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미션적합도와 미션달성도 지표의 정의

        이재근 한국경영과학회 2009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다양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합적이며 전주기적으로 관리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해당 사업들의 존재근거이자 목적이다. 따라서 이재근(2009)의 연구에서 도출한 미션구성체를 활용하여, 향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략적 사업포트폴리오모형의 프레임워크로서의 미션적합도와 미션달성도를 정의함으로서 사업의 최초 기획시의 위치와 현재 위치를 비교함으로서 사업관리에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를 위한균형성과표 설계에 대한 연구

        이재근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06 정부학연구 Vol.12 No.1

        국내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1980년대 산업화과정에서 쏟아지는 다양한 기술수요에 따라 복잡하게 분화 혹은 진화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이들 복잡・다기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최근의 성과주의 예산제도와 맞물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향상을 위한 관리체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현재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결과평가 위주의 사업관리체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시간 성과측정을 통한 전략적 성과관리체계의 도입을 위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Kaplan and Norton(1992)이 제시한 균형성과표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기존 균형성과표모형은 영속성을 전제로 하는 조직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한시적인 성격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맥락으로 논리적 변환과정을 거쳐야 한다. 결과적으로 도출된 국가연구개발사업 균형성과표모형은 사업산출물, 연구팀, 사업관리 프로세스, 기반구조 등의 관점으로 구성되며, 각 관점들에 대한 대표적인 측정지표들을 예시하였다. Since 1980s, the technological demand poured in Korean industrialization made the government increase abruptly the number and budget size of National R&D Programs. It inevitably resulted in the complex structure within them. However, there is little literature on the systematic approach to strategic management of the performance from these programs. Recent discussion on the performance-based budgeting regime accelerates introduction of the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eyond current result-based evaluation. This study utilizes the Balanced Scorecard approach by Kaplan and Norton (1992), as an exploratory attempt to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 As the original balanced scorecard model can be applied to a permanent organization, it is critical to design a new model specification for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D Programs that sustain temporal period.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four perspectives: program output, research teams, program management processes, and infrastructure. In addition, representative performance measures for all the perspectives are defined and explained.

      • 미션구성체를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모형에 대한 연구

        이재근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본 연구에서는 복잡다기한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전주기적 관리시스템을 제시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미션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현재 기업조직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미션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미션구성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션적합도와 미션달성도라는 지표를 정의하여 이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포트폴리오관리모형의 기초적인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Pseudonormal or Restrictive Filling Pattern of Left Ventricle Predicts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Presenting as Acute Heart Failure

        이재근,범종욱,최준혁,김송이,김기석,주승재 한국심초음파학회 2018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26 No.4

        BACKGROUND: In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AHF), diastolic dysfunction, especially pseudonormal (PN) or restrictive filling pattern (RFP) of left ventricle (LV), is considered to be implicated in a poor prognosis. However, prognostic significance of diastol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IHD) has been rarely investigated in Korea. METHODS: We enrolled 138 patients with IHD presenting as AHF and sinus rhythm during echocardiographic study. Diastolic dysfunction of LV was graded as ≥ 2 (group 1) or 1 (group 2) according to usual algorithm using E/A ratio and deceleration time of mitral inflow, E′/A′ ratio of tissue Doppler echocardiography and left atrial size. RESULTS: Patients in group 1 showed higher 2-year mortality rate (36.2% ± 6.7%) than those in group 2 (13.6% ± 4.5%; p = 0.008). Two-year mortality rate of patient with LV ejection fraction (LVEF) < 40% (26.8% ± 6.0%)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with LVEF 40%–49% (28.0% ± 8.0%) or ≥ 50% (13.7% ± 7.4%; p = 0.442). On univariate analysis, PN or RFP of LV, higher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and higher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functional class were poor prognostic factors, but LVEF or older age ≥ 75 years did not predict 2-year mortality. On multivariate analysis, PN or RFP of LV (hazard ratio [HR], 2.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9–5.84; p = 0.031), higher stage of CKD (HR, 1.57; 95% CI, 1.14–2.17; p = 0.006) and higher NYHA functional class (HR, 1.81; 95% CI, 1.11–2.94;p = 0.017) were stil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2-year mortality. CONCLUSIONS: PN or RFP of LV was a more useful prognostic factor for long-term mortality than LVEF in patients with IHD presenting as AHF.

      • KCI등재

        일반논문 : 국가정보화사업의 전주기적 관리를 위한 미션구성체 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재근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5 정부학연구 Vol.21 No.3

        본 논문은 국가정보화사업의 전주기적(life-cycle) 과정을 합목적적이며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사업의 타당성과 중복성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서 미션(mission)개념을 구체화하고 구조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션이란 공공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함에 있어 근본적인 존재근거로서 의미를 가지지만, 아직까지 개념이 모호하고, 구체적이지 못하여 그 역할이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문헌의 고찰을 통해서 이제까지 조직단위, 특히 기업차원에서 연구되어온 미션을 정부의 재정사업단위로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 이를 통해 국가정보화사업 맥락에 적합한 미션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도출한 미션구성체는 사업목적, 사업철학, 사업정의, 그리고 사업목표 등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며, 각 차원별로 복수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된다. 도출된 미션구성체의 경험적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정된 다섯 개의 전자정부지원사업에 대한 내용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활용방안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실패경험이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이재근,허문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3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실패경험이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개발, 지식탐색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실패의 원인을 규명 하거나, 감소요건에 대한 고찰위주로 연구하였으나, 실패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10년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실패가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혁신활동이 급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실패경험은 탐험적 혁신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재무적 여유자본의 크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실패경험은 지식탐색 측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탐험적 혁신활동과 지식탐색범위의 상호작용은 급진적 혁신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패를 부정적 견해로 바라보던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학습과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여 경험적 증거를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failure experience of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ies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corpor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R&D and knowledge search. Previous studies have defined the cause of the failure or studied the reasons for the decline. However, studies analyzing the influence of failure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corporations are rare. This study set a research period of 10 years for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to conduct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influence of failure on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influence of innovation activities on radical innovation.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failure of corporations induce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extent differs greatly from the size of financial slack resource. Secondly, experiences of corporations’ failure were not significant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search. Third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rporation’s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and knowledge search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rad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empirical evidence by verify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failure to learning and innovation unlike previous researches viewing failure negativel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lasma Air Cleaning Systems for Removing Yellow Sand Dust

        이재근,강태욱,안영철,황유진,Ju-Ho Ock,Seong-Chan Kim,Hyung-Soo Noh,Chang-Gun Lee,Kam-Gyu Lee 한국화학공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21 No.1

        Yellow sand dust (Asian dust storms) causes harmful damage indoors and outdoors during the springtime, and the removal of Yellow sand dust has become an issue for suitable indoor conditions. An air cleaner is required to remove Yellow sand dust efficiently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Yellow sand dust should be studied. The size distribution and mass concentration of Yellow sand dust observed in China and Korea are analyz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a plasma air cleaning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electrostatic precipitation is evaluated by using Yellow sand dust. Mass median diameter of Yellow sand dust sampled in Beijing and Seoul ranges from 7.0 to 8.0 mm with a mass concentration of 300-1,462 mg/m3. For a single-pass test, the efficiency of dust removal increases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and decreasing flow r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Yellow sand dust in a plasma air cleaning system at a face velocity of 1.0 m/s is higher than 80%. For a multi-pass test in occupied spaces, the operation time required to reduce Yellow sand dust concentration from an initial concentration of 300 mg/m3 to 150 mg/m3 is 10 minutes for a test room of 27 m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