색하였다. 개신교사학들은 건학이념의 구현과 학교의 정체성, 나아가 종교교육의 자유를 내세워 종교과목과 채플을 필수과정으로 지정, 운영해 왔다. 반면 학생들은 학교에 의한 종교교육의 실시 특히 의무채플 제도로 인해 자신들의 종교자유가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채플자유화를 요구하였다. 두 종교자유의 충돌은 결국 사법부의 판단을 요청하였다. 숭실대 판결에서는 학교측이 승리하여 대학의 의무채플 제도는 유지할 수 있게 되었지만, 대광고 판결에서는 학교측이 패배하여 고등학교의 의무채플 제도는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개신교계 대학과 고등학교의 채플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상반된 운명을 맞이하였는데 이러한 상이한 판결에는 고등학교의 평준화 제도, 고등학생의 비판적 의식의 미형성, 대학교에 보장되는 고도의 자치성 등이 주요 변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법부의 판결로 인해 개신교사학에서의 종교자유 문제가 최종 해결된 것은 아니다. 대법원의 판결 이후에도 대학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채플거부 운동이 계속 등장했고, 고등학교에서도 학생들의 종교자유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계속 들려오고 있다.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종교자유 논쟁에는 학교당국과 학생만이 아니라 정부가 개입하고 있다. 이 종교자유 논쟁은 학교당국, 정부, 학생의 삼자가 게임을 벌이는 구도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당국의 배후에는 종교권력, 정부의 배후에는 정치권력, 학생의 배후에는 시민단체가 각각 포진하고 있다. 이러한 삼자구도로 진행되는 게임에서 논쟁의 근본 원인 제공자는 종교권력이다. 종교권력은 미션스쿨의 배후에서 개종주의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 따라서 개종주의에 포획된 미션스쿨의 종교교육은 학생들을 개종의 대상으로 삼아 의무채플과 같은 프로그램을 가동시킨다. 이로 인해 학생의 인권과 종교자유가 억압당하게 된 것이다. 이때 정부는 미션스쿨의 인권침해적 종교교육을 엄격하게 제재하는 대신 형식적인 감독에 그친다. 이는 정부가 개신교라는 거대한 종교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선거에 민감한 정치권력은 개신교 종교권력이 지닌 것으로 보이는 거대한 ``표``를 의식하면서 방조자 역할에 머물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인권과 종교자유가 계속 억압되자 시민단체가 나선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사회적 약자인 학생들의 인권과 종교자유를 위해 공익소송을 전개하는 대변자의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이처럼 최근 한국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종교자유 논쟁에서 종교권력은 가해자, 국가권력은 방조자, 학생은 피해자로 존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religious freedom controversy surrounding religious edu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proselytism, in protestant mission school in recent Korea. Most of protestant mission schools have been providing students compulsory religion class and chapel service in the name of religious educ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authorities,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realization of founding philosophy, and they say that mission school has the right to religious education. On the contrary, many non-christian students argue that their religious liberty is seriously violated by required religious education especially compulsory chapel worship. So serious conflicts broke between mission school authorities and students. Supreme Court decided that Soongsil University has the right to maintain compulsory chapel service, ruling that Daegwang High School should not maintain required chapel worship. It seems that Supreme Court gave different decisions to high school and university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in application for admission to a school, students` critical consciousness, school`s autonomous rights, etc. However, these precedents are being challenged by many peoples and groups. There are three agents which are involved in religious freedom controversy in mission school. The first are mission school authorities supported by religious groups, the second government supported by political parties, and the third mission school students guided by NGO. Among them protestant groups are playing the major role in making religious freedom problems in mission school. Protestant groups try to convert mission school students to protestantism by compulsory chapel service and religion class. Such a protestant proselytism becomes a cause of oppressing students` human rights and religious liberty. In this situation government has a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students` rights to religious freedom. But government seldom impose sanctions on the protestant mission schools` compulsory programs. The reason why government does not restrict mission school`s unlawful religious education is because protestant groups have strong influence in voting. Eventually civil movements organizations involved in religious freedom controversy for the sake of students`s human rights. In conclusion, the assailment is protestant proselytism, the accessory is government, the victim is students in the religious education in mission school in recent Kore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