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oHS II 규제대응을 위한 브롬계 난연제 및 프탈레이트 동시 함량분석용 ABS 인증표준물질 개발

        이준태,손현화,이진숙,김용훈,문혜미 한국분석과학회 2021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Polybrominated biphenyl(PBBs), polybrominated biphenyl ethers(PBDEs)는 고분자 소재에 첨가하는 대표적인 브롬계 난연제로 인체 유해성으로 인해 EU의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RoHS)에서 사용제한 유해물질로 규제하고 있다. 또한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9년부터 RoHS II에서 브롬계 난연제와 더불어 프탈레이트 가소제 4종을 추가하여 규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과 신뢰성 높은 유해물질 평가를 위해 표준물질의 사용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 브롬계 난연제와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동시에 함유된 표준물질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재료용 고분자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BS를 매질로 하여 PBBs 2종(B-003, B-080), PBDEs 2종(BDE-015, BDE-209), 프탈레이트 4종(DIBP, DBP, BBP, DEHP)를 첨가하여 분석 대상 물질의 함량이 약 0.1 wt%(고농도)와 0.01 wt%(저농도)가 되도록 후보 표준물질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후보 표준물질은 등간격샘플링을 통해 균질성을 평가하였을 때, 상대표준편차 5 % 이하로 균질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온 (70 ℃), 저온 (-20 ℃)에서의 운송 안정성과 6개월간 장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의 SRM<SUP>Ⓡ</SUP> 2258 BDE209 in 2,2,4-trimethylpentane 으로 소급성을 확보한 BDE-209에 대하여 동위원소희석질량분석법으로 특성값을 부여하였다. 고농도의 인증값은 (996 ± 89) mg/kg, 저농도의 인증값은 (122 ± 10) mg/kg 이다 (신뢰수준 95 %, k = 2). 이외의 7종의 물질(B-003, B-080, BDE-015, DIBP, DBP, BBP, DEHP)은 고농도 의 경우 각각 506, 94, 889, 810, 873, 913, 871 mg/kg의 지시값을 얻었으며, 저농도는 각각 55, 11, 100, 95, 97, 109, 101 mg/kg으로 지시값을 얻었다.

      • Loxoprofen acid 분진 폭발 위험성에 관한 연구

        이준태,이유빈,강남규 한국화재감식학회 2016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7 No.1

        The smaller dust gets, the surface area per unit mass increases, resulting in the growth of the contact area with air and subsequent acceleration of oxidation speed. It help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dust clouds and to rise risks of dust explosion by reducing ignition energy. Loxoprofen acid dust used as a material for anti-inflammatory drugs and painkillers by pharmaceutical companies contains little moisture, and is a highly explosive material since more than 75% of the dust has an average size of 10 ㎛ or smaller as fine organic dust and has very small MIE (Minimum Ignition Energy) with 1 to 3 mj on average compared to other dust materials.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loxoprofen acid dust with other explosive dust materials to prove explosion risks of the loxoprofen acid dust, using a control case. In this study, fundamental solu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explosion risks discovered have spread to relevant companies to get rid of explosion risk factors in advance through improvement of faciliti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thes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einforce safety standards for prevention of fire ignited by loxoprofen acid dust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의 전통적 해양인식과 海禁政策의 의미

        이준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Since the modernization era, th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have been requested to draw up newly recognition of the ocean corresponding to expansion of the colonial power by the Western countries. Traditionally, China has different recognition of the ocean in which Chinese people regard the ocean as an extended border from the mainland. Yet, Chinese people seem to have their own marine culture which is equivalent to that of Western world. In fact, China has had advanced skill of shipbuilding and invented compass in the Tang dynasty. However, during the Ming and Ching dynasty, China strictly kept the ban on the ocean for governmental control of the sea, which had negative influence on modern Chinese history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Although there has been Chinese own historical marine culture which might be positively or negatively evaluated, China has failed to draw up very modern style of marine culture because of the ban on the ocean in the Ming and Ching dynasty. In particular, the Ming and Ching dynasty’s the ban on the ocean might be recognized as a historical obstacle to preparing new era of international marine culture. To look into the social and political reason for keeping the ban on the ocean during the Ming and Ching dynasty may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Chinese people’s recognition of the sea and Chinese government policy orientation towards the ocean. 근대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지역은 서세동점 시기를 겪으면서 서양과 비교되는 문화적 특징으로서 새로운 해양 인식의 필요성을 겪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해양에 대해 서양과는 다른 대륙의 연장 즉 邊疆으로 인식하였던 중국은 그 나름대로의 역사 전통 속에서 해양인식과 교류의 보유하고 있었다. 즉 唐宋 시대의 선박건조 기술이나 나침반의 발견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겠는데 이는 세계사적으로 우수한 문명으로 인정되는 사실이다. 한편 근세 이후 해양에 대한 국가 통제차원에서 시행된 明代와 淸代의 海禁政策 역시 중국의 전통적 해양 인식을 대표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책으로서 근대 이후까지 중국의 역사 전개에 지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중국 역사 속에서 해양과 관련하여 존재하였던 사실들이 그 평가 측면에서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중국적 특징이 그대로 내재되어 있음은 인정되어져야 하겠지만 근대적 의미의 해양성이 상실되었다는 점은 지적되어야할 부분이다. 특히 海禁政策은 당시의 변화하는 세계조류에 역행하는 조치였다는 점에서 그것이 미친 영향과 이러한 정책을 채택하는 데에서 작용한 당시의 해양인식은 현대 중국의 해양정책과 인식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晩年思想을 통해 살펴본 陳獨秀의 “세계화 (Globalization)” 인식

        이준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7 아태연구 Vol.14 No.2

        진독수는 신문화운동을 통해 중국에 서구 민주주의를 도입하였고, 5.4운동 이후에는 믿음을 주었던 서구열강의 제국주의적 태도로 인해 실망하고, 다시 소련을 모델로한 새로운 국가 형태를 모색하여 중국에 마르크스주의를 도입하고 소개하였다. 중국공산당 창당과 함께 초대공산당 서기장이라는 현실 정치인으로 역할을 하는 등 20세기초 중국의 국난의 상황에서 구원을 위해 지식인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하였으나 현실 정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학자적 한계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진독수는 중국이 처한 현실 그리고 현실정치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의 허구성 등을 직시하고 그가 생애를 통해 변한 것 같으면서도 항상 그의 의식의 세계를 지배하였던 것은 바로 민주주의 사상이었다. 중국의 봉건주의, 제국주의 모순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의 와중에서 나타난 세계 국가들의 갈등 등 모든 문제의 원인은 바로 각국이 진정한 민주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진정한 세계평화는 바로 각국이 민주주의를 실천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당시로는 매우 선진적이고 선견적인 주장을 하였다.

      • 진독수의 혁명적 활동 신해혁명 전후를 중심으로

        이준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5 아태연구 Vol.12 No.1

        Before the 1911 Revolution, Chen Duxiu was seriously considered about chaotic status of China, and questioned himself such as "what should be the purpose of the nation?", "what is the difference of between the civilization of China and the Occident?", "is China qualified to be a nation in modern times?", and "how can China exalt the national spirit?" to find answers. His choice in the early days of his revolution activities starting on these recognition was mass-enlightenment movement through education at first. Moreover, he found the role as a teacher for growing youth, worked for activities of the press for the propaganda of the masses revolutional recognition and enlightenment. Chen became recognizing organization of revolution group and its necessity that was the tendency of revolutionary intelligentsia in those days. he practiced essential conditions of the revolution group through the process. Chen Duxiu concentrated his revolution ability developing revolution activities by combining with revolution power for realization of these revolution ways. In the case of Yuewang Hui, although he was not an expert on military field like each local leaders of other Yuewang Hui that had military background, he was also consolidating a firm position for coming up to revolution. Also he published "Anhui Suhua Bao" newspaper in his hometown Anqing. It not only made all people aware of consciousness by notifying China's state but also awoke enlightenment as a newspaper about new world. Chen's activities constructed a foundation for developing revolution activity in the Yangtze River and the bas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the 1911 Revolution. Many members of the association were members of Anhui Patriotic Association. Furthermore, his revolution acitvities in his hometown was a chance to show his ability. Of course this was a work to possess the confidence in his future revolution career. 辛亥革命 前 중국의 혼돈 상태에서 진독수는 ‘국가의 목적은 무엇이어야만 하는가?’ ‘중국의 문명과 서구의 문명은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가?,’ ‘중국은 현대세계 속에서 국가가 될 자격이 있는가?,’ ‘어떻게 하면 중국 국민의 민족정신을 앙양시킬 수 있는가’ 등에 관해 고민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시작된 그의 혁명 활동 초기단계에서 그가 선택한 방법은 무엇보다도 교육을 통한 民智啓蒙이었고, 이러한 계몽을 위해 자라나는 젊은이들을 위해 교사로서의 역할을 찾았고, 대중들의 계몽과 혁명의식의 선전을 위해서는 각종 언론활동에 종사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당시의 혁명적 지식인들의 대체적인 추세였던 혁명단체의 결성과 그 필요성을 점차로 인식해갔는데 그 과정을 통해서 陳獨秀는 혁명단체의 요건들을 익혀나갔다. 이러한 혁명 방법의 현실화를 위해 陳獨秀는 당시의 혁명세력들과 결합하여 혁명 활동을 전개하면서 그의 혁명역량을 결집하여 갔다. 岳王會의 경우에서도 그는 다른 岳王會의 각 지역 지도자들처럼 당시 淸政의 新軍 내에서 혁명 활동을 하던 군사적 배경을 가진 군사 방면의 전문가는 아니었지만 그는 다가올 혁명(辛亥革命)을 위한 확고한 위치를 굳혀가고 있었다. 또한 고향 安慶에서 백화문 신문인『安徽俗話報』를 발간하여 국민들 누구나가 당시의 중국이 처한 상황을 알려서 국민들의 자각심을 일깨웠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계에 대한 소식지로서 계몽의식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그의 활동은 뒷날 揚子江 하안 지역에서의 혁명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했으며 그 기반은 1911년의 혁명에 커다란 공헌을 했다. 협회의 많은 회원들이 中國同盟會의 회원들이기도 했거니와 나아가 고향에서의 陳獨秀의 혁명 활동은 혁명의 조직을 짜고 이끄는 그의 능력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이점은 그의 장래의 혁명경력 속에 그이 신망을 두텁게 하는 일이었다.

      • KCI등재후보

        남북한 역사교육 분석을 통한 역사의식 통합 방안모색

        이준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9 아태연구 Vol.16 No.2

        History textbook, designed to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 tends to be considered as an emblem expressing a social or national identity. It is true that all kinds of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sulted from the more than a half century’s separation and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Most of all, although two countries share the same historical background, it is obvious that there is huge difference in describing each country’s history. For instance, ““with positively analyzing historical events or facts, historians in South Korea tend to focus on establishing nationalistic legitimacy and promoting people’s pride of self-reliance Korean history.”” Yet, North Korea historians, based on proletariat social revolution ideology, tend to emphasize anti-foreign influence and building their country as a socialist state’s model. For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Korea’s historical views, it is appropriate to expect that the next generation of two Korea may have great difficulty in recovering their historical homogeneity when two Koreas are unified as one country. Thus, it is time for discussing the implicit meaning of such difference and searching for a history education method designed to actualize peoples’nationalistic identical unification. In order to realization peoples’ identical unification after the geographical unification, we need to modify our own history textbooks now. It is necessary for two Korea’s historians to consider the following indications of modifying history textbooks. First, the new textbook must be met a global and universal standards of international history. Secon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in terms of describing a certain country’s history, the new textbook must cover the diverse viewpoints in describing Korean history. Third, historians for the new textbook must have neutral viewpoint in terms of their political ideology because they are to evaluate certain political events of current period. Four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new governmental organization that is autonomous and designed to modify Korean history textbook, for instance, ““the committee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unified Korea.”” 역사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는 어떤 국가나 사회가 구현하고자하는 정체성의 대표적인 표현물이라고 생각된다. 반세기 이상을 완전히 서로 다른 정치 이념과 사회조직을 구현해온 남한과 북한의 이질성은 사회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그 무엇보다도 동일한 역사에 대한 역사 교과서의 서술의 차이는 가장 대표적인 이질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역사의 흐름을 발전적인 시각에서 파악하여 민족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자주적 역사에 대한 긍지를 지니며, 새로운 역사 창조에 기여한다」와「계급의식을 고양하고 반외세 투쟁정신을 고취하여 주체의 조국, 사회주의 모범의 나라의 우월성을 내세우고 혁명의 위업을 수행한다」는 교육목적에서부터 그 교육의 지향성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는바, 현재의 시점에서 염려되는 것은 지난 온 시간의 차이점보다는 이러한 서로 다른 방향성에서 형성된 후세의 역사 인식이 통일 후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야할 민족동질성 회복에 얼마나 큰 걸림돌이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현재의 시점에서 할 수 있는 통일 이후 국민통합을 위한 국사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와 노력이 절실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국사 교육이 가지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지금 보다는 더 국사교육을 강화해야 되며, 통일 이후를 대비한 국사 교과서의 개편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구체적인 지침으로는 첫째 세계화의 추세에 맞춰 국제화의 흐름에 맞는 보편성을 확보한 세계사의 방향에 부응하여야 하며, 둘째 역사적 사실의 해석에 다양한 사관이 존재할 수 있음을 전제로 현재의 국사교과서의 분량을 대폭 확충해야만 한다. 셋째 국사교과서의 집필진은 근현대사 부분의 정치적 평가에 대한 예민함을 감안하여 중립적인 학자들로 집필위원회를 구성하고 넷째, 교육과학기술부나 국사편찬위원회 산하에 ‘통일 후 국사교육 준비위원회’와 같은 조직의 설치를 들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關系(Guanxi)’ 문화의 사회적 영향 -부패문화와의 연관성에 대한 계량적 고찰

        이준태,김정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1

        When we talk about Chinese people, the issue of social relationship is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topic in terms of Chinese people'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ttitudes. Not only do Chinese people recognize social relationship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ir social lives, but also people in other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do so. Although Chinese society had been rapidly developed, Chinese people's perception of social relationship has not been changed because Chinese people tend to regard social relationship as cultural tradition in China. This study is designed to show some light on how Chinese people acknowledge the role of social relationship in contemporary China. What the authors fin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 survey data (Asian Barometer 2009) are the following aspects. First, even though most Chinese people criticize all kinds of corruption which seem to be related to 'individual's social network (Guanxi), those with such critic are more likely to accept the usefulness of Guanxi tradition in their social lives. It suggests that Guanxi culture (‘utilizing individual’s social network in problem-solving proces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Second, Chinese people blaming serious corruption in China have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not blaming the corruption. Third, because young peoples in China are not inclined to recognize Guanxi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making his/her life successful,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traditions in Chinese history, ‘individual’s social network (Guanxi), would go out of existence as like other social and historical traditions. 중국하면 관계(關系)를 떠올릴 만큼 사회 전반에 걸쳐 수많은 관계(关系)가 작용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로써, 关系는 중국인의 심리와 행위양식을 이해하는 키워드로 인식되어 왔다. 물론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은 중국은 물론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형태는 다르지만 다양한 형태로 세계 곳곳에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人治를 구가해 온 중국에서는 분명 다른 지역 국가와는 다른 형태로 존재하여 왔으며 특히 개혁 개방 이후 급속한 경제 발전 속에서도 그 전통을 존속시켜 왔다. 급격한 경제 성장과 같은 사회 현상 속에서 전통의 단면으로서 关系에 대한 현재 중국인이 인식을 규명한 결과, 첫째, 현대 중국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부패구조와 관련하여 关系를 사회생활에서 잘 활용하는 사람들일수록 중국 내 부패구조 존재에 대한 확신을 보여주었고 더 나아가 신랄한 비판을 할 정도로 본인의 关系 활용에 대한 역설적인 존재인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부패구조에 대한 역설적인 비판을 하는 중국인들일수록 개인의 삶의 만족도는 그렇지 않은 계층보다 훨씬 높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关系문화가 향후 21세기에 더욱 발전하고자 하는 중국사회에서 그 존재가 계속 남아 있을 것인가와 관련하여서는 통계분석 결과, 젊은 계층의 关系에 대한 활용 의지 및 행동 욕구가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음을 보여주고 있는바 중국의 고유한 关系문화는 시대가 흘러감과 동시에 점차 소멸의 길을 걸을 것으로 예측된다.

      • 중국의 한국사 연구와 교육 현황

        이준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6 아태연구 Vol.13 No.2

        중국의 한국지역학 연구 중 한국사 부분 중 역사 부분에 국한시켜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로 본고를 정리하였다. 먼저 한국사 연구는 일찍이 신해혁명 기 한중 모두 어려운 국정 하에서도 그 시작을 볼 수 있었는데 그 연구의 목적 및 의도는 본고에서 살펴본 것 처럼 각 시기 마다의 정치적인 상황에 크게 좌우 될 수 밖에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중국의 정치상황의 변화 및 한반도의 정치, 경제의 상황 변화와 항상 함수관계를 가지면서 이루어져 왔었다. 특히 한국과 수교 이후에 상황은 중국의 개혁개방의 성공과 한국의 경제적 도약이라는 상황이 서로에 대한 흡인력을 더욱 요구하면서 그 이전의 정치적 영향력을 최소화 하면서 그나마 객관적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평가되어진다. 중국의 초중등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 중 한국 관련 부분은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 서술된 것이 아니라 중국의 역사 교육의 기본 방침 즉 ‘다민족통일국가’를 주장하기 위해 보조 자료로서 다루어졌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도 분명 ‘애국주의’로서 ‘민족주의’를 강조하지만 여기에서 중국에서의 ‘민족주의’는 한국의 단일민족을 의미하는 ‘민족주의’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