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조선전기 鶴城李氏의 지역 내 위상과 역할

        이종서(Lee Jong-Seo)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8 No.-

        학성이씨는 울산의 토성(土姓)이다. 토성은 고려시기 향리에서 연원하였다. 고려의 향리는 국가의 관료체제에 편입되었으며 상급 향리인 장리층(長吏層)은 중앙 양반과 신분이 동등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실질적 위상이 하락하였고, 조선전기에는 제도적으로 격하되었다. 장리층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고려말에 대거 중앙관직을 얻어 향리를 벗어났고, 국가에서는 이탈을 억제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조선전기에는 고려의 장리 가문이 계속 향리를 담당하는 이족(吏族)과 양반이 되어 좌수와 별감을 담당하는 사족(士族)으로 분화하여 각자의 역할을 하였다. 학성이씨도 이족과 사족으로 분화하였다. 이예(李藝)의 아들 중 이종근의 후손은 향리직을 담당했고, 이종실의 후손은 사족이 되었다. 호장 등 상급 향리직을 담당하던 이종근의 후손들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향리 신분을 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계속 향리를 담당하여 일부 가문은 170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다. 조선후기에 더 이상 향리가 존중받지 못하고 중인으로 천시되자 이종근의 후손들은 향리를 그만두었다. The Hakseong Lee House has been a renowned Toseong(土姓) entity in the Ulsan region for a long time. Toseong designations originated from the Hyangri entities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The Hyangri entities of Goryeo were part of the national ruling system overseen by the government, and the Jangri figures(the Jangri-class(長吏層), who were the senior Hyangri figures) occupied the social status equivalent to those of the Yangban figures living in the capital or other central regions. Yet their status deteriorated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nd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ir status was officially demoted. Responding to such changes in their own statuses, many of the Jangri figures managed to obtain positions inside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ending days of the Goryeo dynasty and escape the Hyangri status, while the government began to implement protocols discouraging the breaking from their original statuses. As a result, the Jangri houses of the Goryeo dynasty diverged into two groups, the Ijok(吏族) figures who kept managing Hyangri tasks, and the Sajok(士族) figures who became Yangban figures and were appointed to Jwasu and Byeolgam posts, in the early half period of Joseon. The Hakseong Lee house diverged as well. Among the sons of Lee Yae(李藝), Lee Jong Geun’s descendants continued to assume the roles of Hyangri, and Lee Jong Shil’s descendants became Sajok figures. Lee Jong Geun’s descendants, who were senior Hyangri figures(such as Hojang figures), escaped that status around the time of the Imjin-year war with the Japanese. Yet other house members maintained such existence through the mid-1700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Hyangri figures were no longer respected as they had been in the past, and were rather disdained as middle class citizens(中人). So the Lee House members discontinued their service as Hyangri fig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럽연합의 공동통상정책(CCP)과 앨리슨(Graham T. Allison)모델의 확대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종서(Jong Sue Lee)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4 No.-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유럽연합의 공동통상정책이며, 통상정책 결정과정에는 역내 경제하부를 발전시키기 위한 산업정책적 고려, 유럽연합 차원의 보편적 이익 제공이라는 사회정책적 고려, 그리고 비관세 장벽구조를 결정하는 규제정책적 고려가 포함되어 있다. 그간 관료집단에 비길만한 대안적 정치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관료정치모델은 그 적실성이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27개국으로 확대된 유럽연합은 상황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관료정치적 분석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료정치모델의 기본 틀에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자 측면에서의 확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유럽연합 국가들의 산업경쟁력 저하, 경제성장률 둔화, 실업 증가 등이 유럽연합의 공동통상정책을 결정하는 구조적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결과 유럽기업의 이익이 정책결정에 최우선으로 반영될 수가 있었다. 유럽연합의 집행위원회는 공동정책수단을 제안함으로써 경제성장, 고용 등 가장 중요한 행위자인 기업가를 보호하려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왜냐하면 유럽연합체제에 있어서 기업행위의 감소는 심각한 정치적 문제들을 야기 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럽산업의 상대적 지위약화는 집행위원회로 하여금 통상문제에 적극적 개입을 유도하고 기업 및 산업의 이해를 보호하고 지원해야하는 구조적 환경에 노출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앨리슨(Graham T. Allison) 정책결정모델의 행위자 측면에서의 확장을 통해 보호무역주의의 원인을 초국적 기업의 의사결정 참여를 보장한 제도라는 요인에서 찾아보았다. In regard to the Common Commercial Policy(CCP) as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internal market, this policy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promoting European interests through its external economic relations. One of the main internal factors constraining CCP is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in the European countries. CCP involves a continuous process of negotiation and compromise between the various actors concer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making process of CCP of EU, trying to apply Allison`s Model to CCP. To analyze of this, the feature of Allison`s Bureaucratic Politics Model is rearranged the past model centered on bureaucratic power. Because Allison`s Bureaucratic Politics Model focused on "formal behavior", but ignored "informal behavior" such as Multinational Corporation. The basic behavior presupposed by this model is "a single unified actor", but this model doesn`t consider complexities of political interest by "informal actor", Then this study enlarged and transformed this model in order to analyze effectively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CCP. This study also dealt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ctionism and institutions.

      • KCI등재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이종만(Jong-Ma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8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조직구성원들이 왜 업무 중에 직무와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습관, 사용의향, 사회적 영향, 업무 상호의존성, 사용행동으로 구성된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행동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습관과 사회적 영향은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사용의향과 사용행동간의 관계는 업무 상호의존성에 의해서 긍정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termine why employees conduct non-work related smartphone use at work. To do this, this study developed the research model of non-work related smartphone use behavior consisting of factors such as habit, intention, social effect, task interdependence, and behavior. And it was tested via a survey of employees using smartph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first, that habit and social influence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non-work related smartphone use behavior. Secondly, task interdependence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intention and behavior in non-work related smartphone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