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장권력과 교육: 대기업의 교육사업 진출사례분석을 통한 이해관계의 탐색적 분석

        이장익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

        권력으로서 시장의 개념은 19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논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시장의 권력화 과정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정치질서의 등장은 정부의 실패현상에 근거한 국가권력의 축소 혹은 탈규제, 노동유연화 등으로 구체화되는 현상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시장논리가 권력으로서 나타나는 사례는 전통적으로 공공정부의 역할로 규정되었던사회인프라 산업의 민영화 추세 등 다양한 사회적 제도의 사사화(Privatization)로 논의(지주형, 2011; 이왕휘, 2006)되어 왔다. 철도와 통신 사업 등에서 시작되어 국방의 영역까지 포괄하는 시장의 권력화 추세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해체 이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 교육인적자원개발 연구추진체제의 진단과 과제(학술대회지)

        이장익 한국교육정치학회 2005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

        인적자원개발(Hum an R esou rces Deve lopm ent)의 개념은 두 가지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첫 째, 인적자원개발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경쟁력을 설명하는 핵심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화와 정보화의 거시적 환경 변화의 맥락에서 고품질의 학습능력과 유연한 변화와 혁 신능력은 개인에서 국가 차원에 이르는 차별화 즉, 경쟁력의 결정 요인으로 넓은 공감대를 형성 하고 있다. 둘째,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은 인적자원의 형성, 공급에서 관리와 활용에 이르는 총체 적 현상으로서 내용적 복합성과 함께 대상 범위의 거대성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적자원 개발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혼란성과 정체성에 있어서 모호성이 높다(McLean and McLean, 2001).

      • KCI등재

        교장의 리더십 행동유형과 교사의 조직시민행동 수준간 관계성에 대한 실증연구

        이장익,김화진,김민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2

        조직시민행동(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이란 공식적 역할 외 행동의 관점에서 명시적, 직접적으로 공식적 보상을 받지 않으면서도 조직의 기능을 총체적으로 촉진하는 개인의 자발적, 자유재량적 행동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OCB 수준과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유형간의 관계구조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있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초중등학교 교원 789명과 학교장 417명을 대상으로 OCB와 리더십 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원의 OCB 요소별 인식도와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리더십 유형의 차이가 교원OCB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한 분석 결과 OCB 요소 중 2개에서 리더십 유형차이가 의미있음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학교장이 인식한 리더십 행동과 교원의 OCB인식도 간에도 관계지향적 차원과 과업지향적 차원 모두에서 교원의 OCB 요소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원의 OCB 수준은 학교리더십 변수와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NURI)사업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연구

        이장익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on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project. The NURI project is a strategic alternative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y investing into regional universities. This project will continue into 2008 and at the end of project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gional universities' innovative competitiveness and thus increase the regional capacity.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with 1,305 randomly selected samples.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urvey instrument was .8531 overall. The survey results showed high overall satisfaction on NURI project. However, data suggests that the opinions on the effect of NURI investment o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re less clear than the effect on each NURI funded regional universities. Also, the participating students and facul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participating industries sector. Based on survey data analysis, some recommendations for NURI project management were proposed as follows: strengthen industry-campus partnership, increase diversity in project management, balance support and control on fundings, need to increase promotion and public relations for better public understanding and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사업(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의 정책적 적실성(relevance)의 확보와 향후 사업추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고객만족도의 개념을 활용한 누리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결과 가장 특징적인 것은 누리사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등에서 산업체의 평가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누리사업 전반에 대한 산업체의 만족도는 3.28점(5점 만점)으로 학생(3.54점)과 교수(3.44점)에 비해 낮았다. 그리고 소속된 누리사업단의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하여 소속 사업단에 대한 각종 평가에서도 전 영역에 걸쳐 교수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누리사업단 소속 대학 교수와 산업체 임직원간에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에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표로 보면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수집단은 92.2의 높은 동의 의견을 보인 반면 산업체 임직원은 84.6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 조사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누리사업 추진방안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동 및 산업정책과의 연계, 사업단과 관련 산업체 및 지방단체와의 파트너십 구축, 사업단 교수의 산업체 지원 동기 유발을 위한 인센티브방안 수립, 대학 중심의 사업 추진에서 산업체의 적극적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단 운영참여제도 강화 등 대학과 지역산업체와의 연계강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참여자 혹은 참여기관의 특성에 따라 사업에 대한 인지도, 만족도, 성과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이 이번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업단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사업추진의 유연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누리사업의 추진에 있어서 정부는 ‘관리’와 ‘지원’의 적절한 균형을 중요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누리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을 조사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결과 누리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누리사업에 대한 홍보와 인지도 향상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정책 집행과정의 미시적 분석연구: 교장공모제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이장익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敎育政治學硏究 Vol.19 No.1

        The Ministry of Education decides and declares numerous national educational policy such as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This study examined the open recruitment policy as a case for understanding how an educational policy is being implemented. Focusing 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based on street-level bureaucracy and policy compliance theory,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s. Researcher selected 5 key policy implementation interviewees at provincial educational district and conducted 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between November 2010 and December 2011. The interview note was cross-examined and triangulated by a team of experts and retired principals conforming to case study protocol. The study results show worrisome pictures; first, street-level bureaucrats experience alienation and powerlessness in implementing process; second, they show limited understading and limited belief in open recruitment policy; third, the study showed that the policy compliance pattern is mostly 'token compliance'; fourth, as a street-level bureaucrats, they experience more of restrictions than discretionary activities. This study illustrated the gap between policy decis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and recommended action plans to bridge the gap. 이 연구는 교육정책을 집행하는 일선관료가 교장공모제 정책집행과정을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으며 그러한 개별적 경험이 정책의도와 목표의 구현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교육정책의 집행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미시적 분석의 이론적 모형으로는 일선관료제(street-level bureaucracy)개념과 정책순응개념을 활용하였다. 사례연구의 절차는2010년 11월에서 2011년 12월까지 광역교육청에서 교장공모제를 집행한 일선관료 5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자료를 관련 전문가와 다각화 분석(triangulation)하여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장공모제라는 교육정책을 집행하는 일선관료는 정책과정에 대한 소외와 무력감, 정책내용에 대한 제한적 이해, 정책내용에 대한 제한적 공감대, 정책집행과정에 대한 형식적 순응, 그리고 정책집행에 있어서 재량권보다는 제약성과 같은 일선관료의 반응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장공모제 사례분석을 통한 교육정책 집행과정의 미시적 연구결과는 향후 교육개혁 정책의 추진과정에 있어서 일선관료와 정책의 집행과정이 중요한 연결고리임을 다시 확인하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평생직업교육관련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정보시스템 연구

        이장익 한국직업교육학회 2002 職業 敎育 硏究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decision support system(DSS) for policy-makers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LVE) and to propose a technical solutions for such a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showed that policy decision-making in the field of LVE do need reliable and efficient DSS. However, the concept of LVE comprises wide variety of data sources that makes it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construct DSS.This study summariz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SS for LVE as follows: first, the location of and the need for data are quite varied. Second, decision-makers and other users of DSS should have high-quality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and time-dependent data. Based on this assumption and to provide high quality DSS environments, Data Warehouse techniques are proposed as solutions to forestated problems.Data Warehouse is based on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MDBMS)and connected with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and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echnique(Data-mining), can provide subject-oriented, and user-oriented integrated DSS platform. To accomodate policy-makers and other users in the field of LVE, Data Warehousing is proposed as a viable solutions for a more reliable and effective information support system specifications.This study also examined a selected techniques utilizing the Data Warehouse such as decision tre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lso, analysis of Data Warehouse development process is provided.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in the field of LVE could be enhanced with proper design and operations of DSS with a number of recommendations such as systematic administrative support for DSS project, personnel support for DSS operations, and users'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ward DSS.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이장익,김주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their GPA which has been utilized as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essential skills were measured using K-CESA(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which is consisted of six different subareas such as ‘self-management ski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global skill’, ‘communication skill’,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technology skill’ and ‘comprehensive thinking skill’. Six hundred o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global skill and comprehensive thinking skill were found to be very low and relatively high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essential skill scores and GP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cluste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revealed 4 different types showing ‘cognitive function oriented group’,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self-management and relationship oriented group’, and ‘overall low-level skill group’. The difference of students’ GPA by the four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iven the results of analyses, the six essential skills are assessing a construct which is independent to GPA, and found to be more valid in terms of measuring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기존의 학업성취도 지표로 활용되어 온 평량평균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대학생의 핵심역량 개념은 기업의 업무수행에서 중요한 직업기초능력과 연계하여 고등교육의 교육성과지표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전통적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K-CESA)를 사용하였다.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자기관리 역량, 대인관계능력, 자원정보 및 기술의 활용능력, 글로벌 역량, 의사소통역량, 그리고 종합적 사고역량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4년제 종합대학교 재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핵심역량 점수를 보면 글로벌역량 점수는 매우 낮았고 종합적 사고역량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6개 핵심역량 요인점수들과 평량평균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가지 군집이 발견되었는데 ‘인지적 기능중심 그룹’, ‘전반적 우수 그룹’, ‘자기관리 및 관계중심 그룹’, 그리고 ‘전반적 저조 그룹’의 형태로 나타났다. 네 가지 군집에 따른 대학생들의 평량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핵심역량은 평량평균과는 독립되는 측정구인으로 대학생들의 성취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보다 타당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 정보기술 관리능력 강화를 위한 대학 Computer Center의 발전방향

        이장익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7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2 No.1

        Ever accelerating speed of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s are giving us two controversial consequences : the first is that innovation and improvement is being promised by limitless possibiliti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second is that people are confused and often sceptical about the realizations of those promises. This paper suggested the strengthening of managerial cap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regarding the multi-faceted issue of adopting and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the linking factor between the two controversial views on information technology. This paper thus summarize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models 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through data-processing era, information center era, and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era. Based on this analysis, a dual echelon model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structure in higher education is proposed. It is consisted of central units(Chief Information Officer, representative advisory committee, and functional departments) and departmental computer centers based on 'information center' concepts. A final assumption for the success of this strategic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model is discussed as of university constituents' serious and systematic inquiries and commitment of fundamental changes on everyday routine operations of a university.

      • 혁신과 변화 (Innovation and Change)의 관점에서 본 교육정보화의 의미

        이장익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8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정보화라는 활동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에 있다. 교육정보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매우 높은 상태이다. 그러나, 교육정보화에 투입되고 있는 막대한 예산과 자원 및 노력의 목표가 단순히 정보통신기술의 도입 및 설치에 한정되는 사례 또한 많다. 이는 곧 교육정보화에 대한 명확한 정의내림의 결여로 이해될 수 있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우선 정보화의 개념을 혁신 및 변화(innovation and change)의 촉매 흑은 매개체로 제시하고 정보화의 필요성을 경제/산업적 필요성과 문명 사적 변화의 핵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터하여 정보통신기술과 학교교육간의 관계성을 전략적 재구조화(strategic restructuring)으로 논의하였다. 이는 곧 교육정보화의 의미를 혁신과 변화의 한 노력으로 정의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된 혁신과 변화로서의 교육정보화의 실천과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우선 교육정보화는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학교교육의 구성원 모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며 여기서 우선시되는 작업은 vision의 모색이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과 정보통신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교육 vision을 참고로 제시하며 혁신과 변화라는 교육정보화의 의미를 재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ducational informationalization in Korea Currently, high expectations and interests are evidently focused toward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chool education. Enormous amount of financial and other resources have been and are being invested into school for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in many cases, the resources used are just ending up as a 'plug in' of hardware installment. This is a case in which a lack of clear definition of activities lead to in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Thus, this paper proposed the premises of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a catalyst and medium for innovation and change. Based on his perspective, the meaning between school and information technology is defined as strategic restructuring movement. This defini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school context means innovation and change. Thus it is argued that the priority action plan in educational informatonalization is to formulate a 'vision statement' by all major constituent members' voluntary participation. As a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d a possible new 'vision' for school innovation an change mediat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