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판 청소년용 부적응적 사고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정윤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1 인지행동치료 Vol.11 No.1

        본 연구는 이정윤(2007)에 의해 개발된 청소년용 부적응적 사고척도를 개정하고, 개정판 척도의 요인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53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1에서는 이전 척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9요인 구조로 이뤄진 44문항의 개정판 척도를 제작하였는바, 요인구조는 이전 척도와 동일하였고, 하위요인들의 내적일치도는 이전 척도에 비해 다소 향상되었다. 상위요인분석 결과, 자기중심화, 화에 대한 낮은 인내력, 문제행동 과소평가, 타인비난, 완벽과 인정추구는 외현화문제 특정적인 부적응적 사고로, 자기비난, 자기비하, 부정경험 과대평가는 내면화문제 특정적인 부적응적 사고로 묶여졌다. 전국단위표집으로 1233명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연구 2를 실시한 결과, 개정판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이 검증되었으며,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자동적 사고척도 및 수정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척도, 그리고 도식 질문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여 적절한 수준의 수렴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정판 척도는 일반 청소년들 가운데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집단에 따라 유의한 점수 차이를 나타내 적절한 수준의 변별타당도를 보였다. 나아가 개정판 척도는 일반 외현화문제 청소년과 임상적 수준의 외현화문제 청소년을 잘 구별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evised Maladaptive Thoughts Scale for adolescents(R-MTS-A). In study 1, 53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ound Seoul area were analyzed to develop a revised version, 44 items with nine factors were extracted. These factor structures were the same as the old version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sub-factors were more improved than the old version. The results of higher-order factor analysis revealed 2 higher-order factors: externalizing problem specific maladaptive thoughts(self-centeredness, low anger threshold, minimizing problem behaviors, other-blame, perfectionism and approval seek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specific maladaptive thoughts(self-blame, self-deprecation, maximizing negative experiences). In study 2, 1233 students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nine distinct factors, and the R-MTS-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K-CATS, R-GABS, and the Schema Questionnaire, thereby demonstrating the convergent validity. The R-MTS-A were found to discriminate betwee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groups in community level, and further discriminate between community and clinical externalizing problem groups, thereby demonstrating the appropriate discriminant validity.

      • KCI등재

        한국형 학습동기조절전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정윤,김누리,정혜연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ventory(KLMRSI) based on Korea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concept mapping method (Lee et al., 2016)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tudy 1,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320 university students around Seoul area and 38 items with 8 factors were extracted. 8 factors were pursuing mastery goal/personal meaning, repaying parent’s or teacher’s expectations, seeking social recognition/external rewards, peer comparison and competition pursuit, having duty about studying, self-compensation, time and environmental control, self-suggestion through external stimulus, and these factors were explained about 50.8% of total variance. Study 2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developed scale for 267 high school and 31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item-total score correlation coefficient of KLMRSI were satisfactory. And the developed scal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correlation with similar measures that were developed and used, and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appropriate level of construct validity.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grade of the students, the longer the self-directed learning time and the higher level of the grit, they use the regulation strategy of learning motivation more often. In order to confirm the cross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new groups includi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showed acceptable level of goodness of fi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앞서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습동기조절전략들(이정윤 등, 2016)을 토대로 한국형 학습동기조절전략 척도를 개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서울지역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예비척도를 만들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총 8요인 38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8개 요인은 ‘숙달 및 의미추구’, ‘부모(교사)기대에 대한 보답’, ‘사회적 인정/외적보상추구’, ‘또래비교 및 경쟁추구’, ‘공부에 대한 의무/당위’, ‘자기보상’, ‘시간 및 환경통제’, ‘외부자극을 통한 자기암시’ 로서, 전체 변량의 50.8%를 설명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서울 지역의 고등학생 267명과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는데, 한국형 학습동기조절전략 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문항-총점간 상관계수는 양호하였고,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던 유사한 척도들과의 상관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수준의 구인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학생들의 성적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시간이 길수록, 투지성향이 높을수록 학습동기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 개발된 척도의 교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고등학생을 포함한 새로운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용할만한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내면화-외현화 문제에 따른 인지적 특성

        이정윤,김유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6 청소년상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따라 인지적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 비합리적 신념과 자동적 사고의 하위요인이 청소년의 내면화-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인 설명력을 검토해보 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65명(남 267, 여 198)의 중학생이었고, 문제행동 척도(장덕희, 2001), 한국판 자동적 사고 척도(K-CATS, 문경주 등, 2002), 한국판 비합리적 신념척도(최정훈, 이정윤, 1994)를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비합리적 신념 가운데 파국화와 과잉불안염려, 자동적 사고 가운데 사회 불안인지와 우울인지는 내면화문제와 관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대적 인지는 외현화문제와 관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간 평균값 차이검증 결과, 개인적 완벽성, 파국화, 과잉불안염려는 내면화 문제집단에 서, 의존성은 외현화 문제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았다. 우울인지와 사회불안인지는 내면화 문제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적대적인지는 외현화집단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과잉불안염려, 파 국화, 문제회피는 내면화문제를, 개인적 완벽성은 외현화문제를 잘 예측해주는 요인이며, 무력감은 내면화-외현 화문제를 모두 예측해주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불안인지는 주로 내면화문제를, 신체적 위협인지와 적대적 인지는 외현화문제를 예측해주는 요인이며, 우울인지는 내면화-외현화문제를 모두 예측해 주는 공통요 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볼 때 외현화집단보다 내면화집단에서 부정적인 인지적 특성들을 보다 많 이 지니고 있으며, 내면화-외현화 문제를 설명하는데는 공통적인 요인과 특수한 요인이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gnitive specificity according to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and relative predictability of irrational beliefs and automatic thoughts on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in community adolescents. The PBC(Jang, 2001), K-CATS(Moon et al. 2002), and K-IBT(Choi et al. 1994) were administered to 465(boys 267, girls 198)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atastrophizing and anxious-overconcern in irrational beliefs and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cognitions in automatic thoughts were more highly correl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Hostile cognition was more highly correlated with externalizing problems. T-tests showed that internaliz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externalizing group on personal perfection, catastrophizing and anxious-overconcern in irrational beliefs and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ons in automatic thoughts. Externaliz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internalizing group on dependency. And externalizing group showed higher tendency than internalizing group on hostile cogni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ternalizing problems were predicted mainly by anxious-overconcern, catastrophizing, and problem avoidance, while externalizing problems were predicted mainly by personal perfection. And helplessness predicted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predicted mainly by social anxiety cognition, while externalizing problems were predicted mainly by physical threat and hostile cognitions. And depression cognition predicted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u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negative cognitions more than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re were common and specific factors explaining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조절전략 사용에 따른 군집유형

        이정윤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5

        This study examined cluster typ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use of seven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presented by Lee(2003) on the basis of Schwinger, von der Laden, & Spinath’s(2007)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cluster types on meta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35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area were participated. Cluster analysis revealed five subgroups of students; low profile, goal-focused profile, in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high profile,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High profile group were used the most on meta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monitoring, modifying and on behavioral regulation such as behavioral control, time-management, help-seeking, which was follow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group, and goal-focused profile group, whereas low profile group were used the least on them. Also, low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groups showed the lowest gr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high, intrinsic and goal-focused profile groups showed higher grade than low profile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Schwinger 등(2007)의 동기조절전략 척도를 토대로 이정윤(2013)이 제시한 7가지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 정도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 살펴보고, 각 군집들 간에 초인지조절과 행동조절, 그리고 학업성적에서 차이가 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에 따른 유형을 확인하고자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빈도 자기조절집단’, ‘목표중심 자기조절집단’, ‘내재적 동기중심 자기조절집단’, ‘고빈도 자기조절집단’, ‘외재적 동기중심 자기조절집단’과 같은 5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자기조절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고빈도 집단이 계획, 점검, 조절과 같은 초인지조절 전략이나 행동통제, 시간관리, 도움요청과 같은 행동조절 전략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중심 집단, 그리고 목표중심 집단의 순이었고, 자기조절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저빈도 집단이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적은 저빈도 집단과 외재적 동기중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고, 고빈도 집단, 내재적 동기집단, 목표중심 집단의 순으로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스포츠팀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체계화에 관한 연구 - 대학농구팀을 중심으로 -

        이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This study considered the basketball teams of the top 10 universities in booth Korea and U.S.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 order to research the brand system of visual identity from the university sports teams. The elements of detailed analysis from the visual identity of sports teams are university logos, athletics marks, seals, colors, mascots, uniforms, and names of each teams. These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visual identity system of the university teams in Korea uses the same Monolithic Identity System(MIS) as the visual identity in universities does. Monolithic Identity System(MIS) develops in a standardized form to emphasize unification, simplification, and fixation because of economic feasibility, efficiency, and management and has the weak point for flexibility adapted to the new environments to be controlled by the manual of the integrated design. On the other hand, identity system of university sports in U.S. has Flexible Identity System (FIS) with integration, scalability, and openness of visual expression maintaining the essential identity. Most universities also name after the names of the regions, and the differentiation of products based on the local area as the marketing strategics creates the sameness between the consuming university teams and fans in communities and gives unforgettable branding experiences to their customers. U.S. has two organizations; one is NCAA(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which manages the university sports, the other is CLC(Collegiate Licensing Company) which takes care of development,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s’ brand. Because of continuous and systematic sports marketing strategics the largest voluntary fan bases are created, and the synergy effect interlocked with flexible identity system leads to the success of U.S. university spor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스포츠팀의 브랜드 비주얼아이덴티티의 체계화를 위해 한국대학의 상위 10위권대학과 미국의 상위 10위권 대학들의 농구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스포츠팀의 비주얼아이덴티티의 세부 분석요소로는 대학로고, 체육마크, 인장, 컬러, 마스코트, 유니폼, 그리고 팀네임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대학스포츠팀의 비주얼아이덴티티 시스템은 대학의 비주얼아이덴티티 시스템과 거의 동일하게 단일된 아이덴티티 시스템(Monolithic Identity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 단일체계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경제성, 효율성, 관리성 때문에 단일화, 단순화, 고정화가 강조된 획일적인 형태로 발전할 수밖에 없고, 통합적인 디자인 매뉴얼에 의해 통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에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미국대학 스포츠 팀의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본질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시각적 표현의 통합성, 확장성과 개방성을 갖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시스템(Flexible Identity System)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이름을 대학 명으로 삼고 있어서 마케팅 전략으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상품의 차별성은 이를 소비한 대학팀과 지역사회의 팬들 간의 동일성을 형성하여 소비자들에게 잊지 못할 브랜드경험을 준다. 그리고 대학스포츠를 관리하는 조직 NCAA(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와 대학 스포츠팀의 브랜드 개발, 브랜드 보호, 그리고 브랜드 관리를 하고 있는 CLC(Collegiate Licencing Company)가 대학 스포츠를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스포츠마케팅전략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두터운 팬 층이 형성되고 더불어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시스템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면서 오늘에 미국대학스포츠를 성공으로 이끌고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아동 적응: 부모의 정서 및 양육 방식을 중심으로

        이정윤,이우열,송현주,차민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rents’ emotional states and parenting practices on children’s adjustment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Children’s negative outcomes (e.g., conduct problems) and positive outcomes (e.g., routine maintenance) and parent-related variables (e.g., perceived distress resulting from the COVID-19 crisis, anxiety, depression, parenting distress, and specific parenting practices) were measured. Participants (n=501) completed an online questionnaire between January and April 2021, during the most restrictive period of social distancing establish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distress resulting from the COVID-19 crisis, anxiety, depression, parenting distress, and specific parenting practices affected children’s positive outcom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dditionally, focused and structured parenting was specifically related to children's positive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hav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programs that support children's well-being in the COVID-19 pandemic and other health-related cris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부모의 정서 상태 및 양육 방식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품행 문제와 같은 아동의 부정적 적응 상태, 계획된 일과에 맞추어 생활하는 것과 같은 아동의 긍정적 적응 상태, 코로나19로 인한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 양육 고통,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구체적 양육 방식과 같은 부모 관련 변인이 측정되었다. 자료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던 2021년 1월부터 4월까지의 기간 동안 수집되었으며, 아동의 부모가 자기보고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아동의 긍정적 적응은 코로나19로 인한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 양육 고통, 양육 방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 방식 중에서도 초점적, 체계적 양육이 특히 아동의 긍정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확산과 같은 재난에서 아동의 안녕감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지침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 :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의 매개효과

        이정윤,장미경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9 인지행동치료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우울과 자녀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녀양육관련 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우울, 양육행동, 자녀양육과 관련된 비합리적 사고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서울과 경기지역의 지역사회 일반 어머니 5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우울은 자녀에 대한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 변인 중자녀에 대한 부정적 사고는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양육과 관련된 비합리적 사고 변인 중 부모의 자기비난과 부모역할에 대한높은 기준설정은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지적 접근의 부모교육과 우울한 어머니에 대한 상담과 관련된 시사점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Five hundreds and six married women in community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and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for the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depression of mother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parenting behaviors. In addition,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especially negative thoughts for the child,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However, mother's self-blame and high parenting standard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ese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