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동해에서 주파수 변조에 기반한 장거리 수중음향통신의 해상실험 결과

        이주형,이근혁,김기만,김완진,Lee, Joo-Hyoung,Lee, Geun-Hyeok,Kim, Ki-Man,Kim, Wan-Jin 한국음향학회 2019 한국음향학회지 Vol.38 No.4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sea trial results of long distance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n the East Sea, October 2018. One transmitter and sixteen vertical array receivers were used to collect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signals, and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as 90 km. Information was transmitted by BFSK (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and BCSK (Binary Chirp Shift Keying) method, which are typical digital frequency modulation techniqu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error in all cases at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60 km, and BFSK and BCSK have average uncoded bit error rate of 0.0197 and 0.0007 respectively without channel coding at 90 km transmission distance.

      • KCI등재후보SCOPUS

        백혈병환자 대상의 제1상임상시험 연속재평가방법

        이주형,송혜향,Lee, Joo-Hyoung,Song, Hae-Hiang 한국통계학회 2011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8 No.5

        제 1상 임상시험 계획에서 신약제의 최대허용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전통적 방법인 표준 3+3계획과 모형중심의 베이지안 방법을 적용시킨 연속재평가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치료불응 또는 재발된 백혈병이나 골수형성 이상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제 1상 임상시험의 연구계획을 개관하였다. 단순한 표준 3+3계획으로 환자확보 기간이 길어져 연구를 완성하지 못하고 때 이르게 중단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 반하여, 최근에 제시된 표준 3+1+1계획과 Rolling-6 계획은 연구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제1상 임상시험의 용량수준 선택과정에서 너무 보수적인 연구자의 태도는 최대허용용량의 정확한 추정을 불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환자에게 투여할 용량수준을 결정할 시점에서 용량제한 독성반응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환자의 관측시간 및 늦게 나타나는 환자의 독성반응 시간을 모두 감안한 연속재평가방법인 TITE-CRM계획이 유용하며, 이러한 CRM계획으로 진행되는 임상시험 시행 중 모의실험으로 각 용량수준에서 용량제한 독성반응율이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이 장점이다. 백혈병환자 대상의 임상연구에서 채택되는 제 1상 임상시험의 여러 연구계획의 장, 단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RFID 시스템에서 OTP를 활용한 개인프라이버시 보호

        이주형 ( Joo-hyoung Lee ),장태무 ( Tae-mu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최근 물류, 교통, 환경 등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 중 다양하게 많이 사용되어지는 RFID 시스템은 우리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것이 가지고 있는 보안적 취약점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개인정보를 도용하여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고 사생활까지 침해하여 사회에서 큰 불신을 갖게 되는 이러한 취약점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보안방식들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안방식 중 OTP(One Time Password)라는 보안방식을 RFID 시스템에 응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에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여러 보안방식들 보다도 더욱 안전하게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디지털 통상의 국제규범화 현황과 쟁점: 국경 간 데이터 이동 및 데이터 보호를 중심으로

        이주형(Joo Hyoung Lee),서정민(Jeongmeen Suh),노재연(Jaeyoun Roh) 한국무역학회 2021 무역학회지 Vol.46 No.3

        Koreas FTA e-commerce regulations are evolving into a standardized norm. However, location of computing facilities, which was not covered by Koreas existing FTA, was newly established in Koreas first Mega FTA, RCEP. China, a member of RCEP, restricts data movement and requires data localization through its Cybersecurity law. These facts have led to start this study with interest in data-related regulations. It examined country-specific and regulatory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forming digital trade norms, using the TAPED established by Burri et al. (2020). It als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roducing norms related to data flow‘, ’data localization and data protection of the EU, USA and China, which are leading the formation of e-commerce trade norms. Finally, the legal review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xact meaning of the wording expressed in each agreement for the six recently enacted Mega FTAs and Digital Economic Agreements.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RCEP and the direction of negotiations on Korea’s digital trade norms.

      • KCI등재

        FTA 디지털 무역 장(chapter)의 비차별 대우 규정에 대하여

        이주형 ( Lee Joo-hyoung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一鑑法學 Vol.0 No.46

        인류는 디지털 신기술들로 인하여 다양한 혜택을 누리게 된 반면, 다국적 디지털 기업과 국내 기업 간의 역차별, 다국적 기업들의 경쟁법 위반 가능성, 개인정보 침해, 사이버안보 및 국가안보 이슈 등 다양한 부작용들이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자 각국은 새로운 규제조치를 내놓고 있고, 디지털 기업들은 이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고자 한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이러한 충돌을 조화롭게 규율할 수 있는 국제규범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지난 몇 십 년간 다자 차원에서의 논의가 부진하자, 지역무역협정 차원에서 디지털 교역규범이 적극적으로 수립되어 왔다. 지역무역협정에서 소비자 보호나 개인정보 보호 등 비무역적 이슈는 발전을 거듭해 온 반면, 전통적인 무역이슈인 비차별 대우원칙은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행 지역무역협정상 디지털 교역의 비차별대우원칙은 비차별 대우원칙의 수용과 불수용 입장을 가진 국가 간의 의견 분열, 보편적인 비차별 대우원칙의 부재, 비차별 대우원칙 적용대상의 한계, 디지털 교역 관련 시장개방에 대한 논란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물론, 비차별 대우원칙은 차별대우의 대상이 명확하게 확정되고 난 이후 논의하는 것이 논리적일 것이다. 그러나, 규범이 기술의 발전을 쫓아올 수 없는 디지털 무역의 특성상, 현재 논의되는 광의의 디지털 무역에 대한 정의를 전제로 비차별 대우원칙을 고민해 보는 것을 더 지연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고는 디지털 교역의 특징에 맞는 비차별 대우원칙을 어떻게 수립하여 나갈지를 검토해 보았다. 상품 및 서비스 무역협정 등 기존 협정과의 관계에서 기존 GATT 및 GATS의 규범의 적극적 해석과 적용을 통해 디지털 교역을 포섭해나가는 방안(적극/확장 해석방식), GATT 및 GATS 등 기존 규범으로 포섭하기 곤란한 부분을 명확하게 확인하고 이러한 부분에 적합한 독자적인 비차별 대우규범을 창출해서 적용해 나가는 방안(보충적 규범 창출 방식), GATT 및 GATS의 규범에 우선하는 특별규범을 창출해서 적극적으로 규율해나가는 방안(특별 규범 창출 방식)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우선 보충적 규범 창출방식은 기존 무역과 디지털 무역간 경계선 획정의 어려움으로 활용이 어려울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적극/확장적 해석방식 역시 기존 협정인 GATT 및 GATS와의 연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이상, 디지털 무역만의 독특한 취지와 정신을 충분히 감안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전체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감소되는 상품이나 서비스 무역상 기존 규범의 적용보다는 향후 대부분 디지털 교역으로 편입될 상품이나 서비스 무역에도 디지털 교역에 대한 특별규범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특별 규범 창출 방식’이 보다 현실적이자 미래지향적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human beings enjoy various benefits from digital technologies, they can encounter several adverse effects including reverse discrimination between multinational and domestic companies, possible violation of competition laws by enterprises, privacy infringement, cyber security issues. To minimize these adverse effects, countries have come up with new regulatory measures to keep this situation under control and digital industries are struggling to expand internationally to secure new market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 norm that can harmonize these conflicts. In the last few decades, as multilateral discussions have been sluggish, digital trade rules have been agreed at the level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While non-trade issues such as consumer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have been developed in the regional trade agreement, traditional trade issues such as non-discrimination principle have not been actively discussed. Recently, new norms such as cross-border transfer of data and prohibition of installation of local servers have been actively introduced in the regional trade agreements, instead of principle of non-discrimination. Principles of non-discrimination in the current regional trade agreements have several problems such as disagreement among countries, absence of its universal type, controversies on the market openness. It would be much more logical to discuss non-discrimination principle right after confirmation of the scope and definition of ‘digital trade’. Considering the unavoidable gap between speed of digital technologies and related norms, however, we cannot delay comprehensive discussion on non- discrimination principle based on the wide definition and scope of digital trade. In the first approach, we are able to embrace digital trade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existing GATT and GATS norms. Second approach is that we should clearly identify the areas that are difficult to comply with existing GATT and GATS norms and create and apply a new norms suitable for these areas. For the third approach, we should generate and actively regulate special rules that can prevail GATT and GATS norms. Among the above approaches, the last approach, ‘special rule creation method’, that actively apply special rules for digital trade to trade of goods and services, can be balanced with current trends.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무역상 원산지에 관한 연구

        이주형 ( Joo-hyoung Lee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집 Vol.24 No.3

        Much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possibility of moratorium on customs duties on digital products being agreed upon in the WTO e-commerce negotiations. However,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dia and South Africa still attempts to impose tariffs on electronic transmission. Indonesia has even created a separate HS code and prepared a system for classifying software and applications in its tariff schedule. As such, there is a constant challenge to the permanent agreement of moratorium on customs duties on digital products, and even if it is agreed, participating countries are entitled to impose domestic taxes. Therefore, if the above moratorium is concluded, it is evident that participating countries will actively consider imposing domestic taxes on digital products to protect their own digital industries. For the purposes of imposing domestic taxes, participating countries are highly likely designing a tax regim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own digital industries. In this case, the principle of non-discri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again.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se principles,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the origin of digital products. The rules of origin on digital products have not been discussed in detail so far. In the case of goods, various and complicated rules of origin for the preferential tariff treatment have been developed, and recently, there was much discussion about rules of origin of services due to so-called ‘servicification’. It is hard to say that digital goods are clearly classified as either goods or ser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lore separate ruels of origin for digital products. The US Customs Service and Border Protection currently published a ruling on non-preferential rules of origin for software. As such, the application of various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origin on digital products is increasing, and the rules of origin, which have been sought in goods or services in the past, may be borrowed for digital products.

      • KCI등재

        인권과의 동행: 투자보장협정상 인권적 요소 반영현황과 시사점

        이주형(Joo Hyoung Lee),한주실(Joosil Han)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2 국제경제법연구 Vol.20 No.3

        최근 중국 신장지구의 인권탄압 방지를 위한 공급망실사 관련 법안이 제안되는 등 다국적 기업의 해외 투자와 글로벌 공급망 내 인권 보호라는 주제는 투자보장협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고는 투자보장협정상 인권 보호적 조항 도입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최근 투자보장협정은 서문에 국제인권법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본문상 인권보호조항의 부족을 뒷받침하려 할뿐더러, 인권이나 노동권 등 투자유치국의 규제 권한을 확인하는 ‘일반적 원칙’ 규정은 ‘기준 저감금지 의무’와 함께 다수 도입되고 있다. 반면, ‘국가의 규제권한’을 ‘예외 규정’으로 포함하는 것은 논란이 있다. 나아가, ‘송금’ 또는 ‘수용’ 조항에서 투자유치국의 특정적 예외조치가 가능하도록 ‘인권’이나 ‘노동권’을 언급하는 조항도 등장하고 있다. 더욱이, ‘혜택의 부인’ 조항에서 인권 보호를 위반하는 투자자에게 투자보장협정상 부여된 권리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간접적 의무 부과 조항도 도입되고 있지만, 투자자에게 직접적으로 의무를 부여하는 조항 도입에는 소극적이다. 이외에도 투자의 정의상 인권적 요소를 추가하거나 중재판정부가 손해배상액 판정시 투자자의 인권보호를 고려하는 등 혁신적인 조항도 조심스럽게 도입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보장협정상 인권적 요소의 도입이 투자보장협정 간 파편화를 촉진하는 동안 국제적 논의는 ISDS의 절차적 개선에만 집중되고 있다. 한번 침해되면 다시는 복구 불가한 ‘인권’이라는 근본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투자보장협정의 실체적 규정개선 및 ISDS 개선은 함께 논의됨이 바람직하다. 가사 인권보호적 규정이 도입된다 하더라도 인권의 추상적 성질로 인해 공동해석 도출 등 다양한 측면의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a bill related to supply chain due diligence to prevent human rights abuses in Xinjiang, China, has been proposed, and the human rights protection by multinational companies on overseas investment and global supply chains exercises influence on BI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nalyzes the introduction of human rights protection clauses in BITs. Recent BITs try to support the lack of human rights protection clauses in main body while actively introducing factors of human rights in preamble. Right to regulate provisions, which confirm the states regulatory authority, such as human rights, are being introduced along with provisions on not-lowering of standards. Furthermore, clauses related to human rights or labor rights in the “transfer” or “expropriation” appear to allow host country to take specific measures. Although there are cases of indirectly imposing an investor’s obligation under denial of benefits clause that prevents investors from violating human rights protection, they are passive in introducing a clause on investor’s direct obligations. However, while the introduction of human rights elements enforces fragmentation between BITs, international discussions are focused only on the procedural improvement of ISDS. In order to protect the most fundamental human right, which cannot be undone once violated, it is desirable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the substantive provisions of BITs and ISDS together. Even if provisions on human rights are introduced, various aspects such as deriving joint interpretations should be sought due to the abstract nature of huma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