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AL2 Switch 구조 및 성능연구

        이정훈,이성창,김정식,Lee, Jeong-Hun,Lee, Seong-Chang,Kim, Jeong-Sik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7 No.9

        데이터, 음성, 영상등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이 요구되어지면서 ATM기술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AAL Type들로는 저속의 짧은 가변길이를 Packet을 사용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AAL Type 2는 저속이면서 짧고 가변의 길이를 가지는 패킷들을 사용하며 지연에는 민감한 특성을 가지는 응용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본 논문에서는 AAL Type 2의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 ATM 망에서 AAL Type 2 ATM Cell들을 Switching하기 위한 AAL 2 Switch의 구조를 제안하고 CAD 설계하였다. 제안한 AAL2 Switch는 Module화를 통하여 확장성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Computer Simulation을 통하여 성능 분석하였다. As a result of the continuing increase in the high capacity and high speed requirement, ATM will be important technology. But previous AAL type cant support service that is variable length, low speed. So AAL2 is the most recently standardized AAL type, which is aimed at providing for the bandwidth efficient transmission of low-rate, short, and variable length packets in delay-sensitive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rchitecture and the behavior of scalable AAL2 switch that are far different from ATM switch. Also,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switch is analyzed by computer simulation.

      • KCI등재후보

        골원성섬유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병리학적 소견과의 비교$^1$

        이정훈,김기환,Lee, Jeong-Hun,Kim, Gi-Hwa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3

        목적: 골원성섬유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알아보고, 병리조직학적 소견과의 연관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8명의 환자 (남자 1, 여자 7, 나이 1-25세)를 후향적으로 단순촬영과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병변의 신호강도와 균질성, 조영증강양상을 분석하였고, 병리조직소견과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1.0 T와 1.5 T기기를 이용하여 횡단면 T1, T2 강조영상을 얻었고, 조영증강후 횡단면과 종단면 T1강조 영상을 얻었다. 결과: 모든 증례에서 T1 강조영상에서 근육과 비슷한 등신호강도, T2 강조영상에서는 근육보다 높고, 지방보다는 낮은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조영증강을 실시한 7예에서 모두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T1, T2 강조영상 그리고 조영증강후 영상 모두에서 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중등도 세포충실성(moderate cellularity)을 보이는 섬유성 조직안에 균질하게 골소주가 분포되어 있었고, 출혈이나 낭성변화같은 2차성 변화는 동반하지 않았다. 결론: 골원성섬유종은 자기공명영상에서 강한 조영증강과 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자기공명영상 신호강도의 균질함은 병리조직학적으로 골소주의 균등한 분포와 이차성 변화를 동반하지 않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the MR imaging findings of ossifying fibroma with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In eight patients (M:F=1:7; age range, 1-25 years) with pathologically proven ossifying fibroma, plain film and MR imag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in terms of signal intensity, homogeneity and patterns of contrast enhancement. The MR imaging findings and histopathology were correlated. Using 1.0-T and 1.5-T MR machines, axial T1 and T2 images and gadolinium-enhanced axial and sagittal T1 images were obtained. Results: In all cases, iso-signal intensity to muscle was observed on T1-weighted images, and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gadolinium-DTPA in seven cases, intense contrast enhancement was seen in all lesions, which were homogenous on T1, T2, and enhanced MR images. Moderate cellularity of fibrous tissue, with even distribution of osteoid and an absence of secondary changes such as hemorrhage or cystic change were revealed by pathologic examination. Conclusion: Ossifying fibroma shows strong enhancement and homogenous signal intensity on MR images.The homogeneity of the MR signal depends on the even distribution of osteoid and an absence of secondary changes such as hemorrhage or cystic change.

      • SCOPUSKCI등재

        Mo첨가 열연강판의 반복 열처리 제어압연에 관한 연구

        이정훈,홍승찬,이경섭,Lee, Jeong-Hun,Hong, Seung-Chan,Lee, Gyeong-Seop 한국재료학회 1999 한국재료학회지 Vol.9 No.7

        결정립 미세화는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제어압연과 가속냉각은 공정 중에 재결정과 결정립 조대화 거동을 조절함으로써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반복열처리에 의한 반복상변태는 결정립 미세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어압연과 반복열처리를 복합 적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Mo 첨가효과와 공정변수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o이 첨가된 저탄소강 시편을 준비하여 Gleeble로 가공열처리 모의실험을 하였다. Mo첨가는 결정립 조대화 온도를 상승시키고,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미세화에 가장 효과적인 공정조건은 반복 열처리 제어압연을 두번 실시하는 것이고, 첫번째보다 두번째 압연율을 더 크게 하는 것이었다 Grain refinement is the only strengthening mechanism that improves both strength and toughness. Controlled rolling and accelerated cooling techniques have been known to b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by controlling the recrystallization and/or grain coarsening during processing. Repeat phase transformation $(\gamma/\alpha)$ by repeat heat treating is another way of grain refinement. In this study, a combined effect of controlled rolling and repeat heat treating was investigated. To study the effects of Mo addition and process parameters, Mo alloyed low carbon steels were prepared and thermomechanical controlled processes were simulated in the Gleeble system. The Mo addition resulted in an increasement of the grain coarsening temperature and suppress austenite recrystallization.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refinement of austenite was obtained when the controlled rolling was performed twice with the same heat treatment condition, and reduction ratio of second pass was higher than that of first pass.

      • SCOPUSKCI등재

        폐회로 기구학적 구조의 벽면이동 로봇 설계

        이정훈,류성무,최혁렬,Lee, Jeong-Hun,Ryu, Seong-Mu,Choe, Hyeok-Ryeol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8

        In this paper, we present a wall climbing robot whose gate pattern takes after those of specialized climbing animals such as spiders.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biological locomotion are partly realized in the design of the mechanism. The robot has two legs and a trunk. Each one-dof leg with suction pads is driven by a motor which employs a closed loop linkage mechanism, and the trunk with suction pads steers the whole body of the robot using a motor. By generating adequate trajectories of the leg and simultaneously alternating the suction pattern between the legs and the trunk, we can achieve the spider like motion. The proposed idea is implemented in a robot and some tests are performed to evaluate its performance.

      • 유기태양전지의 연구개발 동향

        이정훈,김태완,설창,Lee, Jeong-Hun,Kim, Tae-Wan,Seol, Cha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 전기전자재료 Vol.17 No.7

        현재 지구상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비율 중 70% 이상이 화석연료이다. 그러나 이런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미래의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원의 개발이 시급하다. 그 중 태양전지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대체에너지원다. 더욱이 지구표면에 도달하는 년간 태양에너지의 총량은 $795,000{\times}{10^12}$kWh이다. 이는 전 세계가 년간 소비하는 총량($82,83{\times}{10^12}$kWh)에 비해 10,000배에 해당한다. 보다 현실적 인 표현을 빌면 10%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갖는 태양전지로 지구 전체의 0.1%만 채워도 인류가 사용하는 에너지원을 전부 공급할 수 있어서, 에너지 전문가들은 향후 20년 내에 태양에너지의 사용량이 총에너지 사용량의 3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략)

      • 차세대 다목적헬기 개발 방안

        이정훈,Lee, Jeong-Hun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01 國防과 技術 Vol.- No.270

        차세대 다목적 헬기 개발은 우리나라 국방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개발 프로그램일뿐 아니라 미래의 한국 항공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대형 국책 프로젝트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주도로 항공기를 개발한다면 체계적인 개발수립, 개발 초기에 적정 소요예산을 예측하여 낭비의 최소화, 국내에 분산된 개발능력의 집중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신규투자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복투자방지의 진정한 목표 이므로 최우선적으로 헬기 산업 관련 업체들의 기존투자와 기술능력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 및 정확한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rm in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Possible Role of Sperm Neck in the Movement of Sperm Head

        이정훈,손성원,Lee, Jeong-Hun,Son, Seong-Won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1997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Vol.1 No.2

        To investigate the movement of sperm head and the role of sperm neck in forward sperm motility in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uda epididymal spermatozoa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permatozoa of A. agrarius coreae were characterized by the conspicuous shape of the acrosome and the long tail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rodents. Total length of the sperm was $133\mu{m}$. The sperm head had a curved falciform shape. The head was 8.0${\mu}$m in length, and about 4.0 ${\mu}$m in width. The shape of acrosome had an openerlike form. The sperm tail (125 ${\mu}$m) consisted of four major segments: neck (0.5 ${\mu}$m), middle piece (29.5 ${\mu}$m), and principal piece plus the end piece (95 ${\mu}$m). The outer dense fibers were arranged in a horseshoe fashion, and No. 1, 5, 6, and 9 of the outer dense fibers were larger than the others. The mitochondrial bundles of middle piece were composed of a pair of arms, which surrounded the axone of the middle piece by the 45 0 angled helical structure. The total number of mitochondrial gyres was 188. In particular, the microfilament structures existed in plasma membrane of the sperm, which was adjacent to the acrosomal region on the nuclear membrane. The segmented columns were surrounded by microfilament structures, and the microfilament bundles were adjacent to the outer membrane of the first mitochondria of middle piece. This study presents for the first time the existence of microfilament structures within the plasma membrane of sperm which is located from the adjacent acrosome region to the connecting piece in sperm neck of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The present result suggests that the constriction and extension of microfilament in sperm neck as well as the wave-movement of sperm tail may play a role in the movement of sperm h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