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욕창과 실금 관련 피부염의 시각적 감별능력 측정도구 예비문항의 내용 타당도
이윤진,박승미,김정윤,황지현,박옥경,주명진,홍정은 한국재활간호학회 2023 재활간호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for a visual differentiation measurement on pressure injury (PI) and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AD) for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and methodology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three specialized wound care nurses in Korea. They were asked to response the validity regarding twenty items including wound photo and relevant inform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8.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 (S-CVI/Ave) of 20 items was 0.96. All the participants agreed the photos and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stage I PI, stage IV PI, unstageable PI, and IAD. Agreement rate of stage II PI, deep tissue PI, blanching erythema was 91.3% and that of stage III was 82.6%. Conclus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for a visual differentiation measurement on PI and IAD was acceptable. However, more detail description of the wound bed condition and changes over time are necessary in order to enable accurate PI and IAD assessment.
이윤진 육아정책연구소 2011 육아정책포럼 Vol.25 No.-
본고는 서울과 경기도의 초등학생 1, 2학년생 1,200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영어교육의 경험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초 영어시작 시기·실시 동기, 영어교육을 경험한 이용 기관 종류·시기·교육방식, 타 기관 및 가정에서의 영어교육 경험 정도 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기 영어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1) 유아기에 영어교육은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가장 많이 경험했고 2)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오전 시간대에 영어를 가장 많이 접했으며 3) 대개 추가 비용을 지불하여 영어특별활동프로그램 방식으로 실시하는 오후대에는 영어교육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지 않았다. 4) 유치원과 보육시설 외의 학원이나 문화센터 등에서의 영어교육 경험도 많지 않았다. 5) 가정에서 경험한 영어교육 방식으로는 영어교재(책, 비디오 등) 구입이 가장 많았으며, 방문학습지, 인터넷 강의, 그룹과외 등의 경험한 사례는 매우 적었다.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폴리페놀 고함유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이윤진,강덕경,표수진,손호용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7
도토리 화분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단일 화분으로, 민간에서는 지혈, 빈혈방지, 전립선염 치료 등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화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도토리 화분의 에탄올 추출물의 극성별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의 성분 분석, 항산화, 항응고,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 및 활성 분획물의 적혈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토리 화분 에탄올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225.0 mg/g을 나타내었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DPPH, ABTS 및 nitrite에 대한 RC50값이 각각 72.2, 27.7 및 62.6 μg/ml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한편 도토리 화분의 항혈전 활성 평가를 위해 혈액응고저해 활성 평가 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5 mg/ml 농도까지 특이한 항응고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혈소판 응집저해활성 평가 결과,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에서 우수한 응집저해가 나타났으나, 헥산 분획물에서는 오히려 응집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및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이 우수한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이 없었으며, UPLC/MS/MS 분석결과 rutin, isoquercitrin 및 astragalin이 주요 활성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도토리 화분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한 새로운 항산화 및 항혈전제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케나프 품종별 종자 추출물의 항혈전, 항산화, 항당뇨 활성의 비교
이윤진,강덕경,김지민,김영민,손호용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8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는 척박한 건조 토양이나 습한 습지에서도 빠른 성장을 나타내어 섬유용, 제지용, 사료용, 식품용 및 환경 정화용 식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되어 온 케나프 종자를 대체하기 위해 국내 채종가능한 장대 품종이 최근 개발되어 재배되고 있으나 외국산 종자와 장대 종자의 생리활성 비교 평가는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8종의 외국산 케나프 품종과 신품종 장대의 종자를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혈전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당뇨 활성을 평가하였다. 케나프 종자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장대 종자 추출물이 각각 14.4 mg/g 및 5.3 mg/g을 나타내어 외국산 품종의 종자 추출물보다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혈전 활성평가를 위한 트롬빈 저해활성 측정에서는 IT 181215 및 IT 207877 종자 추출물에서 용매 대조구보다 1.92배 및 1.88배 증가된 thrombin time을 보였으며, 프로트롬빈 저해활성 평가에서는 홍마 종자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에서 유사한 1.36~1.56배 증가된 prothrombin time을 보였다. 혈액응고인자 저해활성 평가에서는 IT 207886 종자 추출물에서 가장 강력한 3.04배 증가된 aPTT를 보였다. 장대 종자 추출물은 각각 1.46배, 1.38배, 2.37배 증가된 TT, PT, aPTT를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보였다. 장대 종자 추출물은 ABTS 양이온 및 nitrite 소거능의 RC50값이 0.48 및 0.27 mg/ml으로 외국산 종자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측정에서 장대 및 IT 181215 종자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10.3~10.6%의 저해활성을 보여 다른 품종의 종자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케나프 품종별 종자 추출물의 항혈전,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에 대한 최초 보고이며, 케나프 신품종 장대 종자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생물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윤진,강덕경,김종식,이만효,손호용 한국생명과학회 2023 생명과학회지 Vol.33 No.1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s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 줄기 및 뿌리의 전초를 약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혈행개선,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 치료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 및 암세포 성장억제, 간손상 및 신경세포 사멸 억제, 카드뮴 독성 감소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항혈전, 항당뇨, 항산화 및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어성초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기 분획물은 5 mg/ml 농도에서 용매 대조구보다 2.09배, 2.19배 및 1.69배 연장된 TT, PT, aPTT를 보여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DPPH, ABTS 및 nitrite radical에 대해 각각 30.9, 19.9 및 49.6 μg/ml의 RC50을 보여, 9.8, 5.2 및 11,8 μg/ml의 RC50를 나타낸 vitamin C의 항산화력에 비교되었다. 트롬빈 저해활성이 강력한 헥센 분획물이 강력한 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는 바와 달리,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 mg/ml 농도까지 전혀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어성초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로, 어성초의 quercitirin, hyperoside, orientin 및 isoquercitrin이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에 관련되어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항혈전 식품소재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윤진,배진호,강상구,조성우,천동일,남승민,김철한,남해선,이선화,이상한,조문균 대한약학회 2017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40 No.9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ribute topathogenesis of many inflammatory skin diseases, includingpsoria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tioxidantprotein expression in psoriasis vulgaris (PV) skintissues with that in normal skin tissues in vivo and toevaluate the effects of dimethyl fumarate (DMF), used forthe treatment of psoriasis, on ROS generation and apoptosisin a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Comparedwith normal skin tissues, PV skin tissues showed increasedprotein oxidation as well as down-regulation of Nrf2 andits regulatory proteins such as HO-1 and AKR1C3. UsingHaCaT cells to model DMF-induced pro-oxidant effects inthe skin cells, we found that DMF treatment inducedincreased ROS levels and apoptotic cell death, as signifiedby increased proportion of cells with Annexin V-PE(?)staining and a sub-G0/G1 peak in the cell cycle. Precedingthese changes, DMF treatment resulted in up-regulation ofNrf2, HO-1, and AKR1C3 proteins in these cells. Collectively,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mpaired cellular antioxidantenzyme systems may participate in the pathogenesisof PV. DMF may exert an additive therapeutic efficacyin PV by attenuating the redox burden and subsequentoxidative damage to normal keratinocytes through activationof Nrf2 pathway relative to PV.
이윤진 육아정책연구소 2011 육아정책포럼 Vol.27 No.-
본고에서는 소인수 혼합반을 운영하는 1,040개 유치 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유치 원의 소인수 혼합반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소인수 혼합반의 평균 학급수는 1.25개, 교직 원수는 2.93명, 유아정원수는 21.21명, 유아재원아수는 18.53명으로 집계되었다. 소인수 혼합반을 운영하는 이유는 ‘인근 지역에 유아수가 적어서’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운영 이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은 ‘유아수가 적어서’ 라기 보다는 ‘인가받은 학급수가 적어서 가혼 합반 운영의 첫 번째 이유였다. 혼합반에서의 수업은 주로 특정 연령에 치중하지 않고 골고루 수업 시간을 안배해서 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혼합반을 운영하는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연령 별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시 하지 못하는 것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편,소인수 혼합반을 담당하는 교사는 4년제 대학 졸업자 50.6%, 대학원 졸업자 38.0% 등 대부분이 고학력자이면서 20년 이상의 현장 경력이 풍부한 우수한 인력들이 주를 이루었다.
한국어 학습자의 연상 문장 쓰기를 통한‘한류’의 양상 분석 사례 연구 -한국어교육에의 함의점 고찰을 목적으로-
이윤진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lies in the study of the ‘Hallyu’ condition observed from the Korean learners’ perspective and the contemplation of its implication in Korean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rough ‘Hallyu’ associative sentential writing, a qualitative analytic method was applied, and the sentences written by the learne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content. Recently, ‘Hallyu’ has risen as a popular subject point, extending beyond geographical borders and without conformation to a specific domain or field. Moreover, with the value and importance of hallyu in Korean education progressively being emphasized, ‘hallyu’ is becoming a central motivating factor behind learning Korean or the content and background to Korean teaching. However, heretofore, the discussion behind the image of hallyu perceived within the Korean learners’ minds(schema) have proved to be insufficient. Hallyu exists in diverse conditions from a macroscopic level that includes the whole of Korean culture to a microscopic state that singles out a particular song of a specific artist. Therefore, the observation of the appearance of ‘hallyu’ within the Korean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is essential to an efficient Korean education. As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this study based on Korean learners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an identification of the condition of hallyu and its examples signifying largely ‘Korean popular culture’ as well as ‘Korean food’, ‘Korean learning’, ‘Korea-related trends and information’ was made. This article will provide a Korean instructor who wills to plan and manage one’s lessons at learners’ eye-level with a useful basis and methodology when searching for a method to efficiently connect and reflect ‘hallyu’ in actual les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