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iobacillus ferrooxidans에 의한 Pyrite의 생물학적 침출에 따른 기질 표면 특성변화

        이인화,박천영 한국생물공학회 2001 KSBB Journal Vol.26 No.6

        Thiobacillus ferrooxid,$\alpha$ns와 pyrite 광석을 연마하여 resin에 고정한 시편을 대상으로 침출 시간에 따른 표면의 특성 변화를 EPMA 및 SEM-EDS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원소구성비율에 따라 살펴보았다. 침출이 진행됨에 따라 표면의 철성분은 전체적으로 증가한 반면 원소황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고배율에 익한 SEM 이미지에서 침출이 진행됨에 따라 도덧모양의 생성물이 침출 13일 경과 시점에 서 나타나 23일 경과 후까지 자라났으나 30일 경과 시점 에서는 표면전체에 새로운 층 생성된 결과로 나타났다. SEM 이미지 상에서 spot과 배경 지접의 원소 구성비를 EDS에 의하여 분석한 후 비교한 결과 초기에는 원소 구성비의 차이가 큰 값을 보이나 침출이 증가함에 따라 좌이가 나 지 않으며 이는 칩풀이 진행됨에 따라 pyrite 표면변이 접차 생성불이 칩착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e leaching effect of Thiobacillus ferrooxidance (ATCC 19859) upon polished pyrite ore in 9K medium at $30^{circ}C$ for 30 days was investigated. The surface atomic ratios for Fe, S, Al, Si, and Cu were analyzed by EPMA using fresh and leached samples. The atomic ratio of Fe and S were changed to Fe rich phase as leaching progressed over 13 days but the Fe/S ratio became constant between 13 and 30 days. SEM imaging showed that $10\mum$ oblong shapes formed on the surface after 13 days and that these further developed until 23 days. Fe, S and K atomic ratios were analyzed by SEM-EDS.

      • KCI등재

        현대소설교육에서 텍스트 양적 요인 기반 제재 적절성 판단의 문제

        이인화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4

        현대소설 제재 선정 시 문학사적 중요성, 교육적 필요성, 학습자 수준 적합성 등이 중요한 기준으로 거론되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현대소설 제재의 학습자 수준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현대소설 텍스트의 양적 특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자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제재의 양적 요인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제재의 적절성 평가의 방향을 시사하였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기반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 중 성취기준 [09국05-04] 및 [09국05-05]에 수록된 현대소설 텍스트 총 15편을 선정하고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이독성 지수와 텍스트 양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독성 지수에서는 해당 학년 적합성을 이독성 측면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09국05-04]과 [09국05-05] 수록 텍스트의 양적 요인 기초 통계 결과에서는 학년에 따른 평균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학년이 높을 때 1등급 단어 비율과 명사, 동사, 부사, 접속어 비율이 유의하게 줄어들고, 3등급 단어 비율과 대명사 비율은 유의하게 늘어나는 양상이 있었다. 셋째, 교과서 수록 학년 관련 설명력이 큰 양적 요인으로 1, 2, 3, 7등급 단어비와 명사, 대명사, 동사, 부사, 접속어비 등 어휘 요인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텍스트 요인을 현대소설 제재의 적절성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학년에 적합한 현대소설 텍스트를 선정할 때 텍스트의 이독성 지수와 등급 및 양적 요인 정보를 기초적인 검토 대상으로 삼되 해당 정보들을 ‘현대소설교육’에 관여하는 작품의 특성이나 독자의 배경지식, 성취기준의 특성과 연관 지어 해석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함을 분석 작품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요소 분석

        이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미래 사회를 살아갈 인재를 키우기 위한 방안이 다각적으로 모색되는 가운데 교육계에서는 핵심역량을 전면에 내세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등 6개의 핵심역량이 제시되는데, 현재는 이들 핵심역량이 교육과정 내에서 갖는 위상과 이해의 방법,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단계이다. 핵심역량은 포괄성과 총체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 자체가 지식, 기능, 태도로 구성되는바, 핵심역량은 현재 교육과정의 체계 및 성취기준 특성과도 연관성을 지닌다. 과거와의 연속성을 유지해야만 하는 교육과정, 학생들의 학교 밖 삶에까지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야만 하는 핵심역량의 특성을 각각 고려하면서도, 핵심역량이 반영된 교육과정의 실행과 평가라는 실제적 국면에 의미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핵심역량의 의미를 기반으로 한 하위요소의 구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 역량 관련 연구와 자료들을 검토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를 검토하고 델파이 조사, 전문가 검토를 거쳐 의사소통 역량 하위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해당 하위요소의 실제적인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 하위요소들과의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을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중 국어과 및 사회과를 중심으로 예시하였다. 향후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한 여타의 핵심역량들의 하위요소를 구안하고, 핵심역량의 하위요소와 교과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매핑(mapping)하는 연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Every sector of society is looking for ways to raise talented people to live in future society. The education sector is responding to social change throug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puts its core competency at the forefront. Six core competencies such as self-management competence,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y wer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in the early stages to study the status and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se core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at the current level. Core competencies are related to the current system of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at core competencies are composed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hile possessing inclusiveness and overallness. Considering the actual aspects of education in which the continuity with the past must be maintained, th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have practical effects on students’ life outside school, and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urriculums reflecting core competencies, the practical solution is to design sub-elements based on the meaning of core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es and data related to communication competence in Korea and abroad, and examined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s core competency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Delphi survey and experts review were conducted to extract sub-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 order to examin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sub-elements, the linkages between the sub-elem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iddle school curriculum. Sub-elements of the remaining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hould also be developed. Also, mapping studies of the sub-elements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by subject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일본 내셔널리즘의 근원과 근대시기의 국가주의적 변용— 記紀와 武士道를 중심으로 —

        이인화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The origin of Japanese nationalism traces back to 2 documents, Kojiki (Record of Ancient Matters) and Nihon shoki (Chronicles of Japan), which covered Japanese mythology and history. The documents emphasized Tennō''s influence over not only Japan but marginal states,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mythology that Tennō' is descendant of the highest God. And this way of thinking continued over the Middle Ages bearing about the thought which insist "Japan is the country under God's protection" and this thought developed to "So Japan is superior to other countries." And the thoughts continued to Kokugaku and Atsutane Shinto in Edo period. This flow of thought transformed into thoughts of Kokutai (national body of Japan) which caused tremendous sacrifice to protect that and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Bushidō magnified as a spirit of Japanese which led Japanese to successful modernization since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nd during the period of militarism, Bushidō was adapted for morality of Tennō''s military and esthetics of militarism and indoctrinated in Japanese. Japanese nationalism in modern era which containing militarism and imperialism victimized numberless Asia-Pacific victims and finally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modern Japan. We need to reappraise the success of Japanese modernization in the point of view of values of democracy and the right of people. 일본 내셔널리즘은 천황중심 중앙집권화가 완비된 시기를 전후로 출간된 記紀에서 출발하였다. 記紀는 천황이 국가권력의 정점에 있어야할 정당성을 天照大神과 天皇家와의 혈연관계, 황조신과 씨족신들 간의 위계관계에 있는 것으로 설정한다. 記紀가 창조한 위와 같은 세계관은 ‘일본은 神國’이라는 신국론을 낳았다. 신국론은 중세에 이르면 몽고의 내습, 남북조시대를 겪으면서 他에 대한 我의 정통성과 우월성, 나아가 他國에 대한 배타성을 띠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에도시대에 이르면 일본 고유의 순수한 정신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國學과 復古神道 등 국수주의적 성향의 神道가 나타난다. 記紀에서부터 이어져온 일본중심적 내셔널리즘은 근대에 이르러 일본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다스리며 천황은 신성불가침한 존재라는 국체론으로 변용된다. 근대 일본의 국민들은 천황의 신민으로서 국체를 수호하기 위해 유교적 도덕을 함양하고 유사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이 요구되었다. 한편 무사도는 청일․러일전쟁을 전후로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일본의 근대화를 성공으로 이끈 일본인의 정신으로 각색된다. 또한 군국주의가 고조되고 침략전쟁이 확대되면서 무사도는 교과서, 영화, 신사 등 여러 매체를 통해 군국주의 윤리이자 미학으로 미화되어 국민들에게 주입되었다. 흔히 일본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나라라고 하지만, 과연 이와 같은 근대화가 성공한 근대화인가에 대해서는 다시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OECD 변혁적 역량과 국어과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 변혁적 역량 하위요소와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간 매핑(mapping)을 중심으로 -

        이인화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7

        The concept of transformative competencies was proposed through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re defined as follows: the competencies needed to meet the challenges of a new society; the competencies needed to create a world where well-being and sustainability are maintained; and the competencies that students need to contribute to the world, prosper, and create a better futu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ink betwee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sub-elements of the OECD’s transformative competencies. In this study, curriculum mapping was performed as part of a research study targeting a group of exper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re strongly related to transformative competencies; (2) degree of competency inclusiveness and degree of competency concentration differ for each sub-area and school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3) there are cases in which achievement standar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mapped with different sub-elements of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nd (4) when conceptual words related to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re exposed to achievement standards, the degree of competency concentration increases, and when there is no such exposure, the degree of competency inclusiveness tends to increase. Based on this finding,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1) Establish standards and principles unique to Korea and critically accept external educational discourse; (2) the timing of training in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nd appropriate training areas should be discussed; (3) a method for interpreting transformative competenc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greed upon; and (4) if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transformative competencies into education and reflecting them in the curriculum is agreed up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adjusted to highlight the content that th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emphasize. "OECD에서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통해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ies)이라는 개념을 도출하였다. 변혁적 역량은 새로운 사회의 도전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 웰빙과 지속 가능성이 유지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역량, 학생들이 이 세상에 기여하고 번영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규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OECD가 밝힌 변혁적 역량 하위요소들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 대상 조사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매핑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들은 변혁적 역량의 개념 및 의미와 상당한 정도로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역량포괄도 및 역량집중도는 국어과 하위영역별·학교급별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사한 특성을 가진 성취기준이 변혁적 역량의 서로 다른 하위요소들과 매핑되는 사례와, 성취기준에 변혁적 역량과 관련된 개념어가 노출될 경우 역량집중도가 높아지고 그러지 않은 경우에는 역량포괄도가 높아지는 양상도 확인하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만의 기준과 원칙을 수립하고 외부의 교육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변혁적 역량의 교육 시기와 변혁적 역량을 교육하기 적절한 영역이 무엇인지 그리고 국어교육계 내에서 변혁적 역량을 해석하는 합의된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변혁적 역량의 교육 필요성과 교육과정 반영의 필수성이 합의된다면 현재의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변혁적 역량이 강조하는 내용을 부각하는 방식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한국판 Wallach 와 Kogan 창의성 검사의 신뢰도 분석

        이인화,한기순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affecting test reliability and to improve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using the generalizability theory. 277 elementary school student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nswered 12 items of the Wallach and Kogan Creativity Test for 30 minutes. Both G study and D study were performed in the separate p×r×i design and p×r×(i:d)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 which has the largest influence to the Korean version of Wallach & Kogan was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 and items. Second, the result of D study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Korean version scale 12 items, the normal level of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80 was achieved in 7 items in the case of one rater. Third, to reduce measuring errors and improve reliability, it wa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domain and item rather than increasing the number of rater.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based on various error sources such as domains, items and time should be considered to keep a satisfactory level of reliability in a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판 Wallach와 Kogan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한 효율적 측정 조건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소재 초등학교 4학년 27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Wallach와 Kogan 검사 12문항을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본 검사는 자료 분석을 위해 일반화 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p×r×i설계와 p×r×(i:d)설계로 나누어 G연구와 D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연구와 D연구 모두 창의성 검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험자와 문항의 상호작용 요인이었다. 둘째, 한국판 Wallach와 Kogan 12문항에서, 일반화가능도 계수 .80을 얻기 위하여 평가자가 1명일 경우 7문항에서 G계수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자의 수를 늘리는 것 보다 영역의 수를 늘리거나 문항의 수를 늘리는 것이 측정 오차를 낮추고 신뢰도 계수를 높이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역, 문항 그리고 시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오차요인을 후속 연구로 제언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