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타닌산-전이 금속-고분자로 구성된 젤의 단일 단계 합성과 점착제로의 이용

        이재홍,이경문,최시영,Lee, Jaehong,Lee, Kyoungmun,Choi, Siyoung Q. 한국화학공학회 202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8 No.2

        이 연구에서는 작은 유기 분자 말단의 하이드록실기와 전이 금속 사이의 배위 결합을 통해 고분자와 유사하게 연결된 복합체를 제작하고, 점착 부여제를 추가하여 해당 물질의 점착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점착제 합성에 사용한 타닌산(tannic acid, TA)은 하이드록실기를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어 전이 금속과는 배위 결합이 가능하고 친수성 고분자와는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위의 성질을 이용하여 타닌산과 전이 금속, 고분자 세 가지 성분을 한 번에 간단히 섞어 기판에 잘 펴지며 점착 능력을 보유한 특별한 유변 물성을 가지는 물질을 제작하였다. 합성에 사용한 전이 금속의 종류(Fe<sup>3+</sup>, Ti<sup>4+</sup>), 고분자의 종류, 처리 조건 등에 따른 유변 물성의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점착제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성분의 조합을 발견하였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높은 응집력과 접착력을 보유한 다목적 점착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synthesis of a hydrogel consisted of a coordination bond network between small organic molecules and transition metals had been carried out. By adding a tackifying material to the gel, the potential of the gel to be used as an adhesive material had been also confirmed. Synthesis of the adhesive had been done with simple mixing of 3 components: tannic acid, transition metal, and polymer. The tannic acid molecule possesses multiple hydroxyl groups that can form coordination bonds with the transition metals and hydrogen bonds with the hydrophilic polymers. Due to the morphology of the metal-organic complex and polymer dispersed in water, the fabricated material exhibited high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Optimizing the rheological property had been conducted for use in adhesive by the synthesis with varying the transition metal (Fe<sup>3+</sup>, Ti<sup>4+</sup>), polymer, and treatment conditions. Rheological measurement results demonstrate the promising potential of the material as a bio-compatible and versati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both high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 Metallurgical Failure Analysis on a Suspension Clamp in 154kV Electric Power Transmission Tower

        이재홍,정남근,Lee, Jaehong,Jung, Nam-gun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21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7 No.2

        Failure of a suspension clamp made of hot dip galvanized cast iron in 154kV transmission tower was investigated. Metallurgical analysis of a crack of the clamp was performed using a digital microscope,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t was revealed that the crack surface was covered by continuous zinc layer. Distinctive casting skin was found underneath both the outer surface and crack surface. The result showed that pre-existing crack had been formed in the fabrication, and liquid metal embrittlement during hot dip galvanization may assist crack propagation.

      • 154kV 송전선로 관형지지물 플랜지 볼트 균열 분석기술 현장적용

        이재홍,Lee, Jaehong 한국전력공사 2021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7 No.1

        관형지지물은 단일 강관 기둥 형태의 송전탑으로 강관은 상하 여러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플랜지부에서 볼트로 체결된다. 신설 송전선로 관형지지물 플랜지 연결부에서 가압전 조립 볼트 절손이 발견됨에 따라 강관도괴방지 대책 수립을 위한 손상원인분석 기술지원을 수행하였다. 본 건에 대해 파손면·균열 분석 기술을 통해 제작과정 상의 문제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

        이재홍 ( Jaehong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을 통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고통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 이를 분석하여 추후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자는 2022년 5월 2일부터 6월 27일까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1∼2회 반 구조화된 대화를 실시하였고, 대화내용은 Parse의 인간되어감 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활 고통 체험은 임상실습의 중단과 실습과목의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고, 국가시험 준비 제한과 재학생과의 교류 감소에 따른 소속감 저하로 고통 받지만 재다짐과 기대감을 가지며 활력 있는 학교생활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결론 및 제언: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이 코로나19로 고통을 겪지 않도록 다양한 접근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countermeasures by applying Parse’s research method of becoming human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The researcher conducted semi-structured conversations 1-2 with the study participants from May 2 to June 27, 2022, and the conversation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Parse’s theory of becoming huma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experience the pain of college life due to COVID-19, experiencing interrup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online classes for practical subjects, and suffering from a decrease in sense of belonging due to restrictions on preparation for national exams and reduced exchanges with current students. It is the process of finding an active and active school life. It is believed that various approaches and support are needed to prevent occupational therapy majoring students from suffering from COVID-19.

      • KCI등재

        과잉투자가 애널리스트 커버리지에 미치는 영향

        이재홍(Jaehong Lee),조정은(Jungeun Cho),고재민(Jaimin Goh) 한국증권학회 2015 한국증권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 하락을 가져오는 기업의 과잉투자가 애널리스트 커버리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전망이론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익보다는 손실에 비대칭적으로 크게 반응하므로, 기업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과잉투자 기업에 대한 애널리스트 서비스 수요가 커질것이다. 한편 애널리스트는 해당 기업을 분석할 때 감수해야 할 비용과 위험의 부담으로 오히려 정보공급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과잉투자로 인한 애널리스트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과잉투자 기업의 애널리스트 커버리지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수도 있다. 분석 결과, 과잉투자 수준이 높아질수록 애널리스트 커버리지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실회피 성향이 큰 투자자들이 과잉투자 기업의 성과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여 정보수요를 늘리지만, 애널리스트는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공급을 줄이려 하고, 이러한 힘이 더 크기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다음으로 과잉투자로 인해 차기 성과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애널리스트 커버리지는 더욱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잉투자로 인한 부정적 효과의 실현 가능성이 더욱 커질 때 손실회피 성향이 큰 투자자들이 애널리스트 서비스를 보다 많이 요구하지만 정보 공급을 꺼리는 애널리스트의 공급측면의 힘이 더욱 커지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과잉투자기업과 애널리스트 커버리지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전망이론의 관점에서 손실회피 성향이 큰 투자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애널리스트 서비스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추가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overinvestment which triggers poor operating performance impacts analyst coverage. According to Prospect Theory, investors are more sensitive to losses than to profits because they perceive the disutility from having losses more than the utility from having profits. Thus, investors would increase their demand for analysts’ forecast information of firms with overinvestment because it may lead to decrease in firm value. On the other hand, analysts would be reluctant to provide information for firms with overinvestment because those firms are more likely to incur high costs of gathering private information and to trigger information risk. In this case, analysts a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coverage. Based on these reasoning, we hypothesize that the relative magnitude of demand and supply for analysts services resulting from overinvestment will either increase or decrease analyst coverage for firms with overinvestment. First, we find that overinvestment significantly decreases analyst coverage. This implies that while investors who are more sensitive to losses than to profits increase demand for forecast information of firms with overinvestment, analysts are reluctant to release their forecast information. Second, we find that analyst coverage i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overinvestment actually decreases future firm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firms’ future operating performance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overinvestment, investors increase their demand for analysts forecast information. However, the magnitude of supply side of analysts to avoid releasing forecast information is greater. This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 of overinvestment on analyst coverage by examining the supply side of analysts as well as demand side of investors. Further, this paper performed more in-depth study by analyzing how overinvestment affects analyst coverage when losses are more likely to be realized.

      • KCI등재

        헌법 제37조 제2항에 규정된 ‘자유와 권리의 제한’의 해석론 - 인과관계, 기본권상대방, 그리고 착시제한 -

        이재홍(Jaehong Lee)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2-1

        이 논문은 기본권 제한의 위헌 여부를 판단하는 심사기준인 헌법 제37조 제2항의 문언 중 특히 ‘제한’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제한’의 의미를 명확히 하려면 헌법상 기본권 규정의 해석을 통해 도출되는 기본권의 보호영역과 별개로, 기본권을 실제로 실현할 수 있는 영역을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이를 ‘기본권의 실현영역’으로 개념화한다. 심판대상조항이 기본권을 제한한다는 의미는 심판대상조항이 없는 경우 기본권의 실현영역과 심판대상조항이 있는 경우 기본권의 실현영역을 비교할 때 심판대상조항이 있는 경우의 기본권의 실현영역의 크기가 더 작아지는 경우를 지칭한다. 이와 같은 ‘제한’ 개념은 ‘기본권의 실현영역 축소’ 및 ‘심판대상조항과 기본권 실현영역 축소 사이의 인과관계’를 핵심 요소로 한다. 기본권 실현영역의 축소를 초래하는 심판대상조항은 ‘기본권 제한법률’로, 그렇지 않은 심판대상조항은 ‘기본권 비제한법률’로 개념화할 수 있다. 법률은 대립하는 이익들을 조정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어떠한 법률의 구체적인 기본권 제한 효과는 수범자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헌법소원심판에서 헌법 제37조 제2항을 적용하려면 심판대상조항이 그 청구인에게 기본권 제한의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청구인이 심판대상조항에 의한 기본권 제한 효과를 받는다면, 그러한 청구인을 ‘기본권상대방’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청구인이 평등권 이외의 어떠한 실체적 기본권에 관하여 기본권상대방이 아닌 경우에도 청구인은 다른 사람과의 비교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 그 실체적 기본권이 제한된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평등권 제한에 불과하고 평등권 이외의 실체적 기본권 제한은 아니므로, 이러한 경우를 ‘기본권의 착시제한’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헌법 제37조 제2항에 규정된 ‘자유와 권리의 제한’ 개념을 세밀하게 해석함으로써, 언제 헌법 제37조 제2항을 적용하여야 하는지를 분명히 할 수 있고, 부진정입법부작위 대신 입법작위를 심판대상조항으로 잡음으로써 불필요한 헌법불합치 결정을 억제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limitation” in the text of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which serves as the standard of proportionality review.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limitation’,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realm of realiz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RRFR)’. The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has two elements: (1) the reduction of RRFR after the enactment of the impugned statute, (2) the causality between the reduction of RRFR and the enactment of the impugned statute. If an impugned statute meets these two elements, it can be conceptualized as a ‘limiting statute’. As statutes are the results of compromises among conflicting interests, the specific effect of a statute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In order to apply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in a particular individual complaint, the impugned statute must put limitations on the plaintiff’s fundamental rights. If a plaintiff is confirmed to be affected by the limiting statute, the plaintiff is the limited party of the impugned statute. Even if a plaintiff is not a limited party, the plaintiff may feel that his or her substantive fundamental rights are limited due to the relative difference with others. However, this is not a limitation of substantive fundamental rights but only a limitation on equality. As the limitation of a substantive fundamental right is not real in this case, the limitation can be described as an ‘illusory limitation’. Thus, by carefully interpreting the concept of ‘limitation of freedom and rights’ stipulated in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when to apply Article 37 (2), and to prevent unnecessary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decisions.

      • KCI등재

        과잉금지원칙의 논증구조

        이재홍(Jaehong Lee)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3

        이 논문은 침해의 최소성 원칙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과잉금지원칙 전체의 논증구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침해의 최소성 원칙 판단은 ① 입법대안이 존재하는지, ② 입법대안이 입법목적 달성을 위해 심판대상조항 보다 더 많은 대가를 치를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지, ③ 입법대안이 심판대상조항만큼 입법목적을 달성하는지, ④ 입법대안이 심판대상조항보다 기본권을 더 적게 제한하는지의 4단계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침해의 최소성 원칙은 입법대안을 입법목적 달성의 측면과 기본권 제한 정도의 측면에서 심판대상조항과 두 차례 비교함으로써, 당해 입법대안이 심판대상조항을 위헌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인지를 검증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심판대상조항에 의한 구체적인 기본권 제한 정도가 심판대상조항이 추구하는 입법목적의 중요성에 비추어 헌법상 정당화되는지를 검증하는 내용의 법익의 균형성 원칙과 비교의 대상, 방법, 횟수에 있어 분명하게 구별된다. 과잉금지원칙이란 기본권 제한이 과잉한지 여부를 가리는 것이므로 과잉금지심사의 논증의 중심은 법익의 균형성 원칙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 헌법재판소의 주류적 선례는 침해의 최소성 원칙 부분에 대부분의 논증을 집중하는 독특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우리의 주류적 선례는 침해의 최소성 부분에서 침해의 최소성 원칙의 고유한 논증내용과 법익의 균형성 원칙의 고유한 논증내용을 함께 판단한다. 그 결과 법익의 균형성 원칙 부분은 실질적인 내용이 없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침해의 최소성 원칙의 내용을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의 것인지를 심사하는 것’으로 변형하거나, 아무런 입법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침해의 최소성 원칙을 논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논증방식은 침해의 최소성 원칙도 법익의 균형성 원칙도 제대로 논증할 수 없게 만들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심판대상조항을 위헌으로 만들 수 없는 입법대안을 근거로 위헌의 결론을 도출할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침해의 최소성 원칙과 법익의 균형성 원칙의 고유한 논증내용을 명확히 구별하고 각각을 충실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할 경우 침해의 최소성 원칙은 비교적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심사척도가 된다. 이에 더하여 침해의 최소성 원칙의 심사강도를 완화하거나 강화함으로써 사안의 특성에 맞는 탄력적 사안해결도 이룰 수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clarify the exact meaning of the third component of the proportionality test, minimal impairment. Minimal impairment is composed of four step analysis; ① whether there is an alternative, ② whether the alternative consumes more resources to achieve legislative purpose than the statute in question does, ③ whether the alternative achieves as much legislative purpose as the statute being reviewed, ④ whether the alternative limits less constitutional rights than the statute in question. Minimal impairment investigates whether an alternative can render the statute unconstitutional by comparing it to the statute in terms of legislative purpose and limita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forth step of the proportionality test,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balancing) compares the specific degree of limit on constitutional rights and the importance of legislative purpose. The minimal impairment and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are totally different as of the object, number and manner of comparison. As the proportionality test aims to determine whether the limitation on the constitutional right is excessive,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needs to be the heart and soul of the proportionality test. However, most of decisions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CCK) have focused on minimal impairment instead of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This is because CCK conducts a minimal impairment test and a balancing test altogether under the name of minimal impairment. This tendency leads to the arbitrary transformation of the minimal impairment test, the void of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and even to not mentioning any alternative in the course of the long analysis of the minimal impairment test. This confusion of minimal impairment with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ushers in the danger of misjudgement of unconstitutionality.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tep of proportionality test is highly important. Though we draw a strict and clear line between minimal impairment and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the proportionality test can still keep its flexibility to solve various kinds of cases, because the stringency of the minimal test can be weaken and proportionality stricto sensu can hold value oriented arg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