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슬로의 인간 동기론을 통한 주거공간 변화 연구

        이윤서(Lee, Yoonseo),유아람(You, Aram),김광현(Kim, Kwang-Hyun) 대한건축학회 20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1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residential space elements based on hierarchy of needs from Maslow"s motivation theory, and to analyze residential space changes of Korean public apartment. This research selected 25 public apartment housings by data(Plan, Area and Price) availability and PIR value(3~6). PIR value is used to select similar level of housings. This research used literature review to draw residential space elements and used descriptive analysis to analyze residential space changes. Residential space elements based on hierarchy of needs are as follows. At least 1 room, form of kitchen and relationship between kitchen & bath room are related with physiological needs. Second, structural safety, heating system, material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re related with needs of safety. Third, proportion & independency of living room, relationship between kitchen & living room and total area of house are related with needs of belongings. Fourth, number of rooms & bays, hierarchy of main room and openness of rooms are related with needs of self-esteem. Fifth, connectivity of private space with other spaces is related with needs of self-actualiz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sidential space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til "60s, needs of safety came before physiological needs in residential space. Second, rain-proof roof for needs of safety was introduced in 1955. Third, role of living room was uncertain in the early stage of introducing apartment in Korea. After then, proportion of living room increased till "90s, and decreased after "90s. Fourth, room to living room ratio steadily increased till "90s. Fifth, individual storage and balcony for self-actualization were planned only "50s.

      • 교육시설 내 거주 개념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이윤서(Lee, Yoonseo),유아람(Yoo, Aram)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tuation of domestic case in educational space and to derive the improvement plan with elucidating the definition of dwelling and the applicable scope in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introduce the concept of dwelling in domestic educational facilities, first, space should be planned to support continuity of students" behavior in classroom and connecting space which are main learning activity space. Second, the library should be designed as an open library so that students can autonomously find their knowledge and contribute to the reproduction activities during the class or non-class times, by manually setting the function of book borrowing and returning for a fixed period of time as the minimum function of the library itself. Third, it should be planned that the space where the main users of the school together wi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support the activity for themselves - directed purpose as a learning community can serve as the base of the group of the classrooms. Fourth, with space closed by walls, it should be planned to enable interaction through visual participation. School facilities should provide a rich learning experience from road entry to classroom, and should be designed so that learning takes place everywhere. Eventually, the entire site should serve as an educational tool. As a result, we propose that rather than realizing the concept of dwelling only for a single space or an affiliated facility, the entire school should be created as an integrated one for dwelling.

      • UWB 기반 실내 내비게이션 앱 개발

        유현우 ( Hyunwoo You ),이정균 ( Jungkyun Lee ),남소미 ( Somi Nam ),이주연 ( Juyeon Lee ),이윤서 ( Yoonseo Lee ),김민성 ( Minsung Kim ),이영찬 ( Youngchan Lee ),민홍 ( Hong M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실내 내비게이션 기술은 시설물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방문자의 길 안내뿐만 아니라 무인 이동체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UWB 기술을 활용하여 타깃 영역 안에서의 좌표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길 안내를 해주는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앱은 보정 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실제 위치와 지도 위에 표시되는 위치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 KCI등재

        업무상 재해의 상당인과관계 증명책임 완화에 대한 검토 및 제언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조윤익 ( Yoonik Zoh ),문성준 ( Seongjun Moon ),이윤서 ( Yoonseo Lee ),김예진 ( Yejin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고려법학 Vol.0 No.99

        우리나라의 산업재해보상절차는 재해를 입은 근로자에게 오히려 더욱 무거운 고통을 안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현행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보험법’)이 사업주 측에 증거와 자료가 편중되어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업무와 재해 간 ‘상당인과관계’ 및 시간적·의학적 인과관계의 증명책임을 사업주나 공단이 아닌 근로자에게 부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업무상 재해의 증명책임 전환 이론의 한계를 살핀 다음,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이론과 관련 판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간 국회의 개정논의가 좌절된 이유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증명책임 완화 이론의 학문적인 성과를 반영하고 해외사례에서 시사점을 얻은 개정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검토 결과 증명책임의 전환 이론은 법적 안정성 침해, 근로자 측의 남소가능성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증명책임의 완화 이론에는 개연성 이론, 간접반증 이론, 증명방해 법리가 있는데 이 중 개연성 이론은 입증의 정도를 종전의 판례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낮추려는 시도를 보였으나, ‘상당한 개연성’의 모호함으로 인해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간접반증 이론은 비교적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정립하려 하였으나, 의학적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없거나 작업장 사용물질을 전혀 모르는 경우 추정이 곤란했다. 증명방해 법리는 경영·영업상의 비밀을 이유로 한 사업주의 자료제출거부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방해행위의 존재를 증명하기가 어렵고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증명책임의 전환은 현실적으로 실현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간 우리 국회에서는 산재보험법 제37조를 증명책임의 전환 내지는 실질적으로 전환과 같은 효과가 있는 분배규정으로 개정하려는 시도만 이루어졌다. 결국 해당 개정안들은 사업주의 면책증명 촉진, 산재예방 의욕 및 유인의 부재, 보험급여 비용의 현저한 증가 등의 문제점들을 지적받은 채 임기만료로 폐기되었다. 이에 본고는 민사소송법상의 증명책임 분배원칙을 기초로 하여 원고인 근로자가 우선적인 증명을 부담하되, 증명책임 완화 이론과 주요 국가들의 입법례를 반영하여 그 증명의 정도를 낮추는 산재보험법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독일과 스웨덴의 입법례와 미국의 판례 경향은 국내 다수의 판례에서 통용되는 개연성 이론과 합치하며, 근로자와 공단 모두에게 규범적으로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본고는 새로운 산재보험법 개정안에서 ‘상당인과관계’를 삭제하는 대신, 업무와 재해 간 인과관계 추정을 위한 구체적 요건을 정형화하여 기존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질적으로 증명 곤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증명방해 법리를 적용하여 사업주의 정보제공의무에 관한 조항을 마련함과 동시에, 사업주가 정보제공 의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징수하도록 함으로써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물론 입법화라는 방법론적 특성상 위 제언만으로는 개별적인 사안에서 근로자의 권익을 완전하게 보호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법률은 판례 경향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기반이 된다는 점과 증명책임 완화 개정안 외에도 역학적 인과관계론, 안전배려의무와 같은 실무적 적용방안과 보충법리를 추가로 살펴 결함을 보완할 방도를 찾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이 업무상 재해의 상당인과관계 증명책임 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증명책임 부담을 덜어주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industrial accident lawsuits, workers are entirely responsible for proving the causality between the accident and their work, based on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the “IACIA”). For this reason, this paper review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heories regarding conversion and mitigation of the burden of proof. Also, this study analyzed why the previous amendments to the IACIA discussed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were frustrated. Lastly, we proposed a new amendment to the IACIA, refl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heories on the mitigation of the burden of proof and referring to foreign cases. By examining the theory on conversion of the burden of proof, it turns out to have some problems such as infringement of legal stability and the lawsuit abuse. However, despite the practical difficulty in converting the burden of proof, discussion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was mainly focused on its conversion. On the other hand, theories regarding the mitigation of the burden of proof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 scholars: Probability Theory, Indirect Rebuttal Theory, and Theory of Spoliation of Evidence. Each theories, however, also have limitations so that they are insufficient to help victims in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amendment to the IACIA, mitigating the worker’s burden of proof. Considering existing theories, precedents in Korea and foreign legislation, the proposed amendment formalized specific requirements for estimating the ‘considerable probability’ and suggested provisions concerning the obligation of employ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victims with charging a fine for negligenc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This study’s point lies in the sense that it has tried to find a way to combine precedents with existing theories and foreign legislation. This articl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itigation of the burden of proof and ultimately lessen the victim’s burden of pro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