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주파 투자율 측정용 치구 설계 및 자성 막의 투자율 추출

        이준,백일,김기현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2

        To measure the permeability and the ferromagnetic resonance up to the GHz frequency region, we designed and analyzed a permeability jig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on a strip line. The permeability jig was composed of the strip shaped signal line and the ground plane, which were placed on the bottom and the top sides of the signal line in order to match the 50 Ω impedance and to reduce the signal noise. Both end sides of the signal line were connected with SMA connectors to measure the permeability by using a vector network analyzer. To analyze the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on the permeability jig, we employed the finite element method by using the HFSS commercial program. The reliability of the permeability jig was proven by using the calculated permeability frequency profile with a ferromagnetic resonance at around 1 GHz. The effective permeability frequency profile was extracted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with the obtained s-parameter. The extracted effective permeability agreed well with the proposed permeability data up to 5 GHz. 자성체의 고주파 투자율 및 GHz 대역 강자성 공명 현상을 측정하기위하여 스트립라인 신호선을 이용하여 측정용 치구를 설계하고 전자계해석을 하였다. 측정용 치구는 신호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트립형태의 신호선 및 신호선 위아래에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면을 형성하여50 Ω의 특성임피던스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신호선의 양단은SMA 커넥터를 연결하여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있도록 하였다. 자성체의 투자율은 약 1 GHz 근처에서 강자성 공명이발생하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투자율 데이터를 전자계 해석프로그램(HFSS, ANSYS사)에 적용하여 치구 설계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투자율 측정용 치구를 통하여 얻은 s-파라미터는 마이크로스트립계산법에 의하여 투자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약 5 GHz 영역까지투자율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자성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능

        이준,김기현,백일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4

        To optimize the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in a magnetic composite sheet by varying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we evaluated the transmission power absorption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IEC 62333 standard). To analyze the power absorption, we extracted the magnetic and the dielectric loss, which contribute to the total absorption.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microstripline and a magnetic composite sheet were simulated by using a 3D finite elements method (FEM) commercial program in the frequency range from 0.2 GHz to 10 GHz. The power absorption by the magnetic composite sheet was governed by the loss tangent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When the real parts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of a 100 $\mu$m-thick composite sheet were fixed at 2 and 10, their loss tangents were 0.5 and 0.1, respectively, and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3.79% at 9.6 GHz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8.98%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1.78%. When the loss tangents were 0.1 and 0.4,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9.19%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1.77%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6.77%. 전자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자성 복합체 시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라인 평가법(IEC 62333-2)을 적용하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 특성을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총 흡수능에 기여하는 자성, 유전 손실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라인과 복합체 시트의 전자기 전산모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0.2~10 GHz 영역에서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는 유전율 및 투자율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동일한 투자율 및 유전율 실수부에서 허수부가 클수록 전력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 $\mu$m의 두께를 갖는 복합체 시트의 투자율과 유전율의 실수부 값이 각각 2와 10이고 손실 탄젠트 각각 0.5, 0.1인 경우 총 전력 흡수능은 13.79%이었다. 이 때, 자성 손실은 8.89%, 유전손실은 1.78%를 보였다. 손실 탄젠트가 각각 0.1, 0.4인 경우, 복합체 시트의 총 전력 흡수능은 19.19%이었으며 1.77%의 자성 손실과 6.77%의 유전 손실을 보였다.

      • KCI등재

        Ultrasensitive crack-based strain sensors: mechanism, performance, and biomedical applications

        김윤,이준,강승균 대한기계학회 2022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3

        Accurate and sensitive detection of strain generated from biomechanical motion and metabolism paves the way for diverse biomedical applications, including personalized healthcare, early detection of pathological symptoms, medical robotics, and human–machine interfaces. A crack-based strain sensor provides highly sensitive measurement with flexibility, cost-effectiveness, and simple device fabrication. Here, the working principle of a crack-based strain sensor based on the disconnection and reconnection of cracks is reviewed. Crack geometry and morphology, such as depth, density, and arrangement, which affect the sensitivity, repeatability, and linearity of the sensor, are discussed. Crack formation method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crack-based strain sensors are also discussed. Lastly, representative biomedical applications of ultrasensitive crack-based sensors as wearable healthcare devices, precise medical tools, and cellular force analyzer are reviewed.

      • 고속도로 교통 데이터를 위한 이력자료 관리시스템 설계

        이준,전세길,궁성,백승걸(Seung Kirl Baek),이현석(Lee, Hyeon-Seok)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2 No.-

        지난 ’93년 교통종합사령실 개통을 시작으로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우리나라 ITS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FTMS)을 비롯하여 고속도로 우회국도 교통정보 시스템 (ARTIS) 등을 설치·운영 중에 있다. 이들은 고속도로 교통분산 유도 및 운영 효율성 향상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도로이용자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통합정보제공체제를 구축 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가 운영 및 관리하는 교통관리 시스템은 2005년말 기준으로 고속도로가 약 3,012㎞, 고속도로 우회국도가 약 665㎞에 이른다. 이들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원시 데이터는 하루 약 7GB에 달하지만, 이들은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에 국한되어 이용되고 있을 뿐, 장기간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여 이력자료에 대한 분석과 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목적 등의 용도로는 그 활용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대량의 이력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웨어하우스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는 기존의 운영 데이터시스템 환경과 비교할 때 하드웨어 활용도변에서나 시스템 개발방법 변에서 확연히 다른 형태를 가진다.

      • KCI등재

        응급실 소아 천식 환자를 위한 표준 진료 지침의 적용: 부정확 적용군과의 비교

        지선,조연수,전윤홍,윤종서,김진택,이준,김현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0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0 No.4

        Purpose: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tandard clinical pathway based on evidence is applicable to pediatric asthma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and whether it is better for treatment effectiveness. Methods:The clinical pathway was applied to children who visited our emergency room due to acute asthma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09. Medical records of the emergency room were reviewed to see if the clinical pathway was correctly appli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ose who the pathway was correctly applied and those who the pathway was incorrectly applied to (group B, n=41). Results:Acute asthma exacerbation occurred in 24 children (47%) in group A, while it occurred in 27 children (53%) in group B. The majority of patients in group B had moderate asthma exacerbation. The incorrect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and no use or insufficient use of inhaled anticholinergics was most frequently noted. The most common cause for the incorrect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was its misunderstanding of residents. The hospitalization rate was higher in group B than in group A. Conclusion:The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to pediatric asthma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increased treatment effectiveness. However, training for the residents and intensive care for the patient with moderate asthma exacerbation are necessary for correct applic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목적: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천식 환자에게, 근거에 중심을 둔 표준 진료 지침을 적용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응급실에서 정확하게 시행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표준 진료 지침의 정확한 적용이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 까지 천식의 급성 악화를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환자 전원에게 표준 진료 지침을 적용하였다. 응급실 진료기록을 조사하여 표준 진료 지침이 정확하게 적용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정확하게 적용된 집단과 부정확하게 적용된 집단으로 나누어 치료의 효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연구 대상 51명의 급성 천식 악화 환아 중 표준 진료 지침이 정확하게 적용된 환자는 24명(47%)이었고, 부정확하게 적용된 환자는 27명(53%) 이었다. 부정확하게 적용된 군에서는 중등도 악화가 많았다. 부정확하게 적용된 내용으로는, 흡인성 항콜린제를 사용하지 않았거나 적게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잘못 적용된 이유로는 응급실에서 환자를 진료한 전공의의 숙지 미숙이 가장 많았다. 표준 진료 지침의 항목 중 핵심적인 치료를 부정확하게 실행한 환자에서 병실로의 입원율이 높았다. 결론: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천식 환자에 대하여, 표준 진료 지침을 적용하는 것은 치료의 효과를 향상 시켰다. 그러나, 이 지침을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하여는 중등도 악화 환자에 대한 집중 관리 및 응급실에서 진료를 하는 전공의에 대한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글로벌 대학에서 효과적인 영어강의를 위한 혼합형 학습 연구

        지혜(Nam J. Sophia),최혜봉(Choi Hye-bong),이준행(Lee Jun Hae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전통적 교수법을 사용하는 영어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언어적인 장벽을 고려하면 전공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단순히 영어로 명시적인 지식전달을 한다고 해서 영어능력과 전공지식이 더욱 향상 되거나, 글로벌 인재로서의 품성이 함양되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형 학습으로 기존의 교수법에 변화를 주어 영어강의의 효과성을 높이려 한 사례를 소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의 글로벌 대학에서 2016년 2학기(전통적 교수법으로 강의), 2017년 2학기(혼합형 학습 적용)에 영어강의를 열고 수강생 총 94명(2016년 24명, 2017년 70명)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혼합형 학습의 효과성 분석을 위하여 두 강의에 대한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혼합형학습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7년 수강생의 데이터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혼합형 학습이 수업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만들어내지 않았지만, 학업성취도는 유의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합형 학습에서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수강생의 GPA와 수업태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raditional pedagogy for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 comes with great challenges. Conveying the subject content effectively is made difficult due to the perceived and actual language barriers in students. Moreover, this article argues that merely delivering content knowledge in the English language defeats the very purpose of English-medium instruction, which is to foster global leadership skills in studen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mediated course conducted via blended learning format in a global university located in South Korea. A total of 94 students (24 students in 2016, 70 students in 2017) participated in a developmental psychology course taught in 2016 (traditional lecture format) and 2017 (blended learning format). Course satisfaction ratings and course grades from the two semesters were compared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blended learning format. R esult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course satisfaction between the semesters, bu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urse grades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lended learning cour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further conducted for the blended learning cours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tudent course grades. Students’ overall GPA and course attitud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blend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