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갈등 관리에 대한 화용적 연구

        이유미(Yi, Yu-mi)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안에 나타난 권력의 구도와 갈등 해소 양상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과 비다문화 가정의 권력의 구도를 정밀하게 고민하고 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다문화 가정이 비다문화 가정에 비하여 갖는 권력의 구도 차이는 현대의 결혼 풍속도와 다르게 남편의 나이가 상당히 많은 연령상의 권력 구도의 불균형성, 그리고 문화적 거리감으로 인한 권력 구도의 불균형성, 무엇보다 경제적인 종속성으로 인한 권력 구도의 불균형성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물론 이것이 비다문화 가정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모습일 수 있지만 다문화 가정에서 좀 더 전형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중요한 특징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문화 가정의 권력 불균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서로의 스키마 확장이 필요한데, 다문화 가정의 경우 언어적 문제로 인한 스키마 확장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리고 특히 고부 간의 갈등 측면에서 EBS ‘다문화 고부열전’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 가정의 고부가 화해하는 방법으로 서로의 문화적 거리감을 좁히는 여행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사실상 이러한 프로그램이 서로의 환경을 이해하고 그를 통해 새로운 가족이 되어 가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권력 구도에서 살펴보았듯 사실상 국가적, 문화적 거리감은 다문화 가족 내 관계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좀 더 궁극적인 지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부와 부부가 가지고 있는 권력 구도의 문제, 경제적 권력 구도의 문제에 대해서도 점차 확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features of power frames and conflict resolutions that are observed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referred to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ook the closest look at the power frame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non-multi-cultural families as part of its comparison research.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the power frames of those two families, the power fram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eemed to go against marriage trends of these times in South Korea, and the husbands’ being much older than wive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s caused the imbalance in the power frame of those families. In addition, not only the cultural difference but also this economic dependency was determin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bring about the imbalance in the power fram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understands that even the non-multi-cultural families have every possibility to experience the imbalance in the power frame but still, the study confirmed that traditionally,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more vulnerable to this kind of imbalance. Add to that, as far as the study believes, in order to resolve the imbalance of the power in a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of such family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expand a schema that would help them with their smooth communications. However, in cas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language barrier makes it harder for them to expand the schema. That is why this study argues for the weigh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 study is also aware of a fact that even though the language barrier is resolved,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still find it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ir cultural differences, and that is the biggest hurdle which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suffering from.

      • KCI등재

        골관절염 노인의 운동지속 경험

        이유미(Yi, Yu Mi),박연환(Park, Yeon Hwan)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18 근관절건강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exercise maintenance in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A). Method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9 older adults with OA who have been exercising for more than six months. Results: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changing exercise in life’s journey (exercise maintained by self and family affection, exercise maintained by social networking expansion, exercise changing for function and body-image and exercise changing for economic efficiency) and the exercise pervaded into the life (Exercise used as a side effect-free treatment, exercise internalized by will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xercise become daily routine habits). Conclusion: Despite the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aging and OA, participants made exercise a part of their lives by changing it to fit their own functions, abilities and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overall situation and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and exercise based on the theory as well as the individual’s overall fitness and limitations.

      • KCI등재

        한국인 20대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유형 인식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유미(Yi Yumi),김양지(Kim Yangjee)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20대 대학생이 생각하는 각 유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한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데 있어서 드러내는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Norton,1978:99)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의 커뮤케이션 스타일은 단순히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는 차원의 역량적 측면이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이미지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Norton(1983)과 Rubin & Martin(1994)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20대 대학생이 인식하는 10개의 유형이 어떤 의미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y the meaning of each type to Korea’s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findings. Communication style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one shows while communicating (Norton,1978:99). Communication style, as a comprehensive concept, is not only about competence, aspect of communication skills, but about an aspect of images understood verbally and non-verbally through communication. Therefore, communication style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ies the meaning of the ten typ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review of Norton (1983) and Rubin & Martin (1994).

      • KCI등재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성향과의 관련성 연구

        이유미(Yi, Yu-mi)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성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인의사소통능력, 자기복잡성, 의사소통 불안, 자기 부정성에 대한 척도지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대상 학생은 의사소통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4가지의 척도지를 동일 대상에게 설문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복잡성에 있어서 유관한 결과를 얻었고, 의사소통 불안과 자기 부정성에 있어서도 유관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불안, 자기 부정성과는 유관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는 자기 복잡성에 대한 관련 연구에서 대인 능력과 유관한 결과를 얻는 것을 지지한다. 또한, 자신에 대해 엄격한 자기 부정성이 의사소통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의의있는 결과라 하겠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의 대인의사소통 능력 요인을 탐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대인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요인을 탐구하는 데 있어 의미를 갖는다. 또한 대인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이것을 개선하고 좀 더 원활한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대인의사소통 능력이라는 것이 단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교육 가능한 부분임을 인지하기에 이러한 연구는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A total of 50 college students attending communication course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ccording to for the four measurement indic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complexit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negation. The survey’s results reveal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complexity, in addition to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elf-negation.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found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or self-negation. This finding corroborates the fact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complexity i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s finding that self-negation, or being strict with oneself, affec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is also significant.

      • 프레젠테이션 교육에 관한 연구 양상 고찰

        이유미(Yi, Yu-mi)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6 교양학연구 Vol.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researches for educating presentation which is an essential expressive ability in modern society. As one of the important abilities to survive in modern society, presentation is not only an ability combined with speaking and writing competences as an expressive competence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s, but also a competence that can fully show the application of advanced equipments in the 21st century. Thus, many colleges are opening courses related to cultivating presentation abilities. With this trend, there have been diverse studies on prese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presentation by considering all the researches in the educational level among researches on presentation. It examined researches on educational methodology regarding general presentation instead of college education, and also examined methods to educate/evaluate presentation in college libe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researches for presentation education as college liberal education.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매체 사용 습관이 비대면 수업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멍한’ 정서와 관계 지각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유미 ( Yi Yumi Moon ),문혜진 ( Rosemary Hyejin ) 한국화법학회 2021 화법연구 Vol.- No.5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untact classes using virtual communication platfor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study, class effectiveness i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untact classes feel the same as face-to-face classe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of untact classes, we tested the effects of learners’ traits, including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usage habi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eir emotional experience of numbness during class hours.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a learner perceives the relationship with a professor and other students the same as that in the face-to-face classes was measured. The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classes, mediated by numbness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students. This study showed that an effective operation of untact classe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future paradigm in education, requires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learners as well as th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AI 리터러시 개념 설정과 교양교육 설계를 위한 연구

        이유미(Yi, Yumi),박윤수(Park, Younsoo)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2016년 세계경제 포럼에서 Klaus Schwab이 4차 산업혁명을 언급한 이래로 AI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아닌 우리 삶의 많은 부분과 연관된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더욱이 2020년 전 세계를 멈추게 한 COVID19는 AI 기술을 삶 속으로 더 빠르게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속에서 앞으로의 삶을 만들어갈 대학생에게 있어 AI 교육은 단지 기술적 측면의 교육이 아닌 삶을 계획하고 디자인하는 데 중요한 대상이다. 이에 교양교육 안에서 AI 교육을 통합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AI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AI 교양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AI 리터러시의 개념을 기존 리터러시 이론을 통해 정리하였다. 또한, 현재 다양한 대학 사업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AI 관련 대학 교육 현황을 정리하여, AI 리터러시 교양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는 교양교육이 가진 융합적 교육 특성과 연계하여 새로운 시대 교육을 위한 시도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Ever since Klaus Schwab’s speech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2016 World Economic Forum,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not only become a core branch of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but has also become an integral technology in many aspects of our lives. The COVID-19 pandemic of 2020, which has brought the entire world to a screeching halt, has further enmeshed AI technology into daily life. For college students building their future careers amidst such changes, AI is no longer a mere subject in technical education but a key element in planning and designing their liv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I literacy program that integrates AI-related education into the humanities curriculum. This study first establishes a definition of AI literacy based on existing literacy theories to design a program integrating AI and humanities education. The study also arrives at further insights into this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sign by reviewing currently available AI-related university education facilitated through various projec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its attempt to design a program for the AI era in combina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 KCI우수등재

        인문콘텐츠의 확장을 위한 인공지능인문학 시론(試論)

        이유미(Yi, Yu-Mi)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라 일컬어지는 인공지능 시대에 새로운 인문학의 한 영역으로 정의하는 인공지능인문학이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발전한 인문학의 새로운 학문 영역인 인공지능인문학은 인문콘텐츠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문콘텐츠가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20년 가까이 발전해 온 인문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해 콘텐츠,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를 키워드로 발간된 논문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인문콘텐츠의 정의를 확인하였다. 인문학 본연의 정신을 기술에 담아 새로운 형태의 인문학을 정의해 내고자 노력한 학문인 인문콘텐츠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인문학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인문학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방법론적 변화를 통해 나타난 학문 영역인 문화콘텐츠와 인문콘텐츠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인문학의 분야로는 인공지능 관계 · 소통학, 인공지능 데이터 해석학, 인공지능 기술 · 비평학, 인공지능 윤리 · 규범학, 인공지능 사회 · 문화학이 있다. 이들 학문은 결국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이해하고 진단하며,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AI 리터러시의 특징을 갖는다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umanities, which is a novel field defined as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AI, or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contents and AI humanities, which is a new discipline of humanities 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advances. AI humanities is seen as the expansion of the humanities-a set of disciplines that explores the human nature-in terms of cultural and humanities contents through the academic disciplines created through changes in methodologies. The field of AI humanities includes AI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I data analysis, AI technology criticism, AI ethics and norms, and AI sociology and culture studies. These academic fields fall within the realm of AI literacy, and they aim to understand and diagnose the era of AI, in addition to predicting the future, by studying and utilizing AI.

      • KCI등재

        혼잣말과 자기복잡성, 대인의사소통 능력의 관련성 연구

        이유미 ( Yi Yumi )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of self-talk, self-complexi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e predicted that self-reflection and analysis through self-talk will affect cognitive development. Self-complexity, the skill that makes one`s perception of his or her role more complex, is estimated to help understanding one`s own role as well as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interrelation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and confirm the route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A survey was created and conducted on 151 university students. Thes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rant uniformity to the survey methods because they are self-reflecting questions. Considering the role of oneself and others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talk standards and self-complexity questionnaires that recognize one`s own role have been used. Results showed an interrelation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and confirmed that self-talk directly affect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mplexity. Thus, this paper confirmed the routes among the three capabilities of self-talk, self-complexi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 의사소통 특징 연구

        이유미(Yu-mi Y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 부부의 의사소통 특징을 조하리의창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부부가 안고 있는 문제는 일반부부의 문제와는 다른 양상을 지니고 있다. 이 가운데 의사소통의 문제로 인한 어려움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여성 결혼이민자 본인과 배우자의 조하리의 창을 비교하고 각각의 세부적인 답변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적으로 살펴 볼 때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의 의사소통의 창은 결혼 기간이 길수록 부부간의 소통이 증가하고 자기 노출이 많다고 평가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어 능력과는 좀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어 능력이 높아질수록 좀 더 정확한 평가가 내려지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혼기간과 피드백 수용정도는 결혼 기간이 짧을수록 배우자는 여성 결혼이민자인 부인이 피드백을 잘 수용하지 않는다고 본 반면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부인이 배우자인 자신의 말을 더 잘 수용한다고 보고 있다. 주제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자아 노출이나 피드백 모두에 있어서 긍정적인 메시지의 노출과 수용 정도가 가장 높았고, 비교적으로 자기 신념이 노출 빈도가 높았으나 수용에 있어서는 부정적 메시지의 수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 about communication type of married immigrant couple, using the Johari window. The number of married immigrant couples shows increasing trend and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the problem of married immigrant couples and that of normal husband and wife. I compare wife’s and husband’s Johari window and detail answ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problem. As a result, the Johari window of a married immigrant couple show that the couples has longer communication time and do more self-disclosure according to their length of marriage period. This study result show that the husbands think that their immigrant wives hardly accept some feed-back form them when their marriage period is short or their wives’ Korean language is poor, but they also think that their immigrant wives easily accept some feed-back when their marriage period is long or their wives’ Korean language is good. Analysis in Johari window question topic, affirmative message have high score in both self-disclosure and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