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서의 두개골 결손부에서 제대혈 유래 간엽줄기세포의 골재생에 관한 연구

        이의석,장현석,권종진,이진용,임재석,서병무,윤정현,임재형 대한통합치과학회 2013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2 No.1

        It has been suggested that umbilical cord blood (UCB) contains multipotent stem cells. Some authors suggest that within UCB are cells with potential for differentiation down mesenchymal lineages and UCB is one of the readily available sources of stem cells that may be used for bone regenerat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se cells has been accomplished in some centers.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down multiple lineages has been documented. The use of UCB derived stem cells was investigated in this animal studies. Polycaprolactone‐20% tricalcium phosphate (PCL‐TCP) polymers allow for cellular adherence and differentiation and are adequate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in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MSCs from UCB seeded onto PCL‐TCP composit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MSCs were isolated from UCB. MSCs from UCB seeded onto PCL‐TCP scaffolds were then implanted in calvarial bone defect of the athymic mouse. As a control, in each mouse was treated with scaffold only. At six and twelve weeks post‐implantation, hist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MSCs from UCB with PCL‐TCP scaffolds did not exhibited bone regeneration in calvarial bone defects in athymic mouse. Histological examination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regenerated bone of the defect. MSCs from UCB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applications in tissue‐engineered bone regeneration.

      • 유지방구막 추출물로부터 얻은 인지질(Phosphatidylcholine, Sphingomyelin, Phosphatidylethanolamine) 분획물 제조에 관한 연구

        이의석,빈국현,홍순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유지방구막 추출물로부터 다량의 분획물 phosphatidylcholine(PC), sphingomyelin(SM)및 phosphatidylethanolamine(PE)의 제조에 관한 연구이다. 한외여과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버터밀크로부터 유지방구막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에 에탄올 농도별(100, 60, 30%, 추출물:에탄올=1:20 비율)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과 하등액의 인지질 종류별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의 경우 100% 에탄올 농도에서는 상등액에 대부분 잔류하였으나, 에탄올 농도가 낮아질수록 상등액에서 농도는 낮아지고 하등액에 잔류하였다. LPC는 100% 에탄올 농도에서 하등액에 대부분 잔류하였으나, 에탄올 농도가 낮아질수록 상등액에서 농도는 높아지고 하등액에서는 낮아졌다. SM 및 PE는 에탄올 농도에 관계없이 상등액과 하등액에 유사하게 분포하였다.

      • A Case of Acute Necrotizing Fasciitis Following Internal Jugular Vein Thrombophlebitis: Lemierre's Syndrome

        이의석,박동석,장현석,김현준,Besana,임호경 대한통합치과학회 2017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6 No.2

        Lemierre’s syndrome is caused by preexisting oropharyngeal infection and characterized by internal jugular vein (IJV) thrombophlebitis. Frequently, this syndrome involves metastatic infection in areas such as the peritoneum, muscles, and spleen. The most common etiologic organism is Fusobacterium necrophorum. In this case, a masticatory space abscess that originated from a tooth caused the IJV thrombophlebitis. The patient had preexist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Parkinson’s disease. Blood culture revealed Streptococcus sanguinis, and the patient received antibiotics that were highly sensitive to mentioned bacterium; additionally, an anticoagulant was used. With the widespread use of antibiotics, Lemierre’s syndrome has become uncommon, and related mortality rates have noticeably decreased. This has led the public to forget about the disease, but it can still be potentially fatal without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 치관주위염 및 치근단 염증으로 인한 하치조신경 손상

        이의석,김충남,김규태,임호경,김수호,김민수 대한통합치과학회 2018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7 No.2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AN) is one of the branches of the mandibular division of the trigeminal nerve and innervates the mandible, mandibular teeth, gingiva of inferior alveolus, and lower lip. IAN dysfunction can occur during many dental surgical procedures and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 findings such as mandibular fractures, benign and malignant tumors, and osteomyelitis. We treated two patients with IAN injuries, caused by periapical and pericoronal lesions, by decompression via extraction and medication, and confirmed quantitative improvement. The aim of this article report was to review rare cases of successful treatment of IAN dysfunction following periapical and pericoronal lesions. 하치조신경은 삼차신경 중 하악분지이며, 하악, 하악치아, 하악치조골의 치은 및 하순의 감각을 지배한다. 하치조신경손상은 치과에서 시행하는 외과적 술식 중 일어날 수 있으며, 하악골 골절, 양성 및 악성종양, 골수염과 같은 병적소견과도 연관성이 있다. 본 병원에서는 치관주위염 및 치근단 병소로 유발된 감각이상에 대한 두 증례에서 발치술을 이용한 감압술 및 투약으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었고, 정량적인 방법으로서 호전양상을 평가했다. 따라서, 본 저자는 이처럼 드물게 발생하는 치관주위염 및 치근단 병소로 유발된 감각이상에 대한 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유지방구막 추출물로부터 얻은 인지질 분획물의 유화특성

        이의석,빈국현,홍순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유지방구막 추출물에 100% 에탄올을 1:20비율로 첨가·추출하고 원심분리 후 상등액[주요물질: phosphatidylcholine(PC), sphingomyelin(SM), phosphatidylethanolamine(PE)]과 하등액 [주요물질: SM, PE]으로 분획하여 건조한 후 각각의 유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상등액과 하등액을 첨가하여 유화액(10 wt% 기름, 0.5 wt% 분획물)을 제조하고 지방구 크기를 측정한 결과, 상등액이 하등액보다 지방구 크기가 2배 정도 크게 나타내었고(d43 상등액 2.34 ㎛, 하등액 1.15 ㎛)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상등액과 하등액 모두 지방구 크기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reaming stability index(CSI)는 초기 상등액이 하등액에 비해 높았지만(상등액 8.89%, 하등액 4.44%), 10일 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15.56%, 15.56%). 제타전위는 pH가 증가할수록(pH 2-10) 상등액과 하등액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상등액이 하등액보다 다소 낮은 전하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pH 2에서는 상등액은 양의 전하(13.67±0.76 mV)를 하등액은 음의 전하를 나타냈다(-14.63±0.29 mV).

      • 겔화제를 이용한 모델 단백겔의 제조

        이의석,셉지드,류관모,장현호,박수진,홍순택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04

        최근 평균 수명 증가 및 고령화 현상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식생활 분야에서 고령에 따른 저작 능력 및 연하곤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겔화제(전분, 한천, 검류 등) 종류 및 농도에 따라 고령친화용 모델 단백겔을 제조하여 경도변화를 조사하였다. 두유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두유액(170g)에 겔화제를 첨가한 후 80°C, 20분간 호화시켜 성형틀에 성형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방냉하고 4°C 냉장고에서 24시간 저장시킨 후 Texture ananlyzer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분(5~15%) 및 한천(1-5%)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델 단백겔의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각각 최대 6.25×104 N/m2, 3.93×105 N/m2을 나타냈다. 또한, 2가지 겔화제(Gellan, LBG=9:1~4:6, 두유액 대비 6%)를 혼합비율로 첨가시 Gellan 함량이 감소하고 LBG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델 단백겔의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잔탄검을 고정하고 다른 겔화제(κ-carrageenan, LBG, konjack) 종류에 따른 경도변화를 알아 본 결과 κ-carrageenan, LBG 및 konjack 첨가시 각각 3.45×103 N/m2, 11.70×103 N/m2 및 4.4×104 N/m2 경도를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겔화제 종류 및 농도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고령자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식품의 경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단계로 조절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치조골신장술과 자가골이식술의 안정성을 비교한 전향적 임상시험연구

        이의석,이종현,최혁,윤태승,이학기,김현준,신재희 대한통합치과학회 2016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5 No.1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ability of using auto bone graft and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vertical augmentation of resorbed alveolar ridges for implant installation. Method: A total of 14 patients with extremely resorbed alveolar bone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uto bone graft was used in the control group (n=7) and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n=7). New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radiographically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alveolar preoperatively, after 4 weeks, after 12 weeks and after 24 weeks. Results: Immediately after surgery (T1), an increase in vertical bone height of 4.12±1.01 mm was obtained in the control group. After 4 weeks (T2), vertical bone height was evaluated in each group (Control Group vs Experimental Group; 3.60±0.86 mm vs 5.77±1.71 mm). After 12 weeks (T3), the increase in vertical height of bone was about 3.18±0.68 mm (Control Group) vs 5.56±1.75 mm (Experimental Group). After 24 weeks (T4), increase in vertical bone height for the control group was 2.70±0.41 mm and 5.43±1.74 mm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bone resorption in each period, the bone resorption between 4 weeks after and 24 weeks af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3) (0.89±0.69 mm vs 0.34±0.29 mm). Conclusion: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auto bone graft can be used for reconstru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alveolar bone defects with high prognosis when properly indicated. With 6 month observation period, distraction osteogenesis showed lower bone resorption, so it was a favorable procedure on alveolar bone aug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