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 가스센서의 저전력 구동을 위한 마이크로 플랫폼의 제작과 특성

        장웅진 ( Woong Jin Jang ),박광범 ( Kwang Bum Park ),김인호 ( In Ho Kim ),박순섭 ( Soon Sup Park ),박효덕 ( Hyo Derk Park ),이인규 ( In Kyu Lee ),박준식 ( Joon Shik Park ) 한국센서학회 2011 센서학회지 Vol.20 No.5

        A Micro platform for micro gas sensor consisted of micro heater, insulator, and sensing electrode on 2 μm thick SiNx membrane. Three types of micro platform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with membrane sizes. Total size of micro platform was 2.6 mm by 2.6 mm. Measured power consumptions were 28 mW, 28 mW, and 32.5 mW for Type 1, Type 2, and Type 3. At this moment, temperatures of membranes on the platforms were 295℃, 297℃, and 296℃, respectively. Fabricated micro platform considered appropriate to apply for low power consumption micro gas sensor. Micro gas sensors were prepared by the sequence that SnO2 nanopowder pastes were dropped on membrane of Type 1 platforms, dried in oven, heat-treated with micro heaters in platforms. One of the micro gas sensors was tested for gas response to 1157 ppm, 578 ppm, and 231 ppm of methane and 1.68 ppm, 0.84 ppm, and 0.42 ppm of NO2.

      • KCI등재

        신라 진흥왕 순수비의 漢城과 北漢山州 壯義寺의 창건

        이장웅(Lee, Jang-woong)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漢城’은 백제 도성의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신라에서도 진흥왕이 건립한 순수비인 「북한산비」와 「창녕비」에 ‘한성’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신라의 한성은 한강의 남쪽에 위치했던 백제의 수도 한성이 아니라, 한강의 북쪽에 설치한 북한산주를 뜻하는 명칭으로 파악된다. 신라의 북한산주(한성) 지역에는 백제와의 전투에서 전사한 장춘랑과 파랑을 위해 659년에 장의사라는 불교 사원이 창건된다. 장의사는 진흥왕이 세운 「북한산비」가 자리한 비봉 아래에 위치하면서, 신라 중고기에 왕경이 아닌 지역에 창건된 중요한 불교 사원이다. 따라서 필자는 장춘랑과 파랑이 순국한 전쟁을 신라가 백제로부터 한강 하류 지역을 빼앗은 진흥왕 14년(553) 무렵과 연결시켰다. 그렇다면 신라는 진흥왕이 백제 성왕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는 상징성을 가진 장소인 비봉 아래에 장의사라는 불교 사원을 세워, 태종 무열왕 시기에 삼국 통합 전쟁에서의 승리를 다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Hanseong” is widely known as the name of Baekje’s capital city. However, in Silla, “Hanseong” is recorded in Bukhansan Monument and Changnyeong Monument by King Jinheung. Silla’s Hanseong is not the capital of Baekje located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but is understood to mean Bukhansanju installed in the north of the Han River. In the Bukhansanju(Hanseong) area of Silla, a Buddhist temple called Jangui sa was founded in 659 for Jang-Chun-rang and Pa-rang, who were killed in the battle against Baekje. This area was important not only in the war between Silla and Baekje, but also in the war against Goguryeo during the Unified War of the Three Kingdoms. Therefore, Jangjangsa Temple was founded 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soldiers who died in this area, and can be seen as a Buddhist temple that wish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신라 娑蘇(仙桃聖母) 神話의 변화와 國家祭祀

        이장웅(Lee, Jang-woo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신라 상고기 始祖廟 제사 시기에는 여러 계통의 시조신화들이 발생하였는데, 특히 6촌장 天降 신화에 혁거세, 알영 신화가 연결된 모습의 건국신화가 중심이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신라는 辰韓의 6개 집단이 결집하여 왕을 共立하여 건국되었다는 사실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娑蘇는 여러 시조신화들 중의 한 주인공이면서 織羅와 관련된 신성성을 지닌 존재로, 牟梁지역에 위치한 西述(仙桃山)을 그 근거지로 하고 있었다. 그 신화의 내용은 儒理王代 6部 王女들이 麻布를 짜던 행위, 阿達羅王代 迎日縣 지방의 都祈野에서 細烏女가 짠 細綃를 天祭의 제물로 사용한 점으로 보아, 이와 비슷한 여성신화로 존재했을 것이다. 신라 상고기 말에는 始祖母 娑蘇가 初生했다는 혁거세 신화의 현장인 奈乙에 神宮이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지방 제사권을 통합하였다. 이에 따라 이전에 6촌장 天降 신화에 혁거세, 알영 신화가 연결되었던 모습의 건국신화가 娑蘇(仙桃聖母) 신화를 매개로 하여 始祖母가 始祖를 낳았다는 건국신화로 재편된 것으로 보았다. 이는 신라가 6부 연합 체제에 의한 국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이행된 면모가 반영된 것이다. 三祀(大 · 中 · 小祀)의 위에 있는 최고의 국가제사로 天地神을 모신 신궁 제사에서 사소는 혁거세, 알영과 함께 配位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사소의 거처인 仙桃山의 위상도 中祀 五岳 중 西岳의 위상을 가졌다. 하지만 중고기 말 眞平王代 이후로는 불교의 융성으로 인해 娑蘇(仙桃聖母)가 불교와 융화되어 佛殿을 만드는데 財力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그 위상이 점차 약화되기 시작한다. 신라 중대에는 중국식 宗廟制인 五廟制가 시행되면서 그 太祖로 少昊金天氏에서 연원한 金姓始祖인 星漢이 설정되어, 박혁거세 중심 건국신화의 위상이 약화되었다. 이에 따라 사소(선도성모)의 출자도 중국 帝室의 딸로 변형되었으며, 그 제사에서의 위상도 小祀에 속한 山神으로 약화되었다. 도교와 융화되는 모습도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文武王을 낳은 文明皇后 文姬의 오줌 설화가 일어난 배경으로 仙桃山이 등장하고, 경명왕 때에는 선도산 神母가 西岳大王에 책봉되며, 고려 왕실의 신화에도 오줌 설화 요소가 차용되는 등 그 신화적인 신성성은 후대에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다.

      • KCI등재

        扶餘 陵山里寺址 木簡을 통해 본 백제의 불교 의례

        이장웅(Lee, Jang-Woong)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본고는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의 다양한 목간을 통해, 이곳이 유교 · 불교 · 도교의 사상이 불교의 범주 내에서 융화된 의례가 행해졌던 복합적인 불교 사원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능산리사지 발굴을 통해 강당지 일대가 목탑과 금당보다 먼저 건립된 유교식 제례 건축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후 이곳이 불교 사원으로 변화되면서 불교와 함께 다양한 성격을 복합적으로 가지게 되었음을 살폈다. 필자는 이곳을 백제 사비기의 특징적인 제사인 五帝를 모시는 유교식 祭場이었다가, 위덕왕 시기인 567년에 妹兄公主가 목탑에 사리를 매납하면서 불교 사원으로 개편되었고, 이에 따라 불교와 유교의 성격이 융화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같은 위덕왕 시기인 577년에 왕이 직접 죽은 왕자를 위해 목탑을 건립한 왕흥사 지역도 능산리사지와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어, 서로 성격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목간을 대략 5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었다. 먼저 ‘天’銘 刻墨書木簡은 원래 오제 제사의 제장이 불교 사원으로 변화하면서 장승의 시원이 되는 성격을 지녔음을 살폈다. 이어 ‘三貴’, ‘六卩五方’, ‘再拜’ 목간을 통해서는 바로 옆의 능산리 고분군과 관련된 불교식 상장례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살폈다. 또한, 창고와 물품 관련 목간을 통한 신성한 불교 의례의 가능성과, 관등을 지닌 인물 목간 및 支藥兒食米記 목간을 통해 불교 의학과 관련된 불교식 주술 의례의 모습도 살폈다. 마지막으로 불교와 관련된 목간에 나타난 날짜를 통해 석가탄신일의 行像 의례와 열반일 중시 및 行香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Through the various wooden tablet of Baekje, which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This Temple Site examined that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deas were a complex Buddhist temple where rituals were held within the Buddhist category. In Chapter 2, the excavation of Neungsan-ri Temple Site revealed that the area of the lecture hall was built earlier than the wooden pagoda and the main building, and later, the temple was transformed into a Buddhist temple, which led to a combination of diverse characteristics with Buddhism. In this research, we could found that this place was a Confucian site dedicated to the characteristic ancestral rites of the Baekje Sabi period, but was reorganized into a Buddhist temple in 567 during the reign of King Witŏk(威德王) when the first princess(妹兄公主) buried Sari in a wooden pagoda, thereby harmo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particular, Wangheungsa Temple, which built a wooden pagoda for the prince died in 577 during the same period of King Witŏk(威德王)’s reign, had a similar structure to Neungsan-ri Temple Site, so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ther. In Chapter 3, through the wooden tablet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the wooden tablet which written in “天” shows that the temple was originally for the ancestral rites of Ohje(五帝), and it turned into a Buddhist temple, and it becoming the temple of Jangseung. And we coul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 Buddhist funeral related to the Neungsan-ri Ancient Tombs right next to them through the wooden tablet of “三貴”, “六卩五方” and “再拜.” It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acred Buddhist rites through the wooden tablets about warehouses and stuffs, and Buddhist shamanistic rites related to Buddhist medicine through the wooden tablet of figures with official rank and the wooden tablet of “支藥兒食米記”. Lastly, we examined the rites of Buddha’s Birthday, the importance of Nirvana, and incense-burning ritual Based on the Buddhist-related wooden tablet.

      • KCI등재

        백제 捧寶珠 菩薩像의 연원과 제사 의례

        이장웅(Lee, Jang-woo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6 No.-

        본고는 6~7세기 백제 지역 捧寶珠 菩薩像의 연원과 함께, 그것이 제사 의례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백제 봉보주 보살상의 연원에 대하여 기존에는 중국 남조 梁의 萬佛寺址 출토 6세기 群像들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梁 이전 南齊 시기의 5세기 불상에서도 교각 미륵상의 협시로 봉보주 보살이 나타나고 있음과, 북조 北周의 봉보주 보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백제 봉보주 보살상의 도상은 중국에서 연원하였지만, 群像의 하나로만 나타나고 있는 중국의 예와 달리 독존으로도 나타나는 등 나름의 독자적 체계를 갖춘 후 일본에 전파되었다. 백제와 그 영향을 받은 일본의 봉보주 보살상은 불교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민간신앙과 결합된 정치적 瑞像으로도 볼 수 있으며, 특히 용왕 신앙과 관련된 기우제나 진단구 등 제사 의례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파악하였다. In addition to the origin of the Bodhisattva statues with magic beads in the hands of the Baekje area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of ritual ceremonies. As for the origin of the Bodhisattva statues with magic beads in the hands of Baekje, it was previously noted that the ancestors excavated from Manbulsa Temple site of the Yang Dynasty of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However, the paper examined that there was a statue of Bodhisattva statues with magic beads in the hands next to the Maitreya Buddha, which crossed the legs of the Southern je Dynasty founded before the Yang Dynasty. We also looked at the Bodhisattva statue with magic beads in the hands made in the Northern Zhou dynasty of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The Bodhisattva statue, with magic beads in the hands of Baekje, originated in China, but was later introduced to Japan after establishing its own system. The Bodhisattva statue with magic beads in the hands of Baekje and its affected Japan can be seen not only as a Buddhist meaning but also as a a sacred statue combining folk belief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t may have been used for ritual purposes, such as rain ritual related to the faith of the Dragon King.

      • KCI등재

        한국 고대 새(鳥類) 관념의 변화

        이장웅(Lee, Jang-woo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1 No.-

        한국 고대의 신화와 제사 의례 속에서 새(조류)는 태양을 상징하기도 하고, 하늘과 땅을 매개하거나 조상신과 연결되며, 이승과 저승을 매개하는 장송 의례에 사용되거나, 穀靈神을 불러다 주는 매개체로 농경의례에 사용되면서 매우 신성시 되었다. 그동안에는 이처럼 신성성이 부각되어 나타나는 새에 대한 연구와 함께, 길흉의 징조로 瑞祥기록 속에 나타나는 새, 사냥과 관리 대상이면서 음식 재료로 나타나는 새 등에 대하여 각각 단편적으로 연구되었다. 본고는 이와 관련된 문헌자료들을 집성하고, 그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피면서 시기에 따른 새 관념의 차이가 있음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영남 지역에서 만들어진 鴨形土器와 호남 지역의 鳥形土器가 5・6세기에 들어서면서 쇠퇴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때까지 신화와 제사 의례 속에서 신성하게 여겨지던 새 관념이 변화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실제 문헌 기록상에서는 이 시기 이후에 흰 꿩이나 참새 등이 왕권을 뒷받침하는 신기한 서상물로 여겨지거나 길흉의 징조로 파악되면서 추상적인 신화 속 관념보다는 구체화된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점차 새가 신성한 의미보다는 신기한 동물로 인식되어 정원 등에서 관리되고, 사냥 대상이나 음식물로서의 의미가 강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In ancient Korean myths and rituals, birds were regarded as very sacred, symbolizing the sun, mediating heaven and earth, connecting with ancestral gods. So it was used in funerals to mediate the world and the next world, or used in farming rites as a medium for calling out gods of grain. In addition to the previous researches on birds that show such sanctity, the birds that appear in the records as a sign of good or bad, and the birds that appear as food materials as targets for hunting and management, respectively, have been studied partially. In this article wanted to collect relevant literature materials and examine the flow in a comprehensive way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in new ideas over time. Especially, noting that duck-shaped earthenware made in Yeongnam region and bird-shaped earthenware made in Honam region, had declined during the 5th and 6th centuries, the Idea of birds that was considered sacred in mythology and ritual ceremonies would have changed. In actual literature, white pheasants and sparrows began to take shape rather than abstract mythological ideas after this period, as they were regarded as a marvelous one supporting the monarchy or as a sign of good or bad. And gradually the bird is recognized as a strange animal rather than a divine one, so it is managed in gardens and its meaning as a hunting object or food seems to be gradually becoming stronger.

      • KCI등재

        百濟 西岳 旦那山과 慧顯의 修德寺 · 達拏山寺

        이장웅(Lee, Jang-Woong)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백제는 성왕 때에 梁 武帝를 모델로 삼아 陸詡의 예학과 謙益의 불교를 받아들여 체제의 정비를 시도하면서 제사 체계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였다. 이때 확립된 지방 五岳 祭祀의 의미에 대해서는 『尙書(書經)』 舜傳에 나타나는 四仲月의 巡守와 지방 山川에의 제사 및 신라의 「진흥왕순수비」를 통해 이와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法王代에 이르러서는 五岳 祭祀의 祭場에 불교사원이 세워진 것으로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같은 시기에 수 문제가 五岳에 각각 僧寺 한 곳씩을 세우라는 조서를 내린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지방의 주요 山神에게 지내던 토착신앙의 제사를 국가제사로 편제한 五岳 祭場이 불교사원화하고 변화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西岳 旦那山과 慧顯의 北部 修德寺에서 南方 達拏山寺로의 이동을 통해 살폈다. 여기서는 특히 『海東高僧傳』 釋摩羅難陀에 기록된 성인이 머무는 산(聖住山)과 月岳에 대한 부분을 기존에 北岳 烏山(성주산) 오합사와 연결시켜 보았던 것과는 달리 보면서, 이를 혜현이 머물렀던 西岳 旦那山 達拏山寺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혜현은 관음신앙과 사회 통합적인 法華思想을 강조했다는 점을 통해, 불교 이념이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중앙의 통치 이데올로기가 자연스럽게 전파된다는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백제는 도성 중앙에서 이루어진 天 제사와 도성 외곽에서 이루어진 五帝 제사가 四仲月에 행해졌는데, 巡守를 통한 지방통치의 의미도 지니고 있는 五岳 제사의 시기 역시 四仲月로 볼 수 있으므로, 중앙과 주변, 지방의 제사가 서로 관련을 가지면서 함께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국가제사의 제장이 불교사원화되면서, 도성 중앙과 외곽, 지방의 사원 역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면서 통합된 불교의례의 공간이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聖王), Baekje reorganized state rituals into Confucius style rituals in the process of aligning government systems with imported Luxu(陸詡)’s studies of etiquette(禮學) and Qianyi(謙益)’s Buddhism, modelling Emperor Wu(武帝) of the Liang(梁) dynasty. The meaning of Five Sacred Mountains(五岳) outside the capital systemized at that time was similar to state rituals regularly held in the month of the season(四仲月 ;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in a biography of Shun(舜傳) in ##Shangshu##, and circuit in rural regions in “an epigraph of King Chinhŭng(眞興王巡狩碑)” of Silla. Later, it is likely that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at ritual sites for Five Sacred Mountains during the reign of King Pŏp(法王) It is also possible that there was a connection to the fact that Emperor Wen(文帝) of Sui(隋) send his royal rescript to order to build temples in each of Chinese Five Sacred mountains at the same time. Then this paper analyzed phenomenon that the process of ritual sites for Five Sacred mountains turning into Buddhist temples through Sŏak Tanna Mountain(西岳 旦那山) and Hyehyŏn(慧顯)’s journey from Sutŏk Temple(修德寺) of Pukpu(北部 ; the Northern Part) to Tallasan Temple(達拏山寺). This part specifically emphasized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researches’ perspective that they generally interpreted the part that the mountain a saint lives(聖住山) is connected to O Mountain(烏山) of Pugak(北岳) in interpretation of Maranant’a(釋摩羅難陀) of Haetonggosŭngjŏn(海東高僧傳) ; namely, this paper viewed that the mountain is Sŏak Tanna Mountain. Hyehyŏn were Buddhist monks who emphasized on the ideas of the Lotus Sutra(法華思想), which were strongly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the ruling ideology of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easily spread out to rural areas with expanding Buddhism. The state rituals for Heaven in the capital of Baekje, and rituals for Five Emperors in rural areas were held in the month of the season. As the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 were possibly held in the same time, the rituals of the capital, its outskirts, and rural areas were progressed with a connection. The state rituals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order to incarnate a zone of Buddhist ceremony with the capital and every directions linked together.

      • KCI등재

        百濟 東岳 鷄藍山과 玄光의 翁山 梵刹

        이장웅(Lee, Jang-woo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3 No.-

        백제 성왕 때에는 유불 조화에 의한 정치개혁과 국가제사 체계의 변화에 따라 五岳祭祀역시 체계화되었다. 이러한 오악 제사는 위덕왕대를 거쳐 법왕대에 이르러서 불교사원과 융화되고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東岳鷄藍山과 玄光의 翁山梵刹및 漆岳寺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玄光은 중국 진에 유학하여 남악 慧思로부터 法華安樂行門을 전수받은 인물로, 백제에 귀국하여 웅주 지역에서 翁山梵刹을 세우고 여러 제자들을 키워 불교신앙을 전파했다. 필자는 특히 현광이 스승 慧思가 말년에 남악 형산에 머물렀던 시절에 찾아가 제자가 된 점에 주목하고, 남악에서 혜사의 행적 중에도 토착 산악신앙과 불교사원의 융화를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현광이 백제에 귀국하여 오악 중 동악 鷄藍山에 자리잡고 梵刹을 세워 교화를 행한 것에는 혜사의 영향도 있음을 추론하였다. 현광의 이러한 행적은 그보다 한세대 뒤인 혜현에 영향을 주었으니, 이후 백제오악 제사의 불교사원화를 통해 법화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중앙의 불교를 지방에까지 전파하고, 백제의 국토를 불국토로 만드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聖王), Baekje reformed the government and state ritual systems through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is process, the kingdom harmonized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五岳) with Buddhist temples from the reign of King Witŏk(威德王) to King Pŏp(法王). This paper will reveal this process through Tongak Kyeram Mountain(鷄藍山) and a temple(梵刹) in Ong Mountain(翁山) and Ch’ilak Temple(漆岳寺). Hyŏn’gwang(玄光) is a man who studied in the Jin dynasty, and learned Anlehangmen(安樂行門) of the Lotus Sutra(法華) from Nanyue Huisi(南嶽慧思). After his return to Baekje, he established a temple in Ong Mountain(翁山) of Ung Province(熊州) and spread his Buddhist ideas while raising apprentices.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act that Hyŏn’gwang visited Hyesa(慧思) and became his apprentice while Hyesa was staying in Namak Hyŏngsan in his latter years. Since there are many sources to suggest Hyesa’s activities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harmony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it is possible that Hyesa influenced Hyŏn’gwang’s activities such as settlement in Tongak Kyeram Mountain and establishment of the temple after his return to Baekje. Such Hyŏn’gwang’s exercises affected Hyehyŏn(慧顯), a Buddhist monk in the next generation. Thus,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Baekje a Buddhist state spreading the Buddhist beliefs in the capital to the rural regions through turning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 into Buddhist temple sites.

      • KCI등재

        백제 武寧王과 王妃의 喪葬禮 -殯과 假埋葬을 중심으로-

        이장웅(Lee, Jang-woo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3 No.-

        본고는 무령왕과 왕비의 喪葬禮에 대하여 묘지석과 문헌 기록 및 고분에 대한 약간의 고고학적 성과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동안 무령왕과 무령왕비의 상장례 기간은 만 27개월인데, 이 기간은 服喪기간이면서 殯기간이기도 한 것이 백제적인 특징으로 언급되었다. 그런데 무령왕릉의 묘제와 부장품이 거의 완전히 중국적이라는 점에서, 그 상장례도 완전히 중국적이었을 것이란 견해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백제 지역에서는 기존의 木棺墓와 木槨墓의 葬法이 잔존한 상태에서 무덤의 구조만 橫口式, 재료만 돌로 바뀐 石棺墓의 예가 많다는 점에서, 필자는 무덤의 축조 방법과 부장품이 갑자기 중국식으로 달라졌다고 해도 상장례까지 중국식이 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무령왕릉을 전후로 한 시간과 공간의 葬禮, 특히 백제의 특징적인 것으로 보았던 殯과 假埋葬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특히 『翰苑』에 인용된 『括地志』에는 “山中埋殯”이라고 기록하였는데, 이는 백제의 상장례에서 산에 오랜 시간 동안 가매장하는 빈을 행했던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looked at the funeral of King Muryeong and Queen, using documents, tombstones and som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n tomb stele.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King Muryeong and Queen Muryeong"s funeral period has been 27 months, and this period has been mentioned as a characteristic of Baekje, which is both mourning period of Boksang(服喪) and Bin(殯). However, given that the tombs and burial accessories of King Muryeong were almost completely Chinese style, it was suggested that the funeral would have been entirely Chinese style. However, in the Baekje area, there are many examples of stone coffins where only the structure of the tomb was changed to a cross-section and materials were changed to stone. So I understood that it was problematic to assume that Baekje’s funeral custom was totally changed Chinese style based on conversion of tomb’s construction and burial accessor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before and after period of King Muryeong"s tomb and funeral custom, especially the ‘Bin(殯)’ and temporary burial. In particular, it was recorded as "山中埋殯" in the 『Gwaljiji(括地志)』 cited in the 『Hanwon(翰苑)』, which showed the typical example of Baekje’s ‘Bin(殯)’ and temporary burial on the mountain for a lo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