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瑜伽師地論』의 「聲聞地」에서의 轉依 개념

        이윤옥(Lee, Yoon-ok)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21 No.-

        전의의 원류는 아비달마불교로서, 논서 중 가장 오래된 『법온족론』에서 처음으로 추중과 경안이 서로 관련되어 7각지 중에 나타난다. 아비달마 논서에서 전의는 함축적으로 추중의 배제와 경안의 획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유가론』의 「성문지」에서는 전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所依의 변화와 깨달음의 과정이 전개되고 있다. 「성문지」의 전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추중과 경안 사이의 교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성문지」에서 전의는 '변모'한다는 의미로서 신체와 정신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이고, '변화'를 통해서 부정해야 할 것을 없애고 긍정해야 할 것을 얻는 것이다. 특히 산스크리트의 논서 중에 「성문지」, 「보살지」, 『아비달마집론』은 'āśrayaparivrtti'라는 형태가 사용되고, 『대승장엄경론』과 『중변분별론석소』에는 'āśrayaparivrtti와 'āśrayaparivrtti'의 두 가지 형태가 나타나고 있는데, 용어이 차이는 없다고 본다. 소의청정은 유가행자의 몸과 마음의 변화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소의청정은 샤마타와 비파샤나수행에 기초한 유가행의 신체적·정신적인 전의를 뜻하며, 유가행자가 소지사에 대한 직접지각을 방해하는 추중의 소멸과 경안을 획득하는 것이다. 「성문지」의 5종의 예비적 수행에서는 샤마타와 비파샤나를 교대로 반복하고 수습함으로써 현상적인 相(nimitta)을 명료히 하는 과정에서 유가행자는 심일경성과 신심경안을 얻게 된다. 그리고 전의를 획득하였을 때 소지사에 대한 직접지각(現量)이 발생하는 것이다. 제2유가처의 소의멸과 소의전은 유가행을 실천함으로써 추중과 결합된 옛 소의가 소멸하고, 경안을 갖춘 새로운 소의로 점차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성문지」제2유가처의 변만소연중에 소작성판은 제3유가처의 예비적 수행의 전의 개념보다 더욱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The concept of āśrayaparivrtti(transformation of the basis) originated from the Abhidharma literature. By way of example, praśrabdhi(calmness) in relation to dausthulya(defilements) is described in the Dharmaskandha as one of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s. So far, āśrayaparivrtti can be understood as removsal of dausthulya and attainment of praśrabdhi. In contrast, the term āśrayaparivrtti in the Srāvaksbhūmi of the Yogācārabhūmi implies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and process of enlightenment. The procedure can be described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The meaning of āśrayaparivrtti in the Śrāvaksbhūmi is 'transformation', which is a fundamental change of body and mind, thereby the negative qualities are eliminated and the positive qualities are attained. In the Śrāvaksbhūmi, the Bodhisattvabhūmi and the Abhidharmasamucaya, only the term, āśrayaparivrtti is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Mahāyānasūtrālamkāra and the Madhyāntavibhāgarīkā both terms, āśrayaparivrtti and āśrayaparivrtti are used. However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rms. The transformation of the Yogācāra practitioner's body and mind is called āśrayapariśuddhi. It refers to the physical and men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Yogācāra practice of śamatha and vipaśyanā. Thereby, the Yogācāra practitioner eliminates dausthulya which hinders correct cognition, and attains praśrabdhi. In the five kinds of preliminary practice of Śrāvaksbhūmi, the yogācāra practitioner alternates between śamatha and vipaśyanā to get a clear nimitta until he attains the single pointed concentration and the calmness of body and mind. When he finally attains āśrayaparivrtti, the direct knowledge of things will be generated. In the second stage of the yogācāra practice, the practitioner engages in the cessation of the basi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thereby the old basis combined with defilements is removed and gradually replaced by a new one joined with calmness. In particular, the perfection of supernatural acts of objects concentrated in the second Yogācāra state of the Śrāvakabhūmi can be considered a further developed form in the third Yogācāra state.

      • KCI등재

        투고논문 : 『瑜伽師地論(유가사지론)』 의 「攝決擇分(섭결택분)」에서의 轉依思想(전의사상)

        이윤옥 ( Yoon Ok Lee ),원철 ( Cheol W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瑜伽論 의 「本地分」과 「攝決擇分」의 전의사상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本地分」은 요가실천에서 몸과 마음의 변화에 주목하여 轉依를 구 체적인 샤마타(samatha)와 비파샤나(vipasyana)의 체험을 통해서 해석 하고 표현한다. 이에 대하여 「攝決擇分」은 전의를 알라야식과 진여 및 열반 등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기 시작하고 점차 轉依를 이론적으로 설 명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修所成慧地」에서 轉依를 얻기 위한 하나의 수행은 번뇌의 제거 방법으로 對治(pratipaksa)를 기술하고 있다. 「有尋有伺地」의 번뇌로서의 잡 염(klesasamklesa)은 새로운 도입이 아비달마논서에서 분리되어 전승된 번뇌 또는 잠재적 경향(隨眠, anusaya)에 관한 두 개의 이론을 하나의 통합적 체계 속에서 형성하려는 시도가 보인다. 이것은 찰나설의 입장 에서 다루고 있으며 수면과 번뇌잡염을 끊고 견도와 수도에서 차제로 전의를 얻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瑜伽論 의 「攝決擇分」에서는 「本地分」과 대조적으로 전혀 다 른 새로운 형태의 알라야식이 도입되어 전의사상이 설명되고 있으며, 또 「五識身相應地」에서 알라야식의 변화와 관련되어 나타난 전의는 眞如(tathata)로서의 전의라는 신해석이 받아 들여져 설명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요가행자는 잡염의 근원인 알라야식을 청정한 인식으로 전환 하고, 진여(tathata)를 인식대상으로 하는 智(jnana)를 반복하여 수습 (bhavana)함으로써 자신의 所依(의지체, asraya)를 전환(轉, parivrtti)시 킨다.「섭결택분」의 「보살지」와 「유여의무여의지」에서 전의는 청정한 眞如와 청정한 法界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보살지」에서는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의 양자가 융합하고 있지만, 「유여의무여의지」에서는 열반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해심 밀경 과 「섭결택분」에서는 여래의 전의가 성문·독각의 전의보다 우월 하다는 것을 法身과 解脫身이라는 차이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여래 의 轉依는 法身과 동일시되지만, 성문·독각의 전의는 단순히 解脫身이 라고 할 수 있다. The Mauli Bhumi in the Yogacarabhumi and the concept of asrayaparivrtti in the Viniscayasamgrahani have a little difference. The Mauli Bhumi interprets and presents through concrete experiences of samatha and vipasyana with concentrating variations of one`s mind and body in practice of yoga. About this matter, the Viniscayasamgrahani starts considering through relations consisting such as alayavijnana, tathata, nirvana, and it gradually displays a tendency to explain asrayaparivrtti theoretically. The Bhavanamayi Bhumih describes pratipaksa that is how to eliminate klesa as a practice to obtain asrayaparivrtti. In the savicara bhumih, klesasamklesa has an intention of forming two theories of klesa or anusaya that passed down and separated from the treasury of Abhidharma into an integrated system. This is dealt with a perspective of ksanabhanga, and obtains asrayaparivrtti of from darsana marga and bhavana marga to nairantarya by severing anusaya and klesasamklesa. In contrast to the Mauli Bhumi, Viniscayasamgrahani in Yogacarabhumi introduces a diametrically opposed new form alayavijnana and can explain asrayaparivrtti. In the Panca vijnana kaya samprayukta Bhumih, asrayaparivrtti that emerged with a change of alayavijnana is explained by receiving a new reading of asrayaparivrtti as tathata. Then Yogin practices parivrtti from alayavijnana that is a source of samklesa to visuddhi of perception, and he practices parivrtti with his asraya through repeated bhavana that regards tathata as alambana. In the Bodhisttvabhumi of the Viniscayasamgrahani and the Nirvana Chapter, asrayaparivrtti is defined as tathatavisuddhi and dharmadhatuvisuddhi. Furthermore, both parties of sopadhisesanirvana and nirupadhisesanirvana are fused in the Bodhisttvabhumi, but nirvana is quite distinct in the Nirvana Chapter. It describes that asrayaparivrtti of tathagata is more superior than asrayaparivrtti of sravaka·pratyeka buddha as the difference between dharmakaya and vimuktikaya in the Samdhinirmocana Sutra and the Viniscayasamgrahani. Although asrayaparivrtti of tathagata is identified with dharmakaya at this point, asrayaparivrtti of sravaka·pratyeka buddha is merely considered vimuktikaya.

      • KCI등재

        < 연구논문 > : 『유가사지론』에서 사념주의 전개

        이윤옥 ( Yoon Ok L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유가론』에서 사념주의 전개를 살펴보면, 『반야경』, 『십지경』등의 큰 영향을 받아 성립된 「보살지」는 「성문지」, 「섭사분」 보다 여명기의『유가론』의 문헌에서 사상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보살지」의 < 진실의품 >을 종합해보면, 보살은 무분별지를 바탕으로 불가언설의 자성을 소연(alambana)으로 하는 승의적 사념주를 수습한다. 『유가론』에서 단지 언어로 갖가지를 규정하는 세속적 사념주로 수습하지만, 보살의 평등지를 기본 가설로서 존재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념주의 소연이 가설로서 규정된 것은 세간의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보이기 위한 것 뿐 언어적 보편성 때문이고 불가언설의 자성을 깨닫기 위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한편 『해심밀경』은 가행도에서 진여를 作意하고 마음의 현상적 相(nimitta)의 현행을 평정(upeksa)시키고 견도에 들어가서 7종의 진여를 관찰하는 지혜가 생긴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심밀경』의 현상적 상의 소거라는 수행방식은, 「보살지」의 현상적 상의 소거와 같은형태로서 유가행파에서 空의 수습과 깊은 관계가 있다. 『해심밀경』의 21종의 현상적 상에서 사념주를 제외한 17종의 현상적 상은, 「섭결택분」의 사념주 수습에서 17종의 상박(想縛)을 소거하는 현상적 상과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가론』 「섭사분」에서는 아함경과 관련하여 독자적인 해석을 보이고 있다. 「섭사분」이 『잡아함경』에 대한 유가행파의 주석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이미 학자들에 의해서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섭사분」에서 사념주는 수행자의 非如理作意, 如理作意라는 새로운 시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섭사분」은 『잡아함경』의 사념처를 한층 발전시켜서 독자적인 사념주를 성립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f the development of catvari smrtyupasthanani in Yogacarabhumi is observed, it can be seen that Bodhisttvabhumi, which was established being greatly affected by Prajnaparamita sutra and Dasabhumika sutra, attempts ideological change in Yogacarabhumi literature of the dawning period rather than in Sravakabhumiㆍ Vastusamgrahani. In an integration of the Tattvarthapatala of Bodhisttvabhumi, the Bodhisattva bhavana paramartha catvari sm.tyupasthanani which alambana the saabhava of anabhilapya based on nirvikalpa jnana. The Yogacarabhumi bhavana samvrti catvari smrtyupasthanani which makes various regulations with only vyavahara but samata jnana of Bodhisattva exists as a prajnapti. This is because, alambana of catvari sm.tyupasthanani was prescribed as a prajnapti to show guidance to the people of laukika and it is because of vyavahara universality, as an upaya to realize the saabhava of anabhilapya. On one hand, the Sa.dhinirmocana sutra delineates that a pravicaya buddhi forms that manaskara tathata in prayoga marga, upeksa the adhyacarati of nimitta of the citta and observes the 7 types of tathata in the darsana-marga. This performance method of vibhavana of nimitta of the Sa.dhinirmocana sutra has the same form as the vibhavana of nimitta of the Bodhisttvabhumi and thus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bhavana of sunyata in Yogacara. In the nimitta of the 21 types of the Sa.dhinirmocana sutra, 17 types of nimitta excluding catvari sm.tyupasthanani mostly have the same contents as nimitta which vibhavana the 17 types of samjna-bandhana in the catvari smrtyupasthanani bhavana of Viniscayasa.grahani. Also, the Vastusamgrahani of Yogacarabhumi displays independent interpretation with regards to the agama. It has already been presented through the theses of scholars that Vastusa.graha.i has annotative elements of Yogacara regarding the Sa.yuktagama sutra. Catvari sm.tyupasthanani in Vastusa.graha.i is interprested from the new perspective of ayonisomanaskaraㆍyonisomanaskara of yogin. This shows that the Vastusamgrahani develops the cattaro satipatthana of Samyuktagama-sutra to bring an independent catvari smrtyupasthanani into existence.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식설의 변행심소와 별경심소

        이윤옥 ( Yoon Ok L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9

        유식설에 나타난 심소법의 특질을 확실히 알기위해서는 먼저 유부와 경량부의 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대지법은 가장 보편적이고 두루 함께하는 의식작용의 근거되는 마음을 말한다. 즉, 대지법이란 善·不善·無記등 일체의 마음작용의 주체와 마음의 심리작용이 함께 일어나는 작용이다. 이 열 가지를 『구사론』에서 살펴보면, 受·思·想·欲·觸·慧·念·作意·勝解·三摩地이다. 유식설은 변행심소와 별경심소로 분류하여 기술하고 있는데, 변행심소는 作意·觸·受·想·思이고, 별경심소는 欲·勝解·念·定·慧는모든 識과 相應관계에 있어서도 분명한 차이가 있다. 여기서 변행이란 8식 중의 어느 것과도 상응하여 함께 작용함을 가리킨다. 이것에 속한 심소들은 8식의 어느 것에서도 선과 악 등의 성질이나 장소나 시기에 구애됨이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모두가 함께 작용한다. 따라서 변행은 4종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심소들이다. 그리고 별경이란 특별한 대상에 대해서만 작용함을 가리킨다. 欲이라는 심소는 욕구이며 정진의 일부이다. 勝解는 명확한 인식의 대상, 念은 과거의 대상, 정과 혜는 깊은 명상에 빠질 때의 대상에 대해서 발동한다. 이것들은 선·불선·무기라는 세 가지 성질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일어날 수 있고 어떠한 장소에서도 일어 날 수 있으나, 반드시 어느 때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함께 작용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4종의 기준 중 일체성과 일체지만을 충족하고 일체시와 일체구는 충족하지 않는다. 유부에서는 심리현상이 일어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는 識(vijnana)과 10종의 대지법의 상응하여 인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그것에 반하여유식설에서는 경험의 축척인 현재의 마음 즉, 알라야식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마음의 내면적인 변행심소가 기본이 된다. 따라서 개별적 심리작용과 통합하여 모든 마음의 현상이 전개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식설은 주관의 능동적 주체성을 강조하고 심층적 잠재된 본질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o fully know about the features of caitasika appeared in the Yogacara School, we must understand the sthaviravada and the sautrantika. mahabhama is the most universal way of the citta which is based on the mano. In other words, mahabhama is an occurrence of citta and caitasika together in a body. kusalaㆍakusalaㆍavyakrta are examples of the citta and the caitasika. vedanaㆍcetanaㆍsamjna ㆍchandaㆍsparsaㆍprajnaㆍsmrtiㆍmanaskaraㆍadhimoksaㆍsamadhi these ten can be found in the AKBh. However the Yogacara School is commonly separated into sarvatraga caitasika and viniyata caitasika. sarvatraga caitasika is manaskaraㆍsparsaㆍvedanaㆍsamjnaㆍcetana and viniyata caitasika is chandaㆍadhimoksaㆍsmrtiㆍsamadhiㆍprajna. These all show completely difference in relation to vijnana. Sarvatraga means that it corresponds and works with any of the eight consciousness. Caitasika, one of the explained above, relates with the eight consciousness in terms of kusala, akusala and that is can happen anywhere and whenever. Hence, sarvatraga is canitasika which fullfills these four standards. Viniyata means that it only applies to certain objects. Chanda, one of caitasika, is desire and a part of virya. adhimoksa is the object of clear cognition, smrti is the object of the past, samadhi and prajna occurs only through deep meditation. These can occur through any of the kusala, akusala and avykrta. However they do not suddenly occur and do not function together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y only fulfill sarvatra and sarvabhumi out of the four standards. According to the Sthaviravada, cognition created from the association between vijnana and mahabhumika is the factor for psychological symptom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Yogacara School, the current state of mind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layavijnana is emphasized and bases everything on sarvatraga caitasika, We can conclude that states of mind moves on to anotherstate from psychological effects. Yogacara School emphasizes the active individuality and examines the hidden mental instincts of humans.

      • 팀 기반학습에서 개념명료화시험 교수전략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윤옥한(Yoon, Ok-Han),이윤옥(Lee, Yoon-O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에서 개념명료화시험(Concept Clarification Test: CCT) 교수전략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K대학 교육사회학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6차시의 CCT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은 강의식 수업을 6차시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 2는 강의와 토의식 병행수업을 6차시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CT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1, 2 보다 학업성취도 점수가 향상되었고(p<.05), CCT 교수전략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업흥미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CCT 교수전략이 통계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적인 측면에서 설문평가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에서 실시한 CCT교수전략이 통제집단 1,2보다 수업흥미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cept Clarification Test(CCT) instructional strategy in Team Based Learning(TBL). Students from the social education depart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CCT was processed 6 times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led group 1 takes classes with lecture method instruction 6 times and controlled group 2 takes classes with lecture and seminar 6 times. There are two results concluded by this study. Firstly, academic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involved in CCT was more improved than the controlled group 1 and 2(p<.05). It shows that CC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academic ability. Secondly, in the matter of students" interest to the subject, it is shown that CCT has no effect statistically compared by the controlled group 1 and 2. However, it was indicated that interest to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al group taking CCT was higher than the controlled group 1 and 2"s interest to the subject in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대학교 신입생 대상 진로교육 교과목 운영의 효과

        의용(Eui-Yong Lee),이윤옥(Yun-Oug Lee),윤옥한(Ok-Han Yo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인생설계와 진로’라는 진로교육 교과목을 운영한 후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신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K대학교 1학년 이공계 학생 중 ‘인생설계와 진로’를 수강하는 학생은 실험집단(38명)으로, 기타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1학년 학생은 통제집단(37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진로교육 교과목인 ‘인생설계와 진로’ 수업을 받았으며, 통제집단은 다른 교양과목을 수강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검사, 진로신념검사, 삶의 만족도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교육 교과목 수강여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신념,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진로교육 교과목인 ‘인생설계와 진로’를 대학교 신입생에게 적용한 수업은 대학생에게 진로결정, 진로신념, 삶의 만족도 등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 college career course (‘Life Design and Career’)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belief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contents of curriculum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38 college students, attended ‘Life Design and Career’, and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37 college students, attended another liberal art lecture. To test the effects of the college career course, this study used a career self-efficacy scale, career beliefs scale, career beliefs and life satisfaction.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show that career self-efficacy, career beliefs, and life satisfaction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depends on attending a college career cours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base data of college career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