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법연구회 단기도의 <옥추경> 기도문 자료와 그 분석

        이정재 ( Joung-jae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9 No.-

        본고는 불법연구회 시기 소태산과 그의 제자들에 널리 활용되던 <옥추경>의 자료에 대한 것이다. 활용과정에서 산발적으로 기록되었던 자료를 모아 정리할 필요가 있는데, 이공주, 김영신, 이경순, 김대거의 자료가 그것이다. 이 작업은 먼저 교사의 기록에 누락된 사실을 드러내는 일차 자료정리라는 가치를 가진다. 이후 이들 자료를 살펴 <옥추경> 활용의 실체를 확정하고 다각적 의미를 추적할 수 있음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초기교단사의 열악한 자료적 정황을 볼 때 더욱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이경순의 것은 매우 중요한 자료다. 이경순의 기도문은 필사본으로 온전히 전해온다. 1920년대 후반에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자료는 그 희귀성을 고려하여 사진을 싣고 그 내용 전문을 옮겼다. 이 기록은 불법연구회의 소장 필사본 『옥추보경』이 원본이다. 소장본은 팔괘에 따라 단원별 기도문으로 나뉘었다는 사실이 실제하고 있어 더욱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별도의 표시들이 있는데, 어떻게 기도가 진행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단서도 제공하고 있는 귀중 본이다. 불법연구회 소장 『옥추보경』은 단조직의 순서에 맞춰 구분되었다. 그 구분은 단장과 중앙 및 건, 감, 건, 리, 손, 리, 곤, 태의 10개 부분이었다. 그 중 중앙단원에 해당되는 부분이 이공주, 이경순의 것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김대거의 것은 단장에 해당되고 김영신의 것은 단장과 중앙 및 다른 단원의 것들이 산재해있는 것이다. 그 필사본이며 단원별 기도문으로 전하는 자료는 중앙단원과 단장의 것이지만, 나머지 단원의 기도문은 김영신의 자료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이런 유추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불법연구회 소장 자료에도 남아있어 각 단원의 기도문을 확정할 수 있게 되었다. 단기도의 기도문이 어떻게 분배되었으며 그 각각은 어떤 내용이었는지 살폈으나, 단장과 중앙의 자료만이 남아있어 아쉬운 부분이다. 다른 단원의 기도문이 남아 전하지 않는 이유는 알 수 없으나, 맡은 바 직책의 비중 정도에 비례하는 것은 아닐까 유추된다. 그리고 각 단원의 기도문은 중앙과 단장에 비해 그렇게 길지 않다. 아마도 모두 암기한 상태로 기도에 임했기 때문에 따로 기록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으나, 추후 별도의 자료가 나올 가능성도 열려있다 하겠다. 이를 미루어 볼때 길룡리에서의 구인단기도 시기 이와같은 구분과 분배로 기도문이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논의는 이미 앞선 글에서도 다룬 바있으나 지금 남아있는 불법연구회의 자료가 길룡리 시기의 것이냐 아니냐의 여부는 남아있다고 했다. 설사 불법연구회의 『옥추보경』이 당시의 것은 아닐지 몰라도 그 조직체계가 일치되고 있는 점을 볼 때 동일본이란 점에 더 무게가 실린다 하겠다.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organize the data, which were recorded intermittently, including Lee Gong-joo, Kim Young-shin, Lee Kyung-soon and Kim Dae-ger. We need to examine these data to determine the substance of the Okchukyung’s use and to summarize its diverse meanings. These are very important data given the poor early circumstances of the data. Especially hers should be established as a very important piece of data. These records are based on the original material, Okchu Bogyeong. It was proved that the prayer of each member divided by the Palgoee(팔괘) was actually present. The remaining data belongs to the central unit(중앙단원) and the general manager(단장). The prayer of the remaining members can be inferred from Kim Young-shin’s data. Data to support this analogy remained in the Buddhism study(불법연구회) data so that the prayers of each unit could be confirmed. Buddhism study(불법연구회) books were sorted in order of group organization. The division was ten parts, including the head and center, gun, gam, gan, jyn, son, ly, gon and tae(건감간진손리곤태).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ection corresponds exactly to that of the previous two prospectors, Lee Kyung-soon. Kim Dae-gee’s are the leaders, while Kim Young-shin’s are the leaders, the central and other members of the unit. I looked at how the prayer of a prayer house was distributed and what each one was about. I have no idea why only the leader and central data are left, and the prayers of the other members are left behind.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is may depend on the weight of the position he was given. And the prayers of each unit are not so long as the center and the leader. Maybe it’s because everyone has memorized a prayer.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did not record separately. However,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data being released is also open. From this perspective, I can assume that nine people in Gillyong-ri were formed in the same way at the same time. I have already covered it in the previous article, bu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his data, which he has left now, came from that time. There is no data available to confirm this.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the system is of the same order, if not of the time.

      • KCI등재

        민속아카이브와 문화정책

        이정재(Lee Joung-Jae)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한 나라의 문화는 그 공동체의 총체적인 존재의미이고 존재방식이다. 문화는 살아있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해간다. 시대와 상황에 맞게 적응을 해기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흘러가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존하고 정리하고 장려해야하는 것들이 있다. 특히 민속문화의 연장선에서 진행되는 문화 현장은 더욱 그렇다. 이 부분에 관한 것의 일부를 그동안 박물관과 도서관이 역할을 하였다. 문화 자료와 정보에 대한 현대적 개념은 이런 박물자료에만 한정되어있지 않고 문화의 현장으로 그 개념을 넓히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선진국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자료 수집체계와 장치를 만들어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각종 아카이브와 자료관의 설치가 그것이다. 살아있는 민족 문화의 총체적인 자료정리와 학자들의 귀중한 각종자료, 미래의 문화를 선도하기위한 연구자료 및 연구 기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기관이 현 상황에서 얼마나 가능하고 그 해법은 무엇인가 검토해 보았다. It is not enough to satisfy untill now with the traditional collections in Musem and in library. Generaly these two institut deal with specimen of historical collections. There is no space for the collection of living culture. Especially for the modern culture, which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but enjoy it the people, there is no place and no institute. In europe there was many and varity archives for the modern-traditional culture. I have mentioned an american example about culture archive. The system of this institute is very variety every states. They have archive for example in Government of state, in City, in University and in private foundation. And the citizen have a mind about cultural archive. In Korea there is studied about culture archive late. We have no common mind no academic argument and no politic ready. But nowadays we have new try to discus about archive with new mind. The phenomen of modern-traditional culture in korea is very dynamic and the study about that is activity. Scholas have collected important varity materials. Those things must be preserved in new archive for the future and next academic generation. I have discussed about possibility for an establish of new archive under the todays situation and politic circumstance. I have said it's possible. We have already pre archive in national folklore museum. It will develope itself, but it's not perfect. We have to establish as a next stage new institute in culture government.

      • KCI등재

        논문 : 실화와 설화의 경계와 소통 -금사망보 실화 중심-

        이정재 ( Joung Jae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본고는 금사망보 실화의 설화적 연구다. 약 70-80년 전에 있었던 한 실화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시도를 설화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실화와 설화는 서로 상보적 관계를 이루면서 각자의 관점에서 각각의 목적을 지향한다. 실화를 구성할 때 설화적 방식과 그 세계관과의 소통이 전제된다. 상기의 서술에서 이미 그런 관점이 입증되었다. 그 방법을 위해 필자는 그간의 구렁이 뱀설화 연구를 총체적으로 검토하였고, 그 결과 모티브 구분이 크게 네 가지로 압축되고 있음을 정리했다. 이 네 가지의 모티브군 즉 ``사신신앙 모티브, 상사뱀 모티브, 변신 모티브, 승천 모티브`` 등은 금사망보 실화를 분석하는 틀로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실화의 구성은 기존의 구렁이 설화군에 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것은 실화에 채택된 내용의 진실성 여부를 논하기 이전에 이야기가 전하려 하는 진실이 무엇인가를 간파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간의 구렁이로의 변신과 그 반대로의 변신들이 과학적으로 과연 가능한 것인가의 문제는 여기서 다룰 부분은 아니다. 오늘의 과학이 자연현상의 모두를 설명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란 점은 알려진 것이나 과학적 설명과 증명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은 인정되지도 않고 다루지도 못하는 것이 학문적 현실이다. 인문학은 인간의 정신적 영역을 다루고 인간의 문화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과학적 방법과 인식과는 다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인간과 인류가 이룩한 성과를 근거로 가능한의 인간 이해와 문화 이해 그리고 이를 통한 삶의 현상을 설명하고 인간의 존재에 대한 가치를 추적하는 일련의 연구는 태생적으로 자연과학적 방법과 차원을 달리한다. 그러나 연구의 방법이 엄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해 가능한 논리와논증 그리고 상식적인 증명을 통한 이해의 지평은 확장될 수 있다. 이상의 인문학적 분석과 추론은 사실과 설화의 차이를 좁히려는 시도이고 둘의 진실을 소통케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인간이 요구하고 의도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간파하는 것은 인간을 이해하고 서로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불필요한 오해나 왜곡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true story of this paper ``Geumsamangbo`` is a folkloristik study. A true story, that approximately 70-80 years ago had been happened, attempts to be analyzed how it could be understood. True story, and stories related to each other and were complementary in terms of self-will toward each objective. folkloristik constructions to configure a true story and communicate with their world view is the premise. In the above description has already been proven to be such a perspec- tive. For that I examined the overall study of the folklores of snake and serpent. As a result, it is compressed to four motives distinction. That is the motif of the four groups ``motif of snake-god, ``sangsabaem`` motif, motif of transformation, ascension motif``, etc. Its framework was applied to analyze the true ``geumsamangbo``-story. Analysis of the existing configuration of the true story, the story of the serpent was confirmed that belongs to the group. Being able to get through it as follows: Information on the true story was adopted prior to the veracity of the story we discuss whether the truth is that we can bring something more important is the fact that ganpahaneun. The transformation of human to serpent and that of serpent to human is a scientific problem. This deal is not a problem here. Mental area of the humanities dealing with the human handling of human cultur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s possible based on the achievements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understanding is needed. In this series of studies differ in the nature of scientific method and dimension. However, understanding and common sense, logic and reasoning to prove understanding of the horizon can be extended through. Assays and the reasoning of the humanities than with the facts of the story is an attempt to narrow differences. Furthermore, it i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of both truth. Human needs through these attempts what he need, and insight into what it is intended. The man with the capacity to understand and communi- cate with each other to prevent further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or distortion will be the role.

      • KCI등재

        글로벌시대 한인무속의 성과와 과제

        이정재(Lee Joung Jae)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7

        세계를 향한 한인 무속의 진출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고, 이제는 그 과정과 진행 정도가 학술적으로 마냥 간과하기만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한인무당을 중심으로 하든지 혹은 본토인에의 한국무속 전파에서든지 문화전파는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 점을 글로벌의 관점에서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및 기타 국에 진출해 있는 한인 무속을 대상으로 그동안의 문헌자료를 종합 정리하였고, 아울러 현장의 국제적 무속인들에게서 얻은 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국제화 시대 한인무속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각 나라별 특수한 전승 상황, 현재의 구현 상황과 앞으로 한인무속의 글로벌시대에 직면한 전망과 과제도 살펴보았다. 전 세계의 주요 국가에 진출해 있는 한인의 무속은 광범위하게 확산이 있다. 각 국가별 정치적 경제적 혹은 문화적 조건과 상황은 한인 무속의 전승과정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특히 공산국가와 민주국가 사이에서는 현저한 전승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런 상황에서도 무속은 사라지지 않고 적정한 적응과 변화를 거치면서 오늘에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명맥을 유지 할 뿐만 아니라 개방화를 맞이하여 새로운 발돋움을 꽤하는 양상을 제 국가에서 확인하고 있다. 한인무속의 진출 정도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을 하였다. 국외정착형, 국외 원정형, 국내 방문형, 온라인형의 한인 무속 등이 그것이다. 글로벌 한인무속의 현황과 전승 및 국제화된 한인무속의 연행 형태와 아울러 그의 과제와 전망을 조심스럽게 정리하였다. 글로벌 무속을 논하는 자리에 현재 외국에서 진행되는 네오 샤마니즘과 그의 정신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네오 샤마니즘은 전통적인 무속의 방법을 빌어 현대인이 가지는 복잡한 심리적 정신적 혹은 그로 인한 육체적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결국 글로벌 한인무속이 가지는 의의와 구별되지 않는다. 미래 한인무속의 전망은 현대인의 상담치유의 관점에서도 검토해야 한다고 보았다. 새로운 방법의 개발과 네오 샤마니즘의 연구 및 한국무속과의 조우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실크로드 신화 〈애견이여 춤춰라〉와 한국 무가 〈바리공주〉의 비교 연구

        이정재(Lee Joung-Jae)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3 No.-

        이 연구는 실크로드 설화 〈애견이여 춤춰라〉와 한국의 〈바리공주〉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이를 고찰한 결과 실크로드 설화 〈애견이여 춤춰라〉는 바리공주의 기본형과 일치하며, 많은 이본군들 중에서는 특히 동해안-경상도의 이본군과 매우 닮아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동해안-경상도 이본군과의 비교 결과는 ‘남장하기’와 ‘남장 시험하기’ 모티브의 일치점이 두드러져 이를 특별히 살폈다. 이의 고유성 확보를 위해 한국의 다른 서사물에서 보이는 ‘남장모티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분명한 변별성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이는 실크로드 상에서만 발견되는 특별한 모티브로 보이는 점도 살폈다. 한국에서는 이 동해안-경상도 이본군을 한국 〈바리공주〉의 한 변이형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제 전혀 다른 환경에서 이와 동일한 이야기가 발견된 점을 미루어 볼 때 이를 어렵게 만든다. 실크로드본으로 한국적 변이 과정과 무관하게 존재했기 때문이다. 자료의 보강이 이루어진다면 〈바리공주〉 원형 논의를 비롯한 이본연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Pari princess is very important folklore-material not only for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but also comparative research of oral literature. Pari princess shaman myth is usually regarded as an origin of korean shaman. This shaman song have a lot of variety. It is needed to analyse theses variants for the shamanistic and literal understanding. A Way of research those variants is to set up standard form and compare with that each other. But this way show a limitation of analyse. Problem was about original form of Pari princes shaman myth. To establish an origin myth was not easy, because it is too complex to find it in a lots of materials. I have found Pari princes shaman song, that is recorded in usbekistan on silkroad. I have tried to re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origin myth. Result of this compared research is that the two variant have a same type, and especially have similar structure with variants of Donghae-kyungsan province. In silkroad founded variant of pari princess myth have no relation with koreans. It is enough to give a opportunity of discus about origin form of pari-prince shaman song.

      • KCI등재

        독일의 도시민속학 연구 경향

        이정재(Lee Joung-Jae)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1 No.-

        도시민속학과 현대민속학은 오늘날 민속학 연구에 있어서 세계적 추세이다. 문화의 세기이자 글로벌시대인 오늘의 상황에 자민족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연구하고 그에 기초한 현재의 문화 현상을 분석하여 당대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학문이 취할 당연한 자세이다. 한국 민속학계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도시민속학적 연구는 지극히 미약하다. 여기에는 그럴만한 사회적 역사적 배경이 있었을 것이다. 독일의 민속학도 나름대로의 역사과정을 거치면서 발전을 해왔다. 그 과정을 더듬어 한국민속학 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격지 않아도 될 시행착오가 있다면 이를 피하는 지혜를 얻는다거나, 앞선 이론이나 연구 방법론이 있으면 받아들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독일도시민속학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동안 도시민속학에 대한 추상적인 설명과 소개를 벗어나 구체적인 개설 강좌와 연구 방법 및 연구 주제들에 대한 소개 및 설명과 분석을 위주로 하였다. This paper focused on urban-folklore in Germany. After 2nd world war tried German folklore academy to make a new methode of research for analyse German culture. They were depressed by their historical incident. The work of Swiss schola Richard Weiss, 〈Volkskunde der Schweiz〉, influence on German schola. For realization of urban folkore in Germany they should experience a series of social and academic accidence; Movement of aginst Nazi, Student movement, women folklore, development of big city, visual media and diffusion of digital culture etc. By these process we can see two facts; one is confusion of concept about urban folklore, second, certain establish of urban folklore or modern folklore is not jet ended but in progress. But in this progress the results is worthy of cross attention. The studies of ADV, DVA, that is worked by historical and geographical methode Difusionism. In addition to this introduced many of theories of folklore study; for example 문화사회비평(kultur-gesellschaftkritisch) 혹은 비평적 경험문화학(Kritische empirische Kulturwissenschaft), 문화변동(Kulturwandel), 사회민속학(soziologische Volkskunde), 의사소통학(Kommunikations-forschung), 문화인류학적 민속학(Ethnologische Volkskunde), (Vergleichende Folklotistik), (historisch - archivalische Forschun) etc. Comparing with these theories I have introduced many of lectures, that were opened at faculty of folklore in german university last 5~6 years. The lectures were go on by german folklore following on their new theories. Now a days appeared on an new subjects in lectures, especially body, healthy, Fitness and wellbing, eco-environment, and a problem of die and old, social pure and difficult and about individual life etc.

      • KCI등재

        바리공주 이본연구의 허와 실

        이정재(Lee Joung-Jae) 한국무속학회 2004 한국무속학 Vol.0 No.8

        이본연구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바리공주의 예를 들어 지적하였고, 이를 근거로 한 이론적 정리를 시도하였다. 이본 연구에서 드러날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을 이야기 전개와 주제를 통한 이본의 선별문제, 서사단락 구분의 문제, 기본형 설정과 활용의 문제, 기본형과 원형의 문제의 순으로 정리하였다. Pari princess is very important material not only for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but also comparative research of oral literature. Pari princess shaman myth is usually regarded as an origin of korean shaman. This shaman song have a lot of variety. It is needed to analyse theses variants for the shamanistic and literal understanding. A way of research those variants is to set up standard form and compare with that each other. But this way show a limitation of analysis. Problem was about original form of Pari princes shaman myth. To establish an origin myth was not easy, because it is too complex to find it in a lots of materials. The study of variety of oral literature have some problem. I have tried to choose the method limit in research of Pari princess, and explain the theoretical resolve for more developed analyse of oral text. I have devide in fore teils for the resolve, namely how choose the variety of oral text, how devide the text, how can get elementary form of the texts and how about between origianl form and elementary form of one variety of oral literature.

      • KCI등재

        『옥추경(玉樞經)』의 성립과 활용 및 사상사적 의의

        이정재(Lee Joung Jae)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2 No.-

        『옥추경』에 대한 연구는 한국 신종교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그러나 조선 말기 『옥추경』의 활용도에 따른 민속학적 접근이 결여된 점이 아쉬웠다. 『옥추경』의 민속 상관 연구는 미흡하였으나, 구중회와 장인성의 연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옥추경』은 중국에서 만들어져 많은 인기를 누렸지만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진 반면, 고려 말 반도로 들어온 『옥추경』은 조선대를 거치고 근세에 이르는 동안 끈질긴 전승력을 보이며 근대의 신사상에 이르기까지 가볍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경이다. 그의 사상사적 맥락과 문화사적 정황을 밝히는 과정에 민속적 접근은 유용한 수단이라 판단되었다. 몽골족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옥추경』의 성립은 많은 편견과 평가절하를 겪으며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었다. 본고는 기존 연구와 달리 『옥추경』이 그들이 가진 무속사상을 확정한 책이라는 점을 드러내고자 했고, 그 사상성의 한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려 했다. 그 성립의 배경과 성립과정, 명대 『옥추경』의 퇴출 배경과 저의(底意), 구천(九天)이 가진 의미와 무속사상, 조선대 관방도교의 『옥추경』 퇴출과 민간에서의 성행, 근세에 이른 개벽사상의 단초 마련 등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무속적 성향이 강했던 남방도교는 원대와 자연스런 조우를 했고 명대와 조선에 큰 영향을 끼친다. 유독 조선에서는 정착을 넘어 큰 영향을 끼치며 근대까지 이어져 신종교로 이어진다. 그 근거로 필자는 무속이라는 민속 사상사적 유사성과 역사적 위기 상황의 유사성,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유사한 방식 등으로 정리를 하였다. 이를 위해서 언급된 삼교합일론과 주술 및 귀신론의 성행, 그리고 원대와 명대의 『옥추경』 처리 과정, 『옥추경』의 다양한 판본과 앉은굿의 실재 등이 언급되었고, 몽골과 동북아의 샤마니즘의 공통 사상에 대해서도 살폈다. The Scripture of Okch’u (玉樞經), which originated from China, was first researched in Korea, by the Academy for New Religions. But there are no folkloristic studies on this. The Yushujing was made in China, but is now gone. It was transmitted in the late Koryo Dynasty, which has progressed to modern-day South Korea. A study on the ideas and culture of this text is needed in folkloristic research. The Yushujing was written by Mongolians, and has not yet been properly evaluated. I examined its connections with shamanism, and described the following: the background to its establishment;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the exit of Yushujing from the Ming dynasty; the meaning of Kuch’ŏn (the highest heaven) related with shamanism; the exit of Taoists from the Chosŏn dynasty and its growth in folk popularit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Great Opening(kaebyŏk) idea in modern times. Since Taoism in Southern China had strong shamanistic tendencies, it naturally encountered the Yuan (元) dynasty, and deeply influenced the Chosŏn dynasty, leading to a new religion in Korea. The evidence is as follows: the similarities between shamanism and folklore, in historic crisis, and in how to get over it. I also consider the following: the unity theory of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popularity of magic and ghosts theory, the process of handling Yushujing in the Yuan and Ming dynasties, various versions of Yushujing and the actual existence of seated exorcism (k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