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스펜션 체결용 플랜지 볼트 좌면 각도에 따른 풀림 영향도 연구

        이준민(Joonmin Lee),이민구(Mingu Lee),안혜민(Hyemin Ahn),박형석(Hyoungseok Park),이계호(Kyeho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2 No.6

        The loosening robustness of the hardware for the coupling of each part in the suspens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passenger safety. For this reason we have designed suspension fasteners in consideration of factors that affect the loosening in advance.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affect hardware loosening, including coefficient of surface friction, thread friction, tightening torque, axial force and equivalent diameter, etc. There is a difference in bolt bearing surface angle depending on the process capability of each flange bolt manufacturer, and in this study, we checked how hardware loosening effect changes depending on flange bolt bearing surface angle

      • KCI등재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요인 분석

        이준민(Jun min Lee),황준석(Jun seok Hwang),김종립(Jong lip Kim) 한국IT서비스학회 2016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5 No.4

        On account of multiple causes, including prolonged global economic crisis, addres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advent of hyper-connected society, a new paradigm called sharing economy has rapidly emerged. Many startups have attempted to build promising business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concept. Nevertheless, successful cases are still very rare in the global level, except for Uber and Airbnb ca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necessary causes and sufficient causes for successful settlements in the market through a comparative case analysis on digital matching firms in the sharing economy businesses. For the case study, we compare five successful cases (Uber, Airbnb, Kickstarter, TaskRabbit and DogVacay), three failure cases (Homejoy, Ridejoy and Tuterspree) and a platform cooperativism case (Juno) in accordance with six value attributes of business model including value proposition, market segment, value chain, cost structure and profit potential, value network and competitive strategy. We apply Boolean method to support controlled comparison and eliminate unnecessary attributes. The Boolean analysis result shows that value proposition, cost structure and profit potential, value network and competitive strategy are the essential attributes. Furthermore, the result indicates that each attribute is a necessary condition, where all four conditions should be met simultaneously in order to be successful. With this result, we discuss essential consideration for those who are planning startup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

      • KCI등재

        주 52시간 근로제의 도입이 임금, 고용 및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민(Jun-Min Lee),홍지훈(Gi-Hoon H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21 한국경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2018년 시행된 주 52시간 근로제도의 도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법정근로시간의 단축 이후 예상되는 임금 수준의 상승은 대체효과와 규모효과를 동시에 야기하기 때문에 제도변화에 따른 고용의 변화 방향은 이론적으로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20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주 52시간 근로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이 2018년 7월 300인 이상 규모의 사업장에 우선적으로 시행되었음을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제도 시행 전 52시간 초과 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사업체를 중심으로 실제 근로시간이 감소하고, 시간당 임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시간 감소를 통해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려는 제도의 도입목적과 일치하는 방향을 보이고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주 52시간 근무제의 영향이 보다 집중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체를 중심으로 고용 수준 및 정규직 근로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영세업체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근로시간 단축이 고용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특수성을 감안한 보완책의 활용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abor market impacts of introducing the 52-hour workweek policy. Since the expected rise in the wage level after the reduction of statutory working hours causes both a substitution and a scale effect, the direction of employment change following the institutional change is theoretically ambiguou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effect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by analyzing the 2016~2020 work status survey by employment type. Considering that the reduction of statutory working hours was first implemented in workplaces with 300 or more employees in July 2018, we choose to employ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estimating an alternative model that includes the proportion of employees who worked over 52-hours per week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we find that the actual working hours decreased, with the hourly wage increasing, mainly in workplaces with a high proportion of employees working over 52-hours. Howev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mployment level and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decreased mainly in businesses that are expected to be more intensively affected by the 52-hour workweek policy.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mployment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it is necessary to adopt complementary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each industry.

      •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요인 분석

        이준민(Lee, Junmin),황준석(Hwang, Junseok),김종립(Kim, Jonglip) 한국IT서비스학회 2016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추계

        본 연구는 공유경제 비즈니스들 중 Digital Matching Firms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연구를 통해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파악하여,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스타트업을 기획하는 예비 창업자들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점들을 논의한다. 사례연구는 기술혁신으로 인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요인들인 가치제안,시장세분화, 가치사슬, 수익구조, 가치네트워크, 경쟁전략 여섯 가지 요인을 기준으로 글로벌 공유경제 서비스들 중 성공적으로 정착한 다섯 기업과 정착에 실패한 세 기업을 대상으로 비교사례분석을 진행한다. 그리고 통제된 비교를 통해 서로 짝지을 수 있는 사례들에 부울 방법을 적용하여 창업에 있어 불필요한 요인들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성공적인 정착으로 이어지는 필수요인을 도출한다. 분석 결과, 시장세분화와 가치사슬 요인이 최소화되고가치제안, 수익구조, 가치네트워크, 경쟁전략 네 가지 요인이 필요조건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들은 개별적으로 충족되는 것이 아니라, 부울 방법에 따라 네 가지 필요조건들 모두가 동시에 충족되어 충분조건이 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물권적청구권의 행사시 소송물과 소송신탁에 대한 적극적인 심사의 필요성 : 대법원 2020. 5. 14. 선고 2019다261381 판결을 중심으로

        이준민(Jun Min Lee)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2

        대상 판결은 소유자의 소유권에 근거한 물권적청구권과 저당권자의 저당권에 근거한 물권적청구권은 엄연히 별개의 청구권에 해당한다는 매우 간략한 법리에 근거하고 있다. 위와 같은 결론은 지극히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만약 소유자와 저당권자 사이에 기판력의 제한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저당권을 활용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한 합의가 있음에도 변론종결 후 승계인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후속 소송의 적법성을 인정하여야 하는가. 소유자와 저당권자 사이의 거래가 소송신탁에 해당된다면 후속 소송의 적법성은 더 이상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변론종결 후 승계인에 해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거래가 이루어진 사안에서, 법원은 소송신탁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인 판단을 하여야 기판력 제도의 안정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위 판단을 함에 있어서, 민법상 사해행위 관련 법리와 민사소송법상 사해방지참가 관련 법리 그리고 특허괴물과 관련된 권리남용금지 원칙에 관련된 법리를 적용하여 당사자들의 주관적 요건에 대해 추정을 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The judgment that is the subject of this article is based on a very simple jurisprudence that the right to claim property based on the owner s ownership and the right to claim property based on the mortgage of the mortgagee are distinctly separate claims. It is hard to dispute that the above conclusion is very reasonable. However, suppose there is an agreement between the owner and the mortgagee to use the mortgage as a way to circumvent the limitation of Res Judicata. Even if there is such an agreement, should the legality of the subsequent lawsuit be recognized on the ground that it is not a successor after the closing of pleadings? If the transaction between the owner and the mortgagee falls under a trust aimed at lawsuit, the legality of the subsequent litigation will no longer be justified. Then, in a case in which a transaction is made to prevent the person from being a successor after the closing of the pleadings, the court must make a more active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it falls under a trust aimed at lawsuit,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Res Judicata system can be sustained at the same time. In making the above judgment,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presuming the subjective requirements of the parties by applying the jurisprudence related to fraudulent acts under the Civil Act, the jurisprudence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in the prevention of fraudulent acts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 jurisprudence related t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related to the patent troll.

      • KCI등재

        관급공사 도급계약에서 발생하는 간접비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소고 : 대법원 2018. 10. 30. 선고 2014다23518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이준민(Jun Min Lee)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9 No.4

        Recognizing the form of the long-term continuing contract when entering into a contract for construction works from a central government is a unique legislation in Korea. The content of governing laws about the long-term continuing contract directly affects the interests of the other party. When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evitably extended, the indirect cost of th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that the other party can claim to the ordering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is difficult to claim and difficult to prove during the construction.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took a more serious attitude toward the latter than the former in that the overall contract was composed of all the period-based contrac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majority opini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practice of contract execution and implementation actually places more emphasis on the overall contract,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Act on contract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should not be interpreted against the other party. If it is inevitable that the Supreme Court interprets the ruling as subject to the ruling,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present 『Act on contract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djusting the interests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amendment may also be a solution. 관급공사 도급계약에서 장기계속계약의 형태를 인정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독특한 입법례에 해당한다. 그리고 장기계속계약에 대해서 규율하는 법령의 내용은 계약 상대방의 이해관계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공사기간이 불가피하게 연장되었을 때에 계약 상대방이 발주자인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게 청구할 수 있는 추가 공사비용 중 간접비 부분은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청구하기도 어렵고 증명하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 대상 판결에서 다수의견은 장기계속계약에서 총괄계약은 개별 차수별계약이 모여서 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자보다는 후자를 더 중시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그러나 실제 계약 체결 및 이행에서의 실무는 총괄계약을 더욱 중시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국가계약법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계약 상대방에게 불리하게 해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다수의견을 수긍하기는 어렵다. 다만 현행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규정 내용에 근거해서는 대법원이 대상 판결과 같이 해석을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한다면, 법률개정을 통해 계약 상대방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 또한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