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 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정연,이정연,유종덕,이종윤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30
Oral history is the work to make the record of the verbal content recreated by the memories of the survivors. Oral history record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interviewee, the interviewer, the cameraman, the recorder, the transcriber and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context at the time of the production to be expressed. So planning for the collection of oral records, the collection of oral records, and thei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This study, being started from this sense of problem, designed conceptual model of metadata to well reflect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oral records of the women life of among the oral records and extracted the elements through this. The whol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from planning, producti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leading to use, related to the oral records of the women life, was classified into a hierarchy. It also proposed the system which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through authority records and subject thesaurus. 구술은 생존자의 기억을 통해 재현된 내용을 기록화 시키는 작업으로 구술채록은 구술자, 면담자, 촬영자, 녹취자 등의 협업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구술기록물은 생산 당시의 맥락이 표현되는 것이 중요하며 구술기록물 수집을 위한 기획, 구술기록물 수집, 보존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기록물 중에서도 여성구술생애기록물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의 개념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통하여 요소들을 추출 하였다. 여성구술생애기록물 관련 기획부터 생산, 보존, 관리, 이용에 이르는 기록 관리의 전 과정을 포함하여 계층으로 분류하였으며, 전거레코드와 주제 시소러스를 통해 '여성'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워더링 하이츠』 속 캐서린의 유령에 대하여: 가부장적 정체성의 재정의를 통한 재소유 과정
이정연,이정연,정이화 대한영어영문학회 2025 영어영문학연구 Vol.51 No.2
This article analyzes Emily Brontë’s Wuthering Heights (1847) by using the theoretical paradigm in Beth Torgerson’s book, Reading the Brontë Body (2005). Torgerson interprets Wuthering Heights as a critique of the patriarchal system by using the metaphor of “illness,” to focus on the flaws of male-centered inheritance and economic structures. According to Torgerson, for Brontë, patriarchal society is where both women and socially marginalized men are deprived of their economic and bodily autonomy because of their lack of access to inherited land, property, wealth, family name, and social status. Torgerson defines this hierarchy as a relationship of “dis/possession” within the patriarchal system. Torgerson argues that the recurring images of the “vampire” and “ghost” in Wuthering Heights symbolize the patriarch and the victims of patriarchy, metaphorically representing the dynamics of “dis/possession.” Thus, “vampire” and “ghost,” along with the metaphor of “illness,” expose the fundamental corrupt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This study readdresses Torgerson’s interpretation of the dynamics of dispossession in an attempt to examine why Catherine Linton’s ghost cannot enter Wuthering Heights after having died and haunted the grounds for twenty years. Catherine’s ghost suffers from the “illness” of “dispossession” under the patriarchal order. In order for Catherine’s ghost to return home, she must undergo a process of restoring her lost identity before she is able to return to Wuthering Heights. In this article, we explor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er Catherine Heathcliff and Hareton Earnshaw contributes not only to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identity of Catherine’s ghost but also ultimately redefines the roles of women and marginalized men within Brontë’s novel.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이 현대무용 창작에 미치는 영향: 작품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을 중심으로
이정연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정연댄스프로젝트의 2019년 작품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을 창작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대무용창작에 있어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의 활용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은 증강현실과 혼합현실이 사용된 예술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사례 고찰, <루시드 드림> 작품에 참여한 안무자와 기술팀의 제작과정 등의 일지와 인터뷰를 분석하였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개발회의 기록과 공연 후 컨퍼런스 발표를 통해 발전방안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 아이디어를 확장하게 된다. 둘째, 작품의 시각화와 공간감을 준다. 셋째, 창작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넷째, 창작자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강화시킨다. 다섯째, 관객의 관심도와 연출 효과가 증대된다. 기술의 발전은 예술의 창작과 표현 방법을 혁신시키고 예술은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술과 기술융합의 창작물은 창작자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줌과 동시에 새로운 예술 장르로 발돋움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ucid Dream", the 2019 work of Lee Jung-yeon danc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use of AR and MR technologies in modern dance creation.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case review related to art using AR and MR, and embodied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records of development meetings and post-performance confer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expands the creative idea. Second, it gives a visualization and a sense of space of the work. Third, i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creative process. Fourth, it strengthens the creativity and artistry of creators. Fifth, the audiences' interest and directing effect are increas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volutionizes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art, and art plays a role i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reation of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is expected to open infinite possibilities to creators and at the same time become a new art genre.
외국인 유학생의 시험 답안 쓰기 능력 향상을위한 교수 항목 및 내용 연구
이정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8 언어와 언어학 Vol.0 No.7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items and content on exam answers that need to be covered in textbooks for academic writing in Korean in order to improve foreign students‘ ability to write exam answers. To do so, earlier studies on textbooks for academic writing for Koreans and the exam answers of Koreans were analyzed firs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exam answ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writing exam answers requires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structure of answer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exam questions and presenting proper grounds for answers in context to clearly display what each type of questions requires. To examine how well these characteristics of writing exam answers are reflected in KAP textbooks, those that contain the content of writing exam answers were analyzed based on evaluation items including textbooks’ structure, content, expression and practice activity. It was found that many of them failed to meet the standards of each ite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structure of a unit for writing exam answers that needs to be reflected in textbooks in order to ensure students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exam answers as a genre.
이정연 한국푸드아트테라피학회 2016 푸드아트테라피 Vol.5 No.1
인간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으 며 성장과 발달을 해나가는 데, 발달심리학적 관 점에 의하면, 인간발달은 단계적으로 일어나며 정 상발달이 있기 위해서는 이전 단계의 발달과업이 성취되어야 그 다음 단계로 순조롭게 넘어갈 수 있다고 한다(정옥분, 2013: 곽금주, 2016). 인간은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환경을 탐색하고 적응해 가면서 자아실현을 해나가는 능동적인 존재이므 로 전생애적으로 성장과 발달을 추구하게 된다. 그럼에도 인간은 어느 단계에서 지적 능력과 상 관없이 정서장애나 행동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울 수가 있다.
이정연 한국가족치료학회 1999 가족과 가족치료 Vol.7 No.2
본 연구는 신경정신과 치료를 받아온 모녀의 심리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을 적용하고 부부대화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통합적인 치료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정연 한국카운슬러협회 2008 相談과 指導 Vol.43 No.-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이하 TA)은 미국의 정신의학자 에릭 번(Eric Bern :1910-1970)에 의해 1958년에 태동하여 1960년대에 골격을 갖춘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심리치료 요법으로 자기 개발은 물론 대인관계, 조직관리에도 대단히 효율적인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오늘날에도 그 이론의 변화는 계속되고 있다. 그 내용으로는 크게 구조ㆍ기능분석, 교류패턴분석, Strokeㆍ적극적 경청, 인생태도, 시간의 구조화, 게임분석, 각본분석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