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졸업유예는 누구에게 기회가 되는가? : 대학 소재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비교 분석

        이전이 ( Lee Jeon-yi ),심우정 ( Shim Woo-jeo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소재지(서울 vs. 지방)에 따른 대학 졸업유예의 차별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7)를 활용하였다. 졸업유예 선택으로 인한 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였고, 임금이 취업한 사람들에게만 관측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Heckman(1979)의 2단계 표본 선택 모형(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으로 졸업유예가 취업 여부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취업 여부에 대한 프로빗 모형 분석결과, 졸업유예나 대학 소재지는 취업 여부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 소재지에 따른 졸업유예의 차별적 효과 역시 발견되지 않았다. 임금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졸업유예를 선택한 이들의 시간당 근로소득은 졸업유예를 선택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약 5.3% 정도 높고 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의 시간당 근로소득이 지방대 졸업생에 비해 11.7%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소재 대학 학생들이 선택한 졸업유예의 효과는 졸업유예의 평균적 효과보다 6.7% 작게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졸업유예 선택이 결과적으로 지방 소재 대학 졸업생과 서울 소재 대학 졸업생 간 임금 격차를 감소시키는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tial effect of delayed graduation by the university location (Seoul vs. regiona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GOMS 2017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to remove the biases due to the preselection of delayed graduation. We also adopted the 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 of Heckman (1979) considering that wages, one of our outcome variables, are observed only for those who are employ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of delayed graduation is non-significant on employment statu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delayed graduation and university location. The regression results on wages told quite a different story; the hourly earned income of those who chose to postpone graduation was about 5.3%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choose to delay graduation.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delayed graduation and university location was significant and negative, implying that regional university graduates reaped benefits by delaying their gradu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oice of delayed graduation may work as a mechanism to reduce the wage gap between graduates of local universities and graduates of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졸업유예가 취업 및 임금에 미친 효과

        이전이(Lee Jeon Yi),유지현(Yu Ji Hyeon),강영민(Kang Young min),박주호(Park Joo 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6 No.4

        최근 심각한 청년실업난 속에서 졸업을 미루는 대학생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취업준비를 위해 선택한 졸업유예가 취업 여부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약 12,000여 명의 4년제 대학 졸업자이고,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졸업유예 선택에서 나타나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를 제거한 뒤 최종 분석에 활용한 표본의 수는 2,888명이다. 특히, 본 연구는 임금이 취업한 사람들에게만 관측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Heckman(1979)의 2단계 표본 선택 모형(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으로 졸업유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졸업유예를 선택 한 학생과 선택하지 않은 학생 간 인구학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졸업유예에 대한 자기선택 편의를 제거한 후 졸업유예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졸업유예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취업할 확률도 높고, 취업할 경우 임금도 더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노동시장에 적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대학이 보다 현장 적합성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졸업 요건 등을 제도적으로 보완하여 졸업유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필요성이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A growing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are delaying graduation amid a tough job market. As an exploratory endeavor,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ion delay on labor market performance, getting employment and the degree of wage. Data were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4. This study particularly tried to control sample selection bias b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s with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delay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ion has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ge, even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an effective school to work transition.

      • KCI등재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자기-타인평가일치가 학교 내 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

        이전이(Lee, Jeon-Yi),구하라(Ku, Hara),박주호(Park, Joo-Ho),주미경(Ju, Mi-Kyung),차윤경(Cha, Yun-Kyung),최경준(Choi, Kyoung-Jun),함승환(Ham, Seu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을 위한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인 교사협력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요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자기 평가와 교사/타인 평가 간 의 (불)일치 유형에 따라 학교 내 교사 간 협력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TALIS 2008 데이터 가운데 우리나라 전국 48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장 48명과 교사 819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과 교사 간의 평가 (불)일치 유형에 따라 교사 간 협력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과 교사 간의 평가 (불)일치 유형을 ‘고평가 일치’ 유형(준거 집단), ‘저평가 일치’ 유형, ‘과대평가자 교장’ 유형, ‘과소평가자 교장’ 유형으로 분류할 때, 과소평가자 교장 유형의 학교 교사들은 고평가 일치 유형 학교의 교사들에 비해 교사 간 협력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대평가자 교장 유형이나 저평가 일치 유형의 학교 교사들은 고평가 일치 유형 학교 교사들에 비해 협력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유의미하 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사 간 협력 활동을 촉진하는 기제로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평가가 다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degree of teacher collabo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rincipal-teacher rating (dis)agreement regarding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alyzing data from 48 middle schools in South Korea, originally gathered by the OECD’s TALIS 2008 survey, the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degree to which teacher collaboration is fostered in schools may systematically differ depending on four (dis)agreement types, i.e., in-agreement/good, in-agreement/poor, over-estimator principal, and under-estimator principal. The main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working in ‘in-agreement/good’ type schools (i.e., schools where both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agree that the principal exhibits effec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are most likely to engage in intra-school collaboration with other colleague teachers. In addition, ‘under-estimator principal’ type schools (i.e., schools where the principal under-estimates his/her instructional leadership performance while the teachers evaluate him/her highly) also appear fairly effective in fostering teacher collaboration.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instructional leadership in multifaceted ways.

      • KCI등재
      • KCI등재

        CIPP모형 기반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수행평가지수 개발:교육복지사업학교를 중심으로

        은경(Lee, Eun Kyung),김홍민(Kim, Hong Min),성원(Lee, Sung Won),이전이(Lee, Jeon-Yi),박주호(Park, Joo-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for school-community networking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o achieve this purpose, utiliz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tems for school-community networking were selected, and then an evaluation indicator was developed. The processes of th 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ion items we 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a CIPP evaluation model checklist. Second, the first item-analysis was analyzed by the academic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hird, the second item-ana lysis was analyzed by the field specialists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Fourth, a temporary evaluation criteria and items were set by the first item-analysis and the second item- analysis. Then, a preliminary test and the second test was conducted by 437 members(principals, educational welfare specialists, teachers , students, and parents) from 33 schools in nationwide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context evaluation, 13 items were selected and calculate d into the performance score of this step; in input evaluation , 20items; in process evaluation, 15 items; in product evaluation, 13 items. 본 연구는 교육복지 활동과 관련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협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협력 수행을 파악 할 수 있는 도구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4 단계(맥락, 투입, 과정 , 결과) 영역별 평가지표 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의 지역사회 연계 협력 활동에 대한 연구와 분석에 기초하여 평가항목을 수집하고, 두 차례의 전문가 평가를 통해 평가영역 및 문항을 설정하였다. 33개교에 소속된 4 37명(학교장, 교육복 지 담당자, 교사,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통하여 맥락(C) 단계에서는 13 문항, 투입(I ) 단계에서는 20문항, 과정 (P) 단계에서는 15문항, 결과 (P) 단계에서는 13문항이 선택되어 단계별 연계협력 수행평가 지수 산출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단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복지 관련 연계협력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단계별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단위학교가 처한 환경을 고려한 효과적인 지원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등학생의 인지조절전략과 학업 효능감의 관계

        오춘식(Chun-Sik Oh),이전이(Jeon-Y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인지조절전략이 학생의 학업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학생의 가정배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2013 코호트의 1차, 3차, 5차, 7차 자료를 사용했다. 자료의 선별은 인지조절전략이 설문에 포함되었는지 여부(2차, 3차, 5차, 7차), 중학교 이후 시점 여부(3차, 5차, 7차), 그리고 부모의 인구학적 배경 설문 포함 여부(1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분석은 학생이 반복 측정된 패널 자료 구조를 고려하여 이원고정효과 모형(two-way fixed effect model)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측되지 않는 학생별 이질성과 함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생들이 공통으로 공유하는 특정 시점 고유의 특성을 통제할 수 있었다. 결과 학생을 중심으로 총 3시점의 종단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취약계층 학생들은 학업 효능감과 인지조절전략 모두 비취약계층 학생들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원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한 분석 결과, 인지조절전략 증가는 학업 효능감 변화에 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취약계층 학생 대비 취약계층 학생은 인지조절전략의 증가로 인한 학업 효능감 변화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 효능감 차이를 완화될 수 있다는 증거를 확인하였으며,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인지조절전략 교육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how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onsidering variations in family background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1st, 3rd, 5th, and 7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cohort were used, selecting data based on the inclusion of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surveys (2nd, 3rd, 5th, 7th waves), post-middle school time points (3rd, 5th, 7th waves), and parental demographic background surveys (1st wave). Results Analyzing three time points of longitudinal data, vulnerable students showed lower academic self-efficacy and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compared to non-vulnerable students. Using a two-way fixed effects model, an increase in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ad a static effect on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ith a greater impact observed among vulnerabl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evidence that socioeconomic-based disparities i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an be mitigated. The need for additional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education for vulnerable students is emphasized.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초·중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종민(Chong Min Kim),현주(Hyunjoo Lee),이전이(Jeon-Yi Lee),강호(Kang Ho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하 교복우사업) 학교에 소속된 초·중학생의 자존감 및 학교생활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문제는 교복우사업 학교에 재학 중인 초․중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정책중점연구소의「교육복지성과 패널모형 구축 연구」2개년 자료인 초등학생 464명(49개교)과 중학생 427명(45개교) 자료를 활용하여 3수준 다층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중학생의 자존감 변화에 학생수준 변수인 교우관계, 학교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교생활 규칙 준수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학교수준 변수인 교사-교육복지사 간 협력은 중학생의 자존감 변화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초·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변화에 학생수준 변수인 교우관계와 학교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학교수준 변수인 교사-교육복지사 간 협력과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생 관계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변화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에 교육취약계층 학생들의 정의적 발달을 촉진하는 교복우사업과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s are which factors affect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464 elementary school students(49 schools) and 427 middle school students(45 schools) using 3-level multilevel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students’ level variables such as friendship, recognition of school, and compliance with school life rules were positive factors affecting change of self-estee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welfare teachers as a schools’ level variable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of self-esteem of onl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students’ level variables such as friendship and recognition of school were positive factors affecting chang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welfare teachers a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 perceived by teachers as schools’ level variables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only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and research that promote the affective development of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 KCI등재

        학교장의 교사전문성 향상 촉진 행위의 효과에 대한 비교문화적 재조명: 권력거리와 개인주의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함승환(Seung-Hwan Ham),최경준(Kyoung-Jun Choi),한재범(Jae-Bum Han),곽현주(Hyunju Kwak),이전이(Lee Jeon-Yi),최민선(Min-Seon Choi),최연뢰(Yanlei Cui)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학교장의 교수지도성 효과가 국가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일 가 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하나의 탐색적 시도로서, 학교장 교수지도성 행위의 핵심 항목인 교수전문성 향상 촉진 행위가 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Hofstede의 문화차원 국제비교 데이터와 OECD의 교수학습 국제조 사(TALIS) 데이터를 결합하여 21개국에 걸친 방대한 자료를 구성한 뒤 위계선형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의 교수전문성 향상 촉진 행위가 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 간 편차를 보였으며, 이러한 편차는 상당한 정도로 각국의 문화적 권력거리 및 문화적 개인주의 수준과 같은 사회의 문화적 맥락의 함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영미문화권 기반 지도성 이론의 외현을 건설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보다 종합적인 관 점의 정교화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principal leadership effectiveness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national cultural contexts across countries. As an exploratory endeavor in this direction, this study focused on principals' behavior to inform teachers about possibilities for updat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 a central aspect of instructional leadership. Special analytic attention was given to how the same behavior of principals would yield varying effects on teacher efficacy depending on national cultural contexts. Data for the study were prepared by linking Hofstede's cultural comparison data to OECD'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data. As a result, multi-level data for 21 countries were analyzed based on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iderable variation existed between countries in terms of principal leadership effectiveness. Further, a large part of such variation was systematically explained by cultural variables – power distance and individualis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quest for cross-cultural comparative analyses of educational leadership as they can provide useful insight into how to expand and enrich our perspectives on leadership and its effectiveness in schoo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