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文의 논리악센트가 동작의 附帶狀況에 놓이는 경우의 相의 용법

        이주만(Lee, Joo-Man)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40 No.-

        When the speaker’s attention is directed to the agent of an action, or to the place, time, or other circumstances, aspec-tual usage has certain peculiarities. In this case aspectual competition is observed especially in situations where the fact of a performed action is at hand and where the result of the action is relevant at the moment of speaking. The speaker starts with the fact of a performed action, and this causes a broadening of the range of usage of the imper-fective(impf.) aspect as the unmarked member of an aspec-tual opposition. On the contrary, the range of the perfective (pf.) aspect is limited; it occurs only in the perfect meaning. If the result of the action designated is in force at the moment of speaking, and if the who, when and where of the action interests the speaker, aspectual usag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eaker’s communicative goals and can be understood only by analyzing the speech situation. The impf. aspect can be used both in the general-factual and process meaning for one and the same reason: The impf. verb denotes the action which is “given”or known from The speech situation, or an action which is merely named in the utterance. In the latter case, we may most expect the pf. aspect. The nuances of the general-factual or process meaning depend both on the lexical meaning of the verb (to the extent that the lexical meaning is conducive to process meaning) and on the speech situation.

      • 진술의 기능적 분석을 위한 보조적 수단에 관하여

        이주만(Lee, Joo-M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2

        러시아어에 있어서 진술의 기능적 분석 표현수단으로서 어순(語順)과 인토네이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이외에도 그것의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조사(частица)가 존재한다. 조사는 서법(敍法)의 의미를 문장에 부여하는 것이 본연의 임무이므로, 그것은 어떤 형태로든 필연적으로 진술의 기능적 분석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조사는 그것의 어휘적 의미에 따라 테마를 가리키는 것도 있고, 레마를 가리키는 것도 있다. даже의 경우는 테마의 지표라고 하는 주장도 있지만, 이 조사가 갖는 어휘적 의미를 고려하면, 레마의 지표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진술의 기능적 분석에 있어서의 조사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서는 조사가 갖는 의미와 콘텍스트와의 의미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강세조사 только의 위치가 진술의 선두가 아니라면, 기능적 분석의 표현은 어순과 인토네이션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только의 역할은 보조적인 것이 된다. 그러나 기능적 분석을 단독의 진술에 한정시키질 않고, 콘텍스트로 확대시켜 보았을 때, только의 어휘적 의미에 의해서만 콘텍스트의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только는 레마의 지표로서의 기능을 한다. 조사 же, а의 경우도, 앞의 콘텍스트와의 의미관계에서 선행의 진술에서 언급된 요소와 대립의 관계에 있는 요소를 테마로서 표시한다. 조사가 진술의 기능적 분석의 보조적 수단에 불과하다고 하지만. 조사 ли의 경우처럼, 그것이 관계하는 요소(술어)와 논리악센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도 ли가 관계하는 요소가 레마라고 하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이 경우에 ли는 명백하게 유일한 레마의 지표가 된다.이와 같이, 진술의 기능적 분석을 표현하는 지표로서의 조사의 역할은 무시할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역할의 중요성은 문자어에서는 더욱 커진다. 이 밖에도 진술의 기능적 분석에 관여하는 것으로는 인칭대명사 및 일련의 특수한 통사구조가 있다. In Russian language the word order and intonatio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its expressions of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FSP). Besides there is also a particle as its additional means. As the function of a particle is to add the meaning of modal to a sentence, we can think that it inevitably has something to do with FSP. A particle puts stress on the theme or the rehme according to the lexical meaning. But even the same particles play a different role in the utterance,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researchers To make a clear definition of the role of particles in FSP, we have to consider not only the lexical meaning of the particle, but the its contextual meaning. If the particle <только> is not placed at the beginning of a utterance, the expression of FSP depends on the word order and the intonation. So the role of the particle <только> here is just assistant. Howener <только> has a function of indicator of rehme, if the relation between the utterance with <только> and the context is formed only by the lexical meaning of <только>. In the case of particles <же> and <а>, they indicate theme as the part contrasted with the part of utterance, mentioned before. And In the case of <даже>, it plays a role as an indicator of rehme, considering its lexical meaning, even though some insist that it should be an indicator of theme. Particles is said to be only as assistant of FSP, but in the case of the particle <ли>, though the predicative with <ли> is not in accord with logical stress, it can be said to be rheme. In this case <ли> definitely becomes the only indicator of rheme. Thus, we cannot neglect the role of particles as an indicator, expressing FSP. What is more, its importance becomes bigger in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to the particles in Russian there are also a personal pronoun, which is used as the subject, link-verb <есть>, when it is used as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some special syntactic constructions, such as <чт о касается... то..., кто... так это..., если что-нибудь... так... etc.>

      • KCI등재

        불완료상- ‘결과의미’와 완료상과의 대립에 관한 연구

        이주만(Lee, Joo Ma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4

        이 소론에서는 불완료상의 일반적 사실―결과의미 및 의지적 동작의 의미의 완료상과의 경합이 일어나는 경우에 동사의 「상(相)」(aspect)의 의미·기능의 관점에서 불완료상/완료상의 어떠한 차이가 관찰되는가를 논하였다. 보통 불왕료상/완료상의 경합의 가능성이 가장 크게 인정되는 것은 회고적 참조점에서의 화자에 의한 외부기술로 취급되는 불완료상의 일반적 사실―결과의미와 완료상의 구체적 사실의 의미의 영역이다. 불완료상의 일반적 사실?결과의미가 갖는 동작사실의 존재/부재의 확인의 기능에 의해 부정문 및 일반인칭문에서 진술전체가 부정 또는 질문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동사는 문제의 동작의 결과달성과 연관이 있는 어떤 기대, 의도, 예상·추정 등과 같은 의미뉴앙스나 전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에 반해, 완료상동사는 한계달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부정이나 질문의 대상이 되는 것은 결과달성뿐이다. 따라서 “동작주체는 문제의 동작을 완성하여야 했었다” 또는 “동작주체가 문제의 동작을 완성할 것으로 예상, 기대했었다”와 같은 추가적 의미뉴앙스를 함유한다. 완료상과거는 「완료」(perfect)의 의미를 갖는다. 「완료」의 의미는 동작의 완성과 결과의 존속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과달성의 상태는 발화시점에 까지 미친다. 그리고 문제가 되고 있는 동작과 직결되는 그 다음의 사태를 시사한다. 이에 대해, 불완료상의 일반적 사실?결과의미는 동작이 완전히 과거에 속해 있다고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동작의 발화시점과의 단절성을 표현한다. 동사「相」의 관점에서의 「단순과거」(aorist)의 기능이다. 그러나 발화시점에 있어서의 사태의 원인이나 판단의 근거로서, 또한 발화시점에서의 화자나 등장인물을 둘러싼 상황과 어떤 연관이 있는 것으로서 그 이전의 과거의 사건을 언급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불완료상의 일반적 사실?결과의미는 「완료」에 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발화시점과의 연관이라고 하는 점에서 불완료상/완료상의 차이를 언급한다면, 문제가 되는 과거의 동작이 발화시점의 사태구성에 직접 관여하는 경우는 완료상이 선택된다. 한편, 발화시점에 일어나고 있는 다른 사태와 관련하여 화자의 주장이나 그 근거로서 과거의 동작이 취급되는 경우는 불완료상이 선택된다. 과거에 있어서 동작의 순차적 전개를 묘사할 때, 화자의 시점과 사건시점이 일치하는 공시적 참조점에서 외부기술에 의해 사건을 묘사하는 완료상이 당연히 사용되어야 하지만, 불완료상의 동의적 사용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불완료상은 동작의 시작·진행·종료의 여러 국면을 일괄화시켜, 요컨대, 과정을 버린 "점(点)"적인 존재로 외부로부터 묘사하는 경우이다. 불완료상, 완료상 모두 외부기술에 의한 「단순과거」의 용법이라는 점에서는 차이는 없지만, 화자가 어떤 일정한 시간의 폭이 있다고 하는 점을 명시하고 싶은 의식이 화자에게 작용하였을 때, 불완료상이 선택된다고 볼 수 있다. 의지적 동작의 의미의 불완료상과 완료상의 경합에 있어서는, 불완료상은 이미 종료된 동작의 결과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불완료상/완료상의 선택은 단순히 완료, 도중경과 등의 언어 외 사실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자가 동작을 어떻게 묘사하는가의 화자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해 결정된다. 완료상의 선택은 발화시점 또는 주절의 기준점에서의 동작의 일괄화 또는 동작의 실현을 표현하는 외부기술에 의한 것이고, 불완료상의 사용은 내부기술에 의한 동작의 과정을 묘사한다. 이 경합에 있어서의 불완료상/완료상의 차이는 외부기술/내부기술에 의한 차이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어의 경어적 표현에 관한 연구

        이주만(Lee Joo Ma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러시아어에는 한국어처럼 경어법이라고 하는 확립된 문법체계도 없고, 따라서 전용의 경어형식도 없다. 그러나 말상대나 제3자에게 경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말을 경어라고 한다면, 러시아어에는 경어라고 할 수 있는 언어요소는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요소는 언어의 여러 레벨, 여러 부분에서 일정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에 있어서 어떠한 언어요소가 경어적 표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문법형식인 2인칭대명사의 2가지 형식 ты와 Вы는 각각 비경어체와 경어체로서의 사용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른바 사회언어학적인 요소, 즉 대화자간의 인간관계, 놓여 진 상황, 화자의 심리적인 요소 등에 의해 ты와 Вы의 다의적 기능이 나타난다. ты와 Вы는 상호적인 사용이 원칙이지만, 러시아 사회에서 위계질서가 철저히 지켜지는 집단에서는 비상호적인 사용도 여전히 관찰된다. ты와 Вы의 선택과 상호 연관이 있는 호칭으로는 주로 경칭, 이름, 지위명, 친족명칭이 사용된다. 사회주의 체제 때에 사용되었던 경칭은 체제의 붕괴 이후에 화용론적인 측면에서의 언어형식ㆍ언어표현으로 바뀌어져 가고 있다. 친족명칭과 이름은 여러 가지 형태의 접미사에 의해 만들어진 애칭이 자주 사용된다. 문체적인 차이에 의해서 화자와 상대와의 입장이나 관계가 표시되기도 한다. 화자와 말상대와의 관계를 반드시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어휘 및 표현 교체에 의한 완곡표현, 일반명사의 지소형, 동사의 접두사의 교체, 가정법 등이 완곡어법으로서 경어적 역할을 담당한다. 동사가 접두사 по-, при-, под-로 교체되어 동작이 충분치 못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쪽으로 의미가 이동하는 것은 러시아어에서 나타나는 어용론적인 공손함의 표시이다. 러시아어의 경어적인 표현에 관해서는 주로 화용론적인 측면에서의 하나의 과제로서 다루어 왔다. 이와 동시에 문법적 형식인 ты와 Вы, 그리고 이것과 연관이 있는 호칭이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일반명사의 지소형을 만드는 접미사 및 동사에 붙는 접두사 등과 같은 문법적 요소가 경의를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경의를 나타내는 수단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문법적 요소가 화용론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