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간이역 유휴공간의 공공적 활용 연구

        이유빈 ( Lee Yubin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유휴공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은 증대하고 있으나 시설물들이나 부동산에 대한 관점에서만 접근하고 있어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활용방안들이 미흡하다. 유휴공간이 기능을 잃고 버려진 건물이라는 일차적 관점에서 벗어나 보면 역사적인 상징성이나 사회 문화적인 의미, 지역사회의 기록 등이 남아있고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성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휴공간은 발전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에서는 지역의 역사·건축·문화적 가치를 가지는 폐간이역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폐간이역을 포함한 폐철도 시설 활용은 대부분 간이역시설 차원에서 소극적인 행태로 이루어지며 지역 재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폐간이역을 대상으로 하여 유휴공간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유휴공간과 폐간이역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배경을 파악하고 향후 활용을 위해 평가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그중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신촌역, 남평역, 원창역, 송정역, 반곡역, 구둔역, 남창역을 대상으로 활용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결과) 대체로 문화적 요소보다는 물리적 요소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신촌역, 송정역, 남창역은 접근성이 높아 물리적 요소 문화적 요소를 합산했을 때 비교적 높은 점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관광 상품화 시킨다면 수익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들은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아 보존성이나 심미성이 보다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철도 관련 부지를 포함한 유휴공간들은 더 이상 방치되거나 철거될 대상이 아닌 용도변경, 개조와 보수 등에 의한 방법으로 활용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이런 구체적인 활용도를 도출하기 위해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국내 폐간이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의 활용도를 연구하였다. 유휴공간의 연구 및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간이역을 대상으로 한 유휴공간 연구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다. 폐간이역 부지는 지역주민에게는 커뮤니티 장소로, 타지역인에게는 기다림과 설렘의 옛 추억의 장소로 심상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활용가치가 더욱 높다. 폐간이역을 문화재로 존중하며 발전을 통해 지역주민들과의 공존 장소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볼거리들의 참여로 지역의 역사와 함께한 폐간이역 공간을 더욱 가치 있게 활용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Social interest in idle space is increasing, but the systematic utilization of idle space is insufficient as it is approaching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facilities and real estate. Moving away from the primary point of view of idle space as a functional and abandoned building, idle space is worth developing because it connects the present and the future based on historical symbolism, socio-cultural meaning, and community record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signates abandoned areas with local historical, architectural, and cultural values as registered cultural assets. In Korea, the use of abandoned railway facilities, including abandoned whistle stops, is mostly passive at the level of temporary facilities, and efforts need to be made to find local regene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n idle space for abandoned whistle stops. (Method) The background is identif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idle space and closed space station and analyzed by evaluation method for future use. Among them, we would like to research the utilization of Sinchon Station, Nampyeong Station, Wonchang Station, Songjeong Station, Bangok Station, Gudun Station, and Namchang Station,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s. (Results) In general, it was evaluated as superior in physical factors rather than cultural factors. Sinchon Station, Songjeong Station, and Namchang Station were relatively high in terms of physical and cultural factors due to their high accessibility, and it is expected to be profitable if tourism is commercialized. Many places with poor accessibility were evaluated as having better preservation and aesthetics because many people visit them. Idle spaces, including railway-related sites, are no longer subject to be neglected or demolished, but need to be used in ways such as repurposed, renovated and repaired.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utilization of physical and cultural elements was studied for domestic abandoned areas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derive such specific utilization. Research and projects on idle spaces are being activated. There is a need to be active in idle space research on abandoned whistle stops. The site of the abandoned station is a community place for local residents and a place of old memories of waiting and excitement for other locals, making it more valuable to use. The abandoned whistle stops should be respected as a cultural asset and used as a place for coexistence with local residents through development, and the abandoned area with the history of the region will be more valuable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attractions.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캐릭터 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이유빈(Yu-Bin Lee),김언군(YANJUN JIN),배기형(Ki-Hyung Ba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캐릭터 산업은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이며,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캐릭터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과 영화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가치 인식의 미미로 인하여 캐릭터 산업의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9년 산업연관표상 기본분류인 403개 산업 중 장난감 및 오락용품(291), 모형 및 장식용품(296) 등 2개 부문을 캐릭터산업으로 한정하고 새로이 캐릭터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여 캐릭터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향후 캐릭터산업의 정책과 전략수립에 일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캐릭터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열 합계 1.602, 행 합계 1.007, 감응도 계수 0.543,로 영향력계수 0.864, 부가가치유발계수 0.620, 소득유발계수 0.334, 생산세유발계수 0.066, 노동유발계수 0.008 등을 보여주고 있다. The character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character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character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the study used the character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o analyze how much the character industry(Toys and games, Models and decorations)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spreading effects of character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he results shows that character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column 1.602, row 1.007,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543,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864, value-added coefficient is 0.620,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is 0.334, tax inducement coefficient is 0.066,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s 0.008.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비교과 상담실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유빈(Lee, Yu-Bin),조유정(Jo, Yu-Jeong),김세림(Kim, Se-Rim),조항(Jo, Hang) 한국교육치료학회 2023 교육치료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공 학부생들이 경험하는 비교과 상담실습의 중심현상은 무엇인지, 비교과 상담실습 과정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비교과 상담실습을 1년 이내에 경험하고 4시간 이상 참여한 상담전공 학부생 21명을 인터뷰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심현상으로는 ‘멘토가 실습에서 온전히 주체가 되어 이끌어 감’, ‘처음 맞닥뜨린 상담 현장에서 갈피를 잡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에는 ‘비교과 상담실습을 경험하고자 하는 동기가 생성됨’, ‘체계가 부족한 실습환경을 마주함’, ‘상담지식 부족 및 상담역량에 대한 낮은 효능감을 느낌’이 포함되었다. 또한,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실습환경이 있음’, ‘개인적인 관계 네트워크를 활용함’의 중재적 조건에서 ‘나-너 관계로 점차 발전해나감’, ‘상담을 몸소 체득하며 배워나감’의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상담실습 경험에 대한 동기와 흥미가 상승함’, ‘진로에 대한 방향성이 넓어지고 확신이 생김’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entral phenomenon and the process of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among counseling undergraduates. We interviewed 21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within a year and participated in it for more than 4 hours, and analyzed the data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Central phenomena were “leading fully as the subject of practice,” and “being at a loss in newly experienced counseling sessions.” The causal and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 “creation of motiv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lack of systematic practice environment,” and “lack of counsel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Finally, the results of the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were “increased motivation and interest in counseling practice” and “expanded career options and increased confidence”, which were derived through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of “various supportive environments” and “personal networks” and the actions/interactions of “gradually developing into an I-Thou relationship” and “experientially learning counseling.”

      • KCI등재

        알루미늄 블랙드로스로부터 유가자원 회수를 위한 재활용 공정 연구

        유빈,임병용,김대근,이찬기,안병두,김용환,이만승,Kang, Yubin,Im, Byoungyong,Kim, Dae-Guen,Lee, Chan Gi,Ahn, Byung-Doo,Kim, Yong Hwan,Lee, Man Se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8 資源 리싸이클링 Vol.27 No.5

        알루미늄 드로스는 알루미늄 용해 공정에서 용탕 표면에 발생하는 산화물 덩어리로서, Salt 유무에 따라 화이트드로스와 블랙드로스로 구분된다. 화이트드로스의 경우 금속 함량이 높아 용해 공정으로 재활용 되지만, 블랙드로스는 금속 함량이 낮고 성분 분리가 어려워 대부분 매립 처리되며, 물과 반응하면 가스와 발열 반응이 일어나 토양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블랙드로스에는 NaCl과 KCl과 같은 Salt 성분과, $Al_2O_3$, MgO와 같은 무기소재가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유가자원을 회수하고 소재화하는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블랙드로스를 재활용하기 위한 공정을 제시하였다. 파쇄-용해(Dissolution)-고액분리-감압증발을 거치는 공정을 통하여 블랙드로스에 존재하는 무기물과 용해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물과 블랙드로스 함량을 제어하여 조건에 따라 분리물의 회수율을 최적화하였으며, 블랙드로스:물 비율이 1:9 일 때 91 wt.%의 Salt flux 회수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회수된 무기물을 이용한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통하여 블랙드로스의 소재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