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합 근연수분 및 종간 교잡종 F1 여교잡시 종자형성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근연수분인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은 9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1개였다 화주절단수분시에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22개로 적었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11개를 얻었다. 그러나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4개로 주두수분에 비해 11%밖에 미치지 못했다. (L. longiflorum 'Raizan'${\times}$L. ${\times}$formolongi 'Como')의 경우 주두수분은 종자형성 삭과율이 40%이고 삭과당 종자수가 14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 ${\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여교잡에서 화주절단수분된 15개체 중에서 9개의 성숙삭과를 얻어 삭과 형성율은 60%,배형성 삭과수는 53%,삭과당 평균배수는 14개였다. 그러나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times}$L. longiflorum 'Lorina']와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L. longiflorum 'Lorina'Lorina'L. Asiatic hyhbrid 'Corsica') ${\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경우도 수분된 15개체 중에서 삭과 형성률은 80.0%,배형성 삭과수는 67%,삭과당 평균배수는 11개였다. 하지만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times}$L. longiflorum 'Lorina']와 나팔백합에 종간잡종을 교잡한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 We studies seed set in the interspecific F1 /backcross hybrids of Lilium species. In the interspecfic hybrid of L. longiflorum cv. Gelri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93% fruit set was obtained by stigmatic pollination in comparison to 53% from cut-style pollina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seed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147 and 53, respectively. Pollination o( both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in the hybrid of L. longiflorum cv. Lorin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 However, stigmatic pollination formed 413 seeds, whereas only 24 seeds were obtained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cross. The hybrid of L.${\times}$ fomolongi cv. Raizan with L. longiflorum cv. Come set 40% fruit with a total of 43 seeds by stigmatic pollination. However, no fruit set was observed in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hybrid. Backcrossing the F1 hybrid by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hicago with the latter parent led to 53% fruit set, and 109 embryos were obtained. Likewise, backcrossing following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orsia with the latter parent formed 67% fruits and 107 embryos. However, in the remaining interspecific hybrids, cut-style pollination set no fruit.

      • KCI등재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 This work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 seed set in Lilium longiflorum and L. ${\times}$ formolongi, and their crosses as the female parent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resulted in cent per cent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189 and 70, respectively. However,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87% and 40% fruit set in Gelria and Lorina,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was 53 and 20. In L. ${\times}$ formolongi, stigmatic pollination set 80% fruits with 736 seeds/fruit. On the other h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with 81 seeds/fruit. The intraspecific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ther cultivars formed 60% fruits with a mean number of 18 seeds/fruit. However, only 20%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7 was recorded when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ultivar were pollinated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In the intra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 formolongi cv. Raizan with Novia, fruit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75% and 50%, respectively with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579 and 98. It was concluded that self as well as intraspecific seed set in the two species of Lilium gets considerably reduced as a result of cut-style pollination.

      • KCI등재

        Oriental, Martgon 및 Trumpet Group을 화분친으로 사용한 백합의 종간수분

        이지용,윤의수,임용표,Lee, Ji-Yong,Yoon, Eui-Soo,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1 No.2

        L. longiflorum cv. Gelri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98조합 2,380개체에 대한 종간교배 결과 삭과 형성수는 7조합에서 11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L. 'Vettorea'를 화분친으로 한 1조합에서만 1개체를 얻어 그 비율은 미미했으나 1개의 삭과에서 11개의 미숙배를 획득했다. 같은 나팔백합인 L. longiflourm cv. Lorin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74조합 1,265개체의 교배결과 삭과 형성 수는 8조합에서 9개체를 얻었다. 배형성 삭과율은 1.3%를 나타냈으며 전체 24개의 배를 얻었으며 삭과당 평균배수는 3.0개였다. L. ${\times}$formolongi cv.'Raizan'을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85조합 1,065개체 교배결과 삭과 형성수는 36조합에서 62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12조합에서 17개체를 얻었고 여기에서 얻은 전체 배수는 68개로 삭과당 평균배수는 4.0개였다. 같은 Longiflorum group인 L. ${\times}$formolongi과 L. ${\times}$formolongi 자방친으로 한 종간교배 결과를 비교해 보면 배형성 삭과율은 L. ${\times}$formolongi cv. Raizan (3.1%) 이 ㅣ. longiflorum cv. Gelria (0.1%)와 L. longiflorum cv. Lorina (1.3%) 보다 높은 편이었고, 삭과당 평균배수는 L. longiflorum cv. Gelria(11.0개)가 L. longiflorum cv. Lorina (3.0개), L. ${\times}$formolongi cv. Raizan (4.0개) 보다 높은 편이었다. 한편 Longiflorum group인 L. longiflourm cv. Gelria 및 L. longiflorum cv. Lorina와 L. ${\times}$formolongi cv. Raizan를 자방친으로 하고 화분친을 Martagon group인 1. distichum, L. hansonii, L. tsingtauense, L. martagon, Trumpet group인 L. 'Black Beauty', 1. henf, L. henry, regale 등으로 화주절단수분을 한 결과 (L. ${\times}$formolongi${\times}$L. henryi)의 조합에서만이 15개의 교배개체 중에서 2개의 성숙 삭과를 얻었을 뿐 배를 형성한 삭과는 얻지 못했다. 이러한 교잡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 시험에서 시행한 화주절단수분법 이외에도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with Oriental,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riental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 8,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11.0, 3.0, respectively.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cv. Raizan,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7,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4.0.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between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L. henryi of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were obtained only 2 fruits, however no embryo.

      • KCI등재
      • KCI등재

        동료 평가가 한국어 작문에 미치는 영향

        이지용(Lee Ji-yong) 중앙어문학회 2008 語文論集 Vol.39 No.-

        A peer evaluation is an educational activity in which learners cooperate each other and means a criticism on each other's writings and a provision of feedback in a small group.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a peer evaluation to a beginning learner to Korean language by classifying it into an affective domain and a domain for competence of composition. As a result, a learner's ability was improved to a certain degree in terms of all aspects such as a vocabulary, grammar, skill to command of sentence, skill to content organization, and skill to organize a format, etc. In particular, it was found out that if a focus was made on one of these aspects and the related skill was improved in a concentrated manner, then a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skill could be made. In case of a beginning learn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o give up learning due to an excessive fear or despair. Subsequently, if a method of a peer evaluation is properly utilized, then the composition class will not make learners get bored. In addition,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can be expected. This study only partially proved the effect of peer evaluation.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research to become the basis to expand other researches on this area in a future.

      • KCI등재

        공공언어 정확성 진단 기준의 개선 방안 연구

        이지용 ( Lee Ji-yong ),김미선 ( Kim Mi-seon )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2 No.-

        공공언어라는 개념은 민현식 외(2010)에서부터 그 개념과 범주 및 진단 기준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011년부터 공공언어, 특히 보도 자료에 대한 정확성과 소통성이 매년 평가되고 있다. 공공언어란 공공의 목적으로 공공 업무자가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생산한 공문서에 사용하는 언어이다. 즉 언어 사용의 목적, 주체, 대상, 상황에 대한 내용에 공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공공언어의 필수 요건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공공언어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은 규범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소통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이에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2011년부터 지금까지 수행한 공공언어 진단 과업의 정확성 범주에 대한 평가 기준을 검토하고 보완하여 체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수행한 진단에서 사용되었던 기준이 실제 분석의 과정 가운데 어떠한 양상으로 조정되었는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역적으로 제시된 민현식 외(2010)에서의 진단 기준이 실제 보도 자료를 진단할 때 매년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가장 최근에 수행된 김미선 외(2017)에서의 실제 분석 결과를 통해 진단 기준을 다시 검토하여 조정하고자 한다. 이처럼 보다 실제적이고 체계화한 진단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수행할 진단 사업의 효용성 및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겠다. The public languag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concept, categories, and diagnostic criteria in detail from the study of Min HS et al(2010). Based on this, the accuracy and communicability on the public language, especially on the press materials have been evaluated every year since 2011. The public language is the one that the public officers use in the public documents generated for the subjects of social community members in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That means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ublic language should include the public elements in the contexts of purpose, main agents, subjects, and situation of the language usag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se this public language accurately in terms of not only norms but also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Hence, this study aims to review, supplement, and systemize the evaluation criteria on the accuracy category of the diagnostic tasks for the public language performed since 2011 up to date in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do so, it is to analyze the standards used in the diagnosis so far how they have been modified in the real analytical processes. The diagnostic criteria deductively suggested by Min HS et al(2010) are analyzed how they were applied during the diagnosis of the real press materials to be adjusted by the real analysis results of Kim MS et al(2017) recently performed. By suggesting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diagnostic criteria, the utility and validity would be secured on the future diagnostic projects.

      • KCI등재

        ‘구독’의 의미 연구

        이지용 ( Lee¸ Ji-yo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7

        최근 영상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구독’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때 사용되는 ‘구독’의 의미는 한국어 사전에 제시되어 있는 기존 의미로 해석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어 사전에서는 한자가 지니는 의미 그대로인 ‘사서 읽다’로 그 의미를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독’의 의미가 어떠한 양상으로 확대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현재 이 단어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매체의 원어인 영어 단어 ‘subscribe’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구독’과 달리 ‘subscribe’는 다양한 의미로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본의미에서도 한국어 의미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구독’이라는 단어가 확대된 의미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상은 환유적 원리에 의해 언중들이 이를 해석하여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독’에는 이러한 환유적 원리뿐만 아니라 은유적 원리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구독경제’라는 경제 전문용어와 관련이 있다. 이 용어에 드러나는 ‘정기배송’이라는 의미를 언중들이 이해하고 수용하는 현상은 은유적 기제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인지의미론의 환유와 은유적 기제를 토대로 ‘구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글트렌드와 Trends21을 통해 관심도 및 사용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신어에 민감하고 새로운 매체에 유연성 있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독’의 실제 사용 양상도 파악해 보았다. 인간은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기존 단어 형태에 적용하기 위해 환유 및 은유와 같은 인지적 기제를 사용한다. 본고는 의미적 신어로서 ‘구독’이라는 단어의 의미 확장 양상과 원리 및 실제 사용양상을 분석하여 이러한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the use of platforms based on video media has become common, the use of the word ‘subscription’ is increasing. The meaning of ‘subscription’ used in this case is difficult to interpret as the existing meaning presented in the Korean dictionary. This is because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describes the meaning of ‘subscribe’ as ‘buy and read’ as the Chinese characters have.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how the meaning of ‘subscribe’ is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 ‘subscribe’, which is the original language used by the media currently actively using this word, was examined. Unlike Korean ‘subscribe’, ‘subscribe’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meaning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basic mean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subscribe’.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 phenomenon that the word 'subscription' is actively used in an expanded sense is because the words are interpreted and accepted by the metonymic principle. In addition to these metonymic principles, metaphorical principles are also applied to 'subscription', which is related to the economic terminology of 'subscription economy'. The phenomenon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meaning of ‘regular delivery’ in this term can be said to be due to a metaphorical mechanism.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ubscribe' was analyzed based on the metonymy and metaphorical mechanism of this theory of cognition. In addition, Google Trend and Trends21 looked at the level of interest and frequency of use, and surveyed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sensitive to new languages and flexible in new media to understand the actual use of 'subscribe'. Humans use cognitive mechanisms such as refraining and metaphor to apply new experiences in changing environments to existing word form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e sense of the study in that it check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 'subscription' as a semantic neologism by analyzing the meaning expansion pattern, principle, and actual usage pattern.

      • KCI등재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연구

        이지용(Lee, ji-yong),유해준(Yoo, hae-j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2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다문화 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등 예비학교 교사 5명으로 심층면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어교사 심층 면담의 결과를 보면 첫째로 대다수의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교사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표준한국어 교재가 다문화적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만 교과와의 연계성 부분에서는 다문화 요소가 연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로는 다문화 교육에서 수업 기능 측면의 다문화 교육은 전체적으로 낮은 자신감을 보였으며, 특히 다문화 수업 자료 개발 및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수방법 적용에 대해서는 낮은 자신감을 보였다. 이는 교사의 처우 및 한국어교육에서 교사가 가지는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었다. 셋째로는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언어 교육과 더불어 다문화주의에 따른 관계 지향적 교사의 목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 활성화를 위해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 등이 예비학교를 통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 학습 자료 개발, 창의적 체험활동 자료 보급 등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교육 자료만으로는 현행 중등 교과 수업과의 연계성까지 고려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The modern society is the one where all the cultures in the world coexist and those cultures are open to each other, and a truly multi-cultural society where we should recognize various cultures and ethnicities and races.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has led separate peoples in the world to become neighbors in the ‘global village’. Accordingly, this study, by conducting in-depth survey to f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preliminary middle school, intended to examine their conscious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earch for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to improve it. The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think that Standard Korean they use as the textbook to teach students contains many multi-cultural elements. But, they think that it is hard to link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textbook to class teachings in normal middle schools. Second, they show low confid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teaching functions. In particular, they show low confidence i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 responding to demand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also related with the treatment Korean language teachers receive and their identity as teacher. Third, many of respondents think that teachers have relationship-oriented goals according to multi-culturalism as well as providing language education to students. Finally, they perceive that, to activate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advance teaching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 preliminary school 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perceive that there should be mor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and creative experience materials. They consider that currently available education materials are not sufficient to consider their linkage to class teachings in normal middl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