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蘭汀 先生의 漢字音 硏究에 관하여 –朝鮮(李朝) 漢字音 硏究를 中心으로–

        이준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traces of Nam Kwang-woo’s study of Sino-Korean based on the Joseon(Ijo) hanjaeum yeongu[the study of Sino- Korean in Joseon Dynasty]. In detail, I will take a look at Sino-Korean research history, methods and achievements of Sino-Korean research, and what these researches have done to the academic world. As can be seen in the study of Sino-Korean in Joseon Dynasty, he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on the collection, arrangement, decoding and analysis of materials in various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which required more labor than other fields. However, the research paper and data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produced valuable results by making this a lifelong achievement. And this study led to the compil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dictionary, which is indispensable for studying Korean history in harmony with the study of native languages centered on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Someone point out that his study of Sino-Korean lacks research on the system. However, the study of the system is based on specific language data, and its value is never diminished in that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data will change th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In fact,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individual Sino-Korean, including multiple Sino-Korean collected, arranged, analyzed, and studied by Nam Kwang-woo, are becoming more and more massive and precise,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his on subsequent research. 이준환, 2020, 난정 선생의 한자음 연구에 관하여, 어문연구, 187 : 27~62 이 글은 蘭汀 南廣祐 先生의 한자음 연구의 발자취를 朝鮮(李朝) 漢字音 硏究를 중심으로, 선생의 한자음 연구사, 한자음 연구 방법과 연구 성과, 선생의 연구가 학계에 끼친 바를 순차적으로 검토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선생은 朝鮮(李朝) 漢字音 硏究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자료의 蒐集, 整理, 解讀, 分析 등의 일련의 연구 과정에서 국어학의 다른 분야에 비해 월등히 품이 많이 가고 고단한 한자음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이를 평생의 업으로 삼고 끊임없이 盡力하여 연구서의 편찬 및 자전 편찬의 값진 성과를 이루어 냈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중세 및 근대 국어를 중심으로 한 고유어 연구와 조화를 이루어 國語史를 연구하는 이라면 없어서는 안 되는 古語辭典을 펴내고 이를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고 확대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선생의 한자음 연구는 體系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체계에 관한 연구는 구체적인 언어 자료를 基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언어 자료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게 되면 체계에 관한 이해도 달라진다는 점에서 결코 그 價値가 줄어들지 않는다. 실제로 선생이 수집하여 정리하고 분석하고 연구해 놓은 複數 漢字音을 비롯한 個別 漢字音에 대한 蓄積된 결과물 덕택에 거두게 된 학술적 성취가 점점 巨大해지고 精密해지고 있음을, 후속 연구에 끼친 선생의 영향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 국한문체의 형성과 자전, 사전, 학습서의 편찬

        이준환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5 No.-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in the period of the modern transition and the compilation of Chinese-character dictionaries, bilingual dictionaries and study books published in earnest during this period. It is often thought that the pure Korean style will have little difficulty, compared to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which is difficult to use, the difficulty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gree of reflection of Chinese grammar. But that's not the case.In the pure Korean style, there was much to be done to solve the problems of Buncheol, Yeoncheol and mixture of Buncheol and Yeoncheo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a and Sino-Korean, but the norms and reference books to help them were not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the difficulty was relatively less, except for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he writing of the parts marked in the Korean alphabet, and the problems of Chinese consonants in the Chinese character. This was one factor that led to the relatively favorable position of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in the competition between pure Korean style and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Due to the difficulties of this reality, the Westerner's bilingual dictionaries illustrates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Korean writing system at that time. In a reality where a bilingual dictionary compilation was essential for learning Korean and translating biblical texts, the compilation of a double-language dictionary was a combination of decision of writing, problem of meaning solving, and 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s. Gale's Korean-English dictionary (1897) shows this best. A comprehensiv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the note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writing of Korean characters was required in order to be able to write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smoothly. A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was required to help. That is why such as Ji Seok-yeong Jajeonseogyo like a dictionary compiling, reflect realistic Sino-Korean a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at written by Korean Language. They also compiled Chinese language study books such as Eonmun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era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y tried to cope with the era of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by creating a study book that allows them to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languages, such as Ahakpyeon. As a result, the compilation of Chinese characters dictionaries and study books is thought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effective style of limited writing in introducing and accepting new ideas, new culture, new learning, and distribution, etc. 이 글은 근대 전환기의 국한문체의 형성 과정과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간행되는 자전, 사전, 학습서의 편찬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피려 한것이다. 국한문체가 한자의 사용 정도, 한자의 난도, 한문 문법의 반영 정도등에 따라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것에 비해 국문체는 별 어려움이 없으리라생각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국문체는 분철, 연철, 중철의 문제를 해결하고, 음운 현상 관련 표기, 한자음 표기, 조사와 어미의 표기 등에 관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 많았는데, 이에 도움을 줄 규범과 참고서가 마땅치 않았다. 이에 반해서 국한문체는 한자의 자형, 국문으로 표기된 부분의 표기, 한자음병기 시의 한자음 문제 등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적었다. 이런 점은 근대적 교육, 신학문, 신논설 등에서 국문체와 국한문체의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국한문체가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된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이런현실에서 서양인들이 편찬한 이중어 사전에는 당시 조선어의 표기법과 관련한 어려움이 잘 드러나 있다. 조선어 학습과 성서 번역 등을 위해서는 참고자료로서 이중어 사전 편찬이 꼭 요구되었던 현실에서 이중어 사전 편찬은표기의 결정, 뜻풀이의 제시, 한자 음훈의 제시 등이 복합된 고된 작업이었다. 게일의 『한영뎐』(1897)은 이를 가장 잘 보여 준다. 국한문체를 원활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는 한자, 한자의 음과 훈, 국문 표기 등에 관한 종합적인지식이 요구되었다. 이에 도움을 줄 자전 편찬이 요구되었던바, 지석영 등은『자전석요』처럼 현실 한자음을 제시하고 여러 국문 뜻풀이를 반영한 자전을편찬하고, 『언문』과 같은 한자어 학습서를 편찬하여 국한문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하고, 『아학편』과 같이 한자와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서를 만들어 국한문 시대에 대응하려 하였다. 이런 자전 및 학습서의 편찬은결과적으로 신사상. 신문물, 신학문의 수용, 소개, 유통 등에 국한문체가 효과적인 문체로 구실하는 것과의 관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 Real-time Face Tracking Algorithm using Improved CamShift with Depth Information

        이준환,정현조,유지상 대한전기학회 2017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2 No.5

        In this paper, a new face tracking algorithm is proposed. The CamShift (Continuously adaptive mean SHIFT) algorithm shows unstable tracking when there exist objects with similar color to that of face in the background. This drawback of the CamShift is resolved by the proposed algorithm using Kinect’s pixel-by-pixel depth information and the skin detection method to extract candidate skin regions in HSV color space. Additionally, even when the target face is disappeared, or occluded, the proposed algorithm makes it robust to this occlusion by the feature point matching.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in tracking performance to that of existing TLD (Tracking-Learning-Detection) algorithm, and offers faster processing speed. Also, it overcomes all the existing shortfalls of CamShift with almost comparable processing time.

      • KCI등재

        池錫永 『兒學編』 영어 어휘의 한글 표기와 국어의 음운론적 대응 양상 -자음을 대상으로 하여-

        이준환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池錫永의 『兒學編』은 한자 학습과 더불어 외국어 어휘 학습도 할 수 있도록 한 책인데, 본고에서는 영어 어휘의 한글 표기 양상과 국어와 영어와의 음운론적 대응 양상을 자음을 대상으로 하여 고찰했다. 兒學編 에서는 ‘ᅄ’, ‘ᅈ’, ‘ᅂ’ 등으로 마찰음 표기를 하고, /r/과 /l/을 구별하기 위한 표기법을 고안하는 등 영어를 원음에 가깝게 적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표기 양상에서 보이는 음운론적 대응 양상을 살펴본바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맞게 대응을 시키고자 노력하였으나 치아·치조·치조 경구개 마찰음의 대응을 볼 때에 조음 위치의 대응이 좀 더 중시되었다. 둘째, 어두 자음군과 어말 자음군의 표기를 볼 때 국어의 음절 구조 제약을 따르고, /l/이 어두에 오는 것을 ‘을ㄹ/을ㄴ’으로 적고 /r/이 어두에 오는 것을 ‘으ㄹ/우ㄹ’로 적어서 단어 구조 제약을 따르고 있다. 셋째, 경구개음 /ㅈ, ㅊ/과 치조음 /ㅅ/이 활음 /j/의 첨가와 관련한 양상이 다르고 /z/에 /ㅈ/을 대응시키지 않는 등 국어 자음의 음운론적 기반 위에서 영어와의 대응 관계가 모색되었다. 이런 특색을 지닌 『兒學編』은 영어의 철자법, 선택된 어휘, 발음의 양상 등을 볼 때 영국 영어를 반영한 경향이 강하며, 明治 시대에 나온 일본의 영어 자료와 비교할 때 유사성보다는 이질성이 훨씬 많이 나타나서 일본 자료 또는 일본의 영어 수용 경향에 영향을 많이 받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Ahakpyeon was complied by Ji Seok-yeong for the purpose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and foreig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in 1908.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Hangeul(Korean alphabet) transcription aspect that corresponding to English vocabulary and corresponding phonological aspects of English and Korean. In Ahakpyeon, the unused alphabet like ‘ᅄ’, ‘ᅈ’, ‘ᅂ’ in Korean and transcription for distinguishing /r/ and /l/ was devised. Through this method, Ji Seok-yeong did his best to mark English vocabulary according to the original sound. Noteworth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i Seok-yeong made efforts to obtain accurate English and Korean correspondence to place of articulation and manner of articulation. But the correspon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Second, from Hangeul transcription to anlaut consonant clusters and final consonant clusters, I could see that Ahakpyeon was followed Korean phonological constraints. Third, from different aspects of /j/ glide additionin palatal and alveolar and non-use of Hangeul /ㅈ/ in corresponding to English /z/. Ahakpyeon with these features has a strong tendency that reflected British English than American English from English spelling, selected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And data shown in the Meiji period in Japan when compared to English is much more heterogeneous than similarities, respectively. From this fact, I presumed that Ahakpyeon was not influenced by Japanese data and Japanese tendency to accept the English.

      • KCI등재

        국어 복수 한자음의 자료에서의 반영 양상과 단순화 과정

        이준환 구결학회 2016 구결연구 Vol.36 No.-

        이 글은 국어사 문헌과 현대국어에서의 복수 한자음의 반영 양상과 단순화 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운서, 자전, 초학서와 속음의 발생에서 비롯한 복수 한자음의 반영 양상을 살펴보고, 현대의 자전, 한문 교육용 한자 및 대법원 인명용 한자, 국어사전에서의 복수 한자음의 반영 양상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복수 한자음이 단순화되어 가는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국어사 문헌의 검토를 통하여 살펴보고 단순화 유형을 나누어 제시하여 보았다. 국어 복수 한자음은 운서, 자전, 초학서에 충실하게 반영되고 있는 편인데 이는 운서와 자전이 한자음의 기준을 정하고 음에 걸맞은 뜻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고 초학서가 학습용으로 편찬된 텍스트란 점과 관련이 있다. 자전은 『康熙字典』에 근거를 둔 것과 관련이 높다. 하지만 실제 언어 사용에서는 중세국어 시기의 초학서에서도 한자음을 뜻에 맞지 않게 쓰는 경우가 보이고 여러 국어사 문헌에서도 이런 양상이 계속적으로 관찰이 되어 복수 한자음의 사용에 혼란이 생기고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대법원 인명용 한자표에서는 복수 한자음이 잘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국어사전에서도 이런 경향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복수음자들은 뜻에 따라 음을 적절히 골라 쓰지 못하고 대표적인 음을 중심으로 쓰게 되는 것이 많아지게 되었는데, 음과 뜻의 관계를 바탕으로 단순화 양상을 파악해 본 결과, 단순화 양상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1) 음운 변화의 결과에서 비롯한 단순화, (2) 의미의 유사성에서 비롯한 단순화, (3) 새 어휘의 형성에 참여하지 못한 데에서 비롯한 단순화, (4) 동음의 동의어나 유의어에 역할을 넘겨서 생긴 단순화, (5) 성부나 해성자의 영향에서 비롯한 단순화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 항암제(Methotrexate 및 5-Fluorouracil)가 백서태반에 미치는 형태학적 연구

        李俊煥 최신의학사 1971 最新醫學 Vol.14 No.7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made about the mechanism of action of antimetabolites, and the effects on the cancerous and non-cancerous tissues or organs. Most of antimetabolites act as in?hibitors of nucleic acid synthesis, although the site of inhibition or block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ntimetabolites (Heiderberger et al., 1957, Rich et al., 1958; Werkheiser 1963; Bertino.. et al., 1964). Methotrexate and 5-fluorouracil are the most commonly used anticancerous ag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Methotrexate is an antimetabolite which interferes with the participation of folinic acid in nucleic acid synthesis, and thus disrupts the mitotic process, and 5-fluorouracil is antagonistic in action with pyrimidine which is essential in the synthesis of DNA and RNA. Methotrexate and 5-fluorouracil inhibit the growth of any rapidly growing types of nori-cancerous cells. (Heiderberger et al.,, 1956; Clarkson and Lawrence, 1961; Heiderberger and Anspfield, 1963; Lipsett, 1963; Shin, 1967; Choo, 1968). Present investigation is designed to study the morphologic changes of the rat placenta, especially ultrastructural alteration in trophoblasts of the labyrinth in the rat placenta. Materials and Methods Female albino rats weighing around 200 gm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kept from male albino rats for 4 weeks and proved to be not pregnant.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treated as following. Group I : Normal untreated pregnant groups(10 animals) a. the 12th day of pregnancy (2 animals) b. the 15th day of pregnancy (2 animals) c. the 17th day of pregnancy (2 animals) d. the 19th day of pregnancy (2 animals) e. the 21st day of pregnancy (2 animals) Group II : Methotrexate injected group (20 animals) a. the 12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b. the 15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c. the 17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d. the 19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e. the 21st day of pregnancy (4 animals) Group II[ : 5-fluorouracil injected group (20 animals) a. the 12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b. the 15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c. the 17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d. the 19th day of pregnancy (4 animals) e. the 21st day of pregnancy (4 animals) Extrus cycle was determined by the vaginal smear methods of Long and Evans(1922) and mating was achieved by housing a male and female rat together, in the pre-estrus cycle. Copulation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spermatozoa on vaginal smear, one day after mating and this was regarded as the first day of pregnancy. Methotrexate (Lederle Lab. Div. product) was given by intramuscular injection in a dose of 0.3mg per kg of body weight once a day for five consecutive days starting from the 7th, 10th, 12th, 14th, and 17th day of pregnancy. The 5-fluorouracil (SAF. Hoffmann-La Roche and Co. Ltd.) was given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in a dose of 20mg per kg of body weight once a day for five consecutive days starting from the 7th, 10th, 12th, 14th and 17th day of pregnancy. The normal untreated animals were killed at the 12th, 15th, 17th, 19th and 21st day of pregnancy. The anticarcinogen treated animals were killed also at the 12th, 15th, 19th, and 21st day of pregnancy just one day after 5 consecutive days of treatment starting from the 7th, 10th, 12th, 14th and 16th day of pregnancy in respective groups. The entire uterus was removed and then cross sections from pregnant segments were taken and embedded in paraffin after fixation in 10% neutral formalin. The microsections were made in 5 to 6 p thickness, and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 Schiff (PAS), methyl-green pyronin, and Feulgen staining were applied to each section for histologic and histochemical studies of the placenta. For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s, immediately after killing the rats, the three uteri were opened and placentas were separated from the uterine wall, and then the placental tissues were cut in 1 cu mm size and fixed in 1% osmic acid in veronal buffer of pH 7.4, followed by dehydration in graded alcohol. They were embedded in Epon 812 and cut at 400 to 500A thickness wih a glass knife After staining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hydroxide, observation was made with Hitachi' 11-E model electron microscope. Results and Summary The placentas of the normal rats on the 12th, 15th, 17th, 19th and 21st day of pregnancy showed no abnormal developmental or histologic findings. The placentas on the 10th day of pregnancy, treated with methotrexate from the 7th day of pre?gnancy, showed marked necroses and degenerative changes in the decidua, and degenerative changes of yolk sac and mil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decidua. Labyrinth and junctional zones were not identified in this group. The placentas on the 15th day, treated with methotrexate from the 10th day of pregnancy, showed moderat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trophoblasts in the labyrinth and junctional zone, and focal necroses in the decidua were noted. The placenta on the 17th day of pregnancy, treated with methotrexate from the 12th day of pregn?ancy, showed also moderate degenerative changes of trophoblasts in the labyrinth and junctional zone, and also mild degenerative changes and mild focal necroses in the decidua. The placentas on the 19th and 21st day of pregnancy, treated with methotrexate from the 14th and 16th day of pregnancy, showed mild degenerative changes of trophoblasts, but the maturation of placental elements was almost normal. The placenta on the 10th day of pregnancy, treated with 5-fluorouracil from the 7th day of preg?nancy, showed marked degenerative changes and necroses were noted in the decidua and early stages of the labyrinth and junctional zone were identified. The placenta on the 15th day of pregnancy, treated with 5-fluorouracil from the 10th day of pregnancy, showed moderate degenerative changes of trophoblasts in the labyrinth and junctional zone, and mild focal necroses were noted. The placenta on the 17th day of pregnancy, treated with 5-flu?orouracil from the 12th day of pregnancy showed, moderate degenerative changes of torphoblasts in the labyrinth and junctional zone. The placenta on the 1901 and 21st day of pregnancy showed no abnormal histologic alteration and the maturation of placental elements were the same as normal control groups. - Methyl-green pyronin and Feulgen stains revealed mild to moderately decreased amounts of pyr?onophilic granules in the cytoplasm and Feulgen positive material in nuclei from the early stage of pregnancy treated with methotrexate and 5-fluorouracil, but only mildly decreased pyronin and Feulgen positive materials in the later stage of pregnancy, that is, those treated with anticancerous agents when the maturation of placentas were completed. Ultrastructural examination of labyrinth trophoblast cells in the rat placentas was performed. There are three layers of trophoblast throughout the labyrinth, an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separating the maternal blood spaces from fetal blood vessels and other extraembryonic connective tissue elements. The structural changes showed enlargement of nuclei and nucleoli and mild segregation of nucleoli. These were more marked in the methotrexate treated groups than the 5-fluorouracil treated groups. Cytoplasmic alteration showed dilatation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with detached ribosome, hyperplasia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and swelling of mitochondria. These changes were more marked in 5-fluorouracil treated groups than methotrexate groups. In addition, increased numbers of lipid,, multivesicular bodies and myeline bodies were seen in both groups. In summary,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experiment showed that methotrexate brought more morphological changes than 5-fluorouracil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that is, the rapidly developing stage of the placenta. The later stage of development treated with these anticancerous agents brought mild morphological changes. This experiment indicates that these anticancerous agents are more effective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especially the premitotic stage.

      • KCI등재

        국어대사전 속의 방언 기술 현황과 분석적 이해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을 중심으로-

        이준환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이 글은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을 중심으로 국어대사전 속의 방언수록 현황이 어떠한지 개관하고, 방언 기술 정보를 분석하여 이해하여 봄으로써 이들이 지닌 가치와 문제점을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표제어의 개수, 지역별 표제어의 개수, 어휘 형태와 문법 형태의적절성, 표제어 정보의 충실성, 뜻풀이의 충실성 및 이용자 편의성, 어휘 간의 관계 정보, 사전 이용 화자들의 방언 이해 도구로서의 역할 등을 논의하여 보았다. ≪우리말샘≫에는 2022년 6월 23일 기준으로 전문가 감수를 거친 어휘가 109,963개가 실려 있다. 이들은 이전 사전과 비교하여 보면 표제어의 증가, 지역별 표제어 개수 편차의 상당한 해결, 웹 사전의 특징에 걸맞은 연계 활용 기능의 구현, 상당한 정도의 용례의 구축 등에서 한결 발전한모습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방언의 보조 용언이 표준어의 본용언과 잘못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든지 용례 정보의 지역별 사용 양상에 오해의소지를 안고 있다든지 하는 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면도 없지 않다. 하지만웹 사전으로서의 장점을 잘 활용하여 표준어와 같은 틀의 미시 구조를 차근차근히 갖추어 나가며 보완을 해 나간다면 표준어와 잘 어우러지면서 이해되고 활용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朝鮮光文會 편찬 「新字典」의 體裁, 漢字音, 뜻풀이

        이준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2

        이 글은 「新字典」의 「新字典敍」와 「新字典例」의 기술을 주목하면서 「新字典」의 수록 한자, 한자음, 字釋에 대한 국문 풀이, 용례, 삽화에 관한 것 등으로 나누어 「新字典」의 체재, 漢字音, 뜻풀이의 특징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新字典」은 「康熙字典」과 「全韻玉篇」의 권위를 이어받은 것으로 「全韻玉篇」을 충실하게 반영하려 하였던 것을 한자음과 뜻풀이에서 볼 수 있다. 「字典釋要」보다 한자음은 보수적이나 字釋은 多義性이 훨씬 상세하게 되어 있고 거의 모든 字釋에 대해 국문 뜻풀이를 하고 있다. 이 뜻풀이에는 당시 국어 어휘의 양상이 잘 반영돼 있다. 또한 漢文과 漢字가 쓰이는 문맥을 중시하며 국어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字釋을 國文으로 풀이하였는데 이때 언어 유형 차이로 인해 漢文을 국문으로 옮길 때 생기는 불편도 해결하기 위하여 애를 썼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해당 字釋이 쓰이는 문맥을 用例로 제시하여 漢字와 漢文에 관한 종합적 이해를 도모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principl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that of Sinjajeon.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Chinese character, Sino-Korean, explanation of meaning and example of Sinjajeon. I could see that Sinjajeon was published by inheriting the authority of KāngxīZìdiǎn and Jeonunokpyeon from the fact that Sino- Korean and explanation of meaning of Sinjajeon. The Sino-Korean of Sinjajeon is more conservative than that of Jajeonseogyo. But the expla- nation of meaning is more faithful to polysemy of Chinese character than that of Jajeonseogyo. And besides Korean's explanation about Chinese character was reflected well a number of characters of Korean vocabulary. In addition to these characters, typological character of Korean that i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Chinese, was reflected well in explanation of meaning. It seems that the compiler of Sinjajeon had intended to Korean people's synthetic understanding about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from these efforts.

      • KCI등재

        放送 字幕 言語의 特徵과 關聯 要因 - 프로그램 種類에 따른 特徵을 중심으로 -

        이준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related factors about the language that used subtitle of broadcasting, in focusing on the feature related to kind of program. To analysis these factors, I used the method that investigate the type, suggestion method, orthography, vocabulary and sentence of the language that used subtitle of broadcasting. From this study I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the language that used subtitle of broadcasting and related factors. The related factors that were found are the goal of production program, the degree of producer's intervention, the layer of viewer and so on. The language of the entertainment and amusement program is tendency to used various marks, abbreviation, neologism, loanword and mimetic word. These tendency are related to language use of young people and have many something in common with communication language of internet. 본고는 放送 프로그램의 種類에 따른 字幕의 形態, 提示 樣相, 表記, 語彙, 文章으로 나누어 그 실태를 살펴 放送 字幕 言語의 立體的 特徵을 살피고 關聯 要因을 분석한 것이다. 고찰 결과 字幕의 언어는 뉴스, 敎養, 演藝 情報, 藝能 등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이런 차이를 가져온 요인으로는 프로그램의 性格, 製作 目的, 製作陳의 介入 程度, 주 視聽者層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演藝情報, 藝能 프로그램으로 갈수록 符號, 준말, 新造語, 外來語, 語基 또는 한 單語만을 이용한 狀況 描寫語 등이 많이 쓰이는 양상을 보였는데, 여기에서 나타나는 세부적인 특징들은 인터넷 通信 언어상에 나타나는 젊은 층의 언어 사용과 類似하다. 따라서 字幕 言語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서는 인터넷 通信 言語와의 關聯性을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현대 국어학 연구 맹아기의 지석영과 주시경의 표기·음운·문자 연구의 맥락

        이준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8 No.-

        이 글은 현대 국어학 연구 맹아기에 이루어진 국어의 표기와 음운과 문자에 관한 논의를 지석영과 주시경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자음, 모음, 운소, 문자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그간 주시경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지석영의 연구에 관심을 두어 살피고 이로써 지석영과 주시경이 보인 표기와 음운과 문자에 관한 논의를 비교하여 그 흐름과 성격을 이해해 보려 하였다. 자음이나 모음에 관해서는 주시경에서 ‘자음’, ‘모음’이란 용어가 사용되어 있으나 조음 음성학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음절의 구성 요소의 의미로 정의가 되어 있다. 자음은 조음 방법 면에서 청탁으로써 소리의 분류와 기술이 이루어졌다. 주시경은 상세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탁음을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여 비록 성운학에 온 청탁이란 용어를 쓰고 있지만 개념은 차이를 보임이 눈에 띈다. 모음에서는 합음이란 말을 써서 ‘ㅑ, ㅕ’, ‘ㅐ, ㅔ’, ‘ㅣㅡ의 합음인 ㆍ’ 등을 가리키고 있는데, 이는 소리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문자 사용과 관련한 표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 결과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을 분석하지 못하고 ‘ㅑ, ㅕ’를 ‘ㅣㅏ, ㅣㅓ의 합음’과 같이 보게 되었다. ‘ㆍ’를 ‘ㅣㅡ의 합음’으로 본 것은 화음, 국어의 표기 양상을 두루 고려한 것이나 실제 결론은 ‘ㅑ, ㅕ, ㅛ, ㅠ’와의 관계가 중시된 결과이다. 운소와 관련해서는 지석영이 강조한 높낮이, 장단에 관한 것이 주시경에도 잘 수용되어 주시경은 강약까지 더한 운소에 관한 연구로 이어 갔다. 문자의 사용에서는 국어 표기에는 불필요한 ‘ㆁ, ㆆ, ㅿ, ◊’ 등에 대해서 지석영은 민간 행용 부적당으로 판단하고 있는 반면에 주시경은 그 소리는 있으니 아니 쓸 수가 없다와 같이 기술하여 이 문자들의 정체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논의 내용 및 논의 방법을 보면 지석영과 주시경 모두 전통적으로 표기, 음운, 문자를 연구하는 틀에 바탕을 두고 연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