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발전방안 탐색: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연,채민정,박상훈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육부에서 10개 시범학교를 통해 추진 중인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고, 확산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교육부 시범 사업을 주요 해외 사례와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해외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 중 연혁, 참여 학교 및 참가자 수를 기준으로 3 개 사례를 선별하였다. 각 선별 사례에 대하여 대상 학습자, 교육목적, 교육방법, 운영방안, 추진기관의 역할 등으로 범주를 나누어 관련된 문헌 및 실제 프로그램 운영 사이트를 분석하여 국내 시범사업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수업모형 및 수업자료의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고, 두 번째는 참여 교사들을 위한 물적·인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셋째, 교실간 교류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류의 유형을 개발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파트너 매칭부터, 시스템 구축, 수업개발 및 운영을 직접 지원할 수 있는 전담 조직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글로벌 인재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특성에 부응할 수 있는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추진 방향 설정에 도움을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에서의 총편익 산정: 소득효과 및 거리-소멸 효과를 중심으로

        이종연,Lee, Jongyearn 한국개발연구원 2014 韓國 開發 硏究 Vol.36 No.1

        본고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비용편익분석에 이용하기 위하여 공공시설의 신설에 따른 총편익의 산정을 보다 엄밀히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설문을 통해 가구당 지불의사액을 추정하는 경우, 응답자의 소득 및 응답자의 거주지와 해당 공공시설 사업지 간의 거리가 지불의사액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조적 효용격차모형을 이용한 사례분석 결과 지불의사액에 대한 소득효과 및 거리-소멸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총편익의 산정 시 이들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산정된 총편익의 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이에 본고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비용편익분석에 이용하는 경우 총편익의 산정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비용편익분석에 있어 총비용의 추정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가구당 지불의사액의 추정 및 이들을 합산하여 총편익을 산정하는 방식이 옳지 못할 경우 편익/비용(B/C) 비율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효용격차 구조모형을 따르지 않고 임의적으로 유사한 추정을 수행한 결과는 구조모형의 추정치와 매우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총편익의 산정은 구조모형의 설정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소득효과와 거리-소멸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총편익의 추정 결과를 얻음을 밝혔다.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calculating total benefit rigorously to use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in cost-benefit analysis (CBA). Estimating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through survey method, the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if a respondent's income and the distance between a respondent's residence and the location of a target facility affect her willingness to pay. The estimation results from a structural model show that income and distance-decay effects exist and that the calculated total benefit varies largely when these effects are ignored. The study emphasizes the effects of income and distance-decay on the total benefi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n using CVM for CBA. Even though the total project cost is precisely estimated, the benefit/cost (B/C) ratio may differ largely when the total benefit is not correctly calculated. Also, an ad hoc model generates significantly different estimates from the utility difference model this study adopted. The difference in estimates suggests that the total benefit has to be estimated by a structural model. Finally,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model as well as to predict consequences when income and distance-decay effects are not properly treated. The results from simulations reveal it is not desirable to ignore those effects considering the perspective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정보화 수행방안 연구

        이종연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199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5 No.1

        산업화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사회 각 분야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대학도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마찬가지로 극심한 환경변화 속에 처해 있으며, 오늘날 이러한 변화는 생존의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대학은 더 이상 현재 체제에 안주할 수 없으며, 정보화 체제로 재정비함으로써 본원적으로 위기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미 국내외 많은 대학들이 시도하고 있듯이, 정보화는 대학에 대한 시대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강력한 대안으로 간주되며, 교육의 선진화, 연구 생산성 향상 및 행정의 효율화를 통하여 경쟁력 있는 일류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 그러나 대학정보화는 단순히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학제, 업무체제, 정보인프라, 정보화 정책, 조직 및 인력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단기적인 관점에서 개발되거나 도입된 정보시스템은 그 효과를 충분히 살리지 못하기 쉽다. 따라서, 정보시스템 구축에 앞서 학제개편,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실시하고, 정보전략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정보화의 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설정하고, 구축되는 정보시스템이 전체적인 정보화 방향의 틀 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shift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has caused a lot of changes in its various aspects. Universities such as other members of society have met serious changes, which bring them to a crisis. They cannot survive if they stay on the present status. They should solve the essential problems by transforming to the new organization that provides just-in-time useful information services for their members such as professors, students, and staff, and that improves the effectiveness and efficency of their activities. As many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have already attempted, the shift to information-oriented organiz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best way to meet the today's requirements for universities. Also this shift is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which are three major functions of universities, so that it will upgrade their status comparing with those of others. However, the shift cannot be completed just by developing various information tools and providing them for their members. Every matters including academic affairs, administrative tasks and activities,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formation policies, and personnel should be integrated as one system. The information tools which have been developed or purchased without thorough analysis and strategic plan may not serve their original purposes. Therefore, we need to re-establish academic affairs, re-engineer related businness processes, and plan information strategy before implementing information systems. In this way we can be sure that the target systems are geared to their goals,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by university members as expected.

      • KCI등재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한 돼지 지방형질 관련 후보유전자 발굴

        이종연,이경태,조규호,김태헌,김명직,이현정,최봉환,성흠,김범수,박창민,장길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To identify genes involved in fat contents, we analyze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porcine backfat tissue using cDNA microarray. The investigated samples were backfat, loin and liver tissues from 12, 24 and 30-week old KNP (Korean Native Pig) and Yorkshire. Micoarray analysis revealed the genes that were differently expressed between KNP and Yorkshire. For KPN, SCD (stearoyl-CoA desaturase) and ELOVL6 (elong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 6) genes were highly expressed in backfat as FMO1 (hepatic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gene was highly expressed in liver. FGG (fibrinogen gamma polypeptide) and C3d (complement component c3d) genes were highly expressed in liver and COL3A1 (type Ⅲ collagen alpha 1) was highly expressed in backfat for Yorkshire. To validate the highly expressed genes in the microarray data of the gene expressions in two breeds, relative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used. Consequently, we selected SCD, ELOVL6 and FGG which synthesize monounsaturated fatty acid (18:1) and saturated fatty acid, respectively as the differently expressed genes depending on the fat contents. We found that these fatty acid synthesizing genes, SCD, ELOVL6 and FGG,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KNP: 5.3%, Yorkshire: 1.44%). Also, FGG found to be related to lipogenesis in liver. We concluded that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KNP and Yorkshire play important roles in breed specific fat deposition patterns between KNP and Yorkshire. 돼지의 육질과 관련하여 지방침착의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방대사 또는 지방축적과 관련한 후보유전자 발굴을 위해 등지방 조직 유래의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품종별 지방함량관련 조직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래돼지의 등지방 조직에서 SCD (stearoyl-CoA desaturase)와 ELOVL6 (elong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 6)가 높은 발현을 보였고, 간에서 FMO1 (hepatic flavin-containing mono oxygenase)이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요크셔는 간에서 FGG (fibrinogen gamma polypeptide)와 C3d (com- plement component c3d), 등지방에서 COL3A1 (type Ⅲ collagen alpha 1)이 높은 발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l-time PCR을 통해 microarray data의 validation과 품종간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위의 유전자들 중 지방함량에 따른 차등발현 유전자로 SCD, ELOVL6 그리고 FGG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전자 SCD, ELOVL6, FGG는 지방대사에 관여하며 근내지방 함량에도 영향을 미쳐 향후 육질개선에 유용한 후보유전자로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