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죄와 고백: 초기 한국 개신교 의례를 중심으로

        이유나 한국평화종교학회 2019 평화와 종교 Vol.0 No.7

        This paper analyzes the Confessions in Korean Protestant rituals and seeks to characterize them. Confessions are characterized by utterances, not monologues, which are best captured in rituals. Because the ritual is made by the participants’ gestures, we have noted how the rituals are structured. First of all, after confirming the grammar of confessions emerging from various rites of early Protestant churches, we examined the ritualization of ‘Pyongyang Great Revival’. We looked at various sensory elements such as sermons, hymns, and prayers that made confessions possible and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making confessions. Pyongyang revival was often explained and memorized in the biblical image of the Holy Spirit’s presence or Pentecost. The confessions that the believers had actively performed are at the center. The evaluation of the “true” confession of the ritual practitioners meant the success of the rituals, which was interpreted as the “enthusiasm” of the actions of the ritual participants. 이 글은 한국 초기 개신교 의례에서 나타난 고백을 분석하고 그 성격을 파악하고자 한다. 고백은 독백이 아닌 발화라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의례에서 가장 잘 포착된다. 의례는 참여자의 몸짓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의례가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초기 개신교의 다양한 의례에서 등장하는 고백의 문법을 확인한 후, ‘평양 대부흥’의 의례화를 살펴보았다. 고백을 가능하게 하는 설교, 찬송, 기도 등의 여러 감각적인 요소들을 살피고 고백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주목했다. 평양 대부흥은 흔히 성령의 임재나 오순절 등의 성서적 이미지로 설명되고 기억되는데, 신자들이 적극적으로 수행한 고백이 중심에 있었다. ‘진정한’ 고백에 관한 평가는 연출된 의례의 성공을 의미했으며, 이는 의례 참여자들이 빚어낸 행위의 ‘열심’을 해석한 것이었다.

      • KCI등재

        도덕성 수준과 정신적 오염이 정화욕구 증가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이장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6

        본 연구는 신체적 오염 없이 마음이 더럽혀졌다고 느끼는 정신적 오염을 경험할 때, 개인의 도덕성 수준에 따라 정화욕구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덕성 수준에 따라 높은 도덕성 집단과 낮은 도덕성 집단으로 선별하였고, 정신적 오염을 유발하는 비윤리적 행위 회상조건(처치집단)과 윤리적 행위 회상조건(통제집단)에 각각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참가자에게 과거 자신이 수행한 비윤리적 행위 또는 윤리적 행위를 회상하여 구체적인 기억과 감정을 적게 한 후 청결물건과 중립물건 사진을 제시하여 가치(선호도)를 평가하고, 실제 청결물건과 중립물건 중 한 가지를 선택하게 하여 정화욕구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윤리적 행위 회상조건에서 높은 도덕성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청결물건에 대한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청결물건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비윤리적 행위 회상조건에서 높은 도덕성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청결물건을 더 많이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정신적 오염을 느낄 때, 도덕성 수준이 높을수록 정화욕구를 더 크게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체화된 인지이론에 도덕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rality level and mental contamination on a desire to clean.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high and low morality group by Korean-defining issues test (K-DIT) score. They were assigned to unethical events recall condition and ethical events recall condition randomly. Participants instructed to write the unethical/ethical events they recalled (for 10 minutes) in detail, assess the desirability of cleansing and neutral products and choose the one of cleansing and neutral products. As a results, high morality group assessed the desirability of cleansing products highly than low morality group in the unethical recall condition. Also, high morality group chose the cleansing products more than low morality group in the unethical recall condition. These results show that a desire to clean increase when they feel contaminated mentally without physical contact with a contamina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morality is importa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contamination and the desire to clean.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이야기 쓰기 활동 분석

        이유나,고정화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8 No.1

        수학적 의사소통의 가치와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수학교육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이 점점 강 화되었다. 구어적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문어적 의사소통 중 표현하기 방식인 쓰기 활동 역시 강조되고 있다. 한편,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개념을 자연스럽고 쉽게 학 습하도록 스토리텔링 방법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이야기에 친숙 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 기에 초점을 맞추어 쓰기 활동 수준을 분석하고 이야기 쓰기 활동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 펴보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A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was recogniz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more and more. Written communication as well as verbal communication i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storytelling is introduced for elementary students to learn mathematical concept more naturally and easil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o, we noticed that they are familiar with stor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story writing activity levels with a focus on story writing, and how to think about it. And we offer some suggestions about mathematical story writing activity.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팀 활동에서 팀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분석 – 게더타운(Gather Town)을 활용하여-

        이유나,김진아,이수지,김은영,이상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메타버스인 게더타운을 활용한 팀 활동에서 팀 응집성, 팀 공유정신모형, 팀 의사소통이 팀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대학교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직과목을 수강자 31명을 대상으로 팀 신뢰, 팀 응집력, 팀 공유정신모형, 팀 의사소통, 팀 효능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팀 응집성, 팀 공유정신모형, 팀 의사소통은 독립변인, 팀 효능감은 매개변인, 팀 신뢰는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각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팀 신뢰, 팀 응집성, 팀 공유정신모형, 팀 의사소통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응집성, 팀 공유정신모형은 팀 신뢰에 팀 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 효능감은 팀 응집성과 팀 공유정신모형과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반면에 팀 의사소통은 팀 효능감과 팀 신뢰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팀 응집성, 팀 공유정신모형, 팀 효능감은 게더타운을 활용한 팀 활동에서 팀 신뢰를 높이는 데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발표상황에서 발표자의 비언어적 요소가 발표자의이미지 평가 및 메시지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08 한국소통학보 Vol.10 No.-

        발표(presentation) 상황에서 발표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청중으로 하여금 그 발표자의 능력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청중의 메시지 인지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시각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로 나누어 이들 요소들이 발표자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 및 발표자가 전하는 메시지의 인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연구결과 발표자의 시각적·음성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는 호감도와 신뢰도로 구성된 이미지 평가 및 메시지 인지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호감도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음성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인지도에는 음성적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영향을 미쳤으며, 발표자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오히려 메시지 전달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esenter’s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influence the evaluation of the speaker’s image and message-retention by the audience. We manipu-lated the presenter’s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which are con-sisted of visual and vocal aspects. We created two presentation conditions. In the first one, the presenter demonstrated an excellent visu-al and vocal elements, whereas in the second one, the presenter per-formed a poor visual and vocal elements. Then, We mixed the two sit-uations to create the third and four conditions by dubbing technique. That is, in the third one, the presenter demonstrated excellent visual ele-ments with poor vocal elements whereas in the fourth one, the presenter demonstrated excellent vocal elements with poor visual elements. After confirming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successfully manipu-lated as we had intended, we assigned 35 subjects to each condition.Results show that the visual and vocal communication elements in-fluenced the presenter’s image differently. The visual elements influ-enced the affection for the presenter whereas the vocal elements influ-enced the credibility of the presenter. Finally, the vocal elements influ-enced the message retention whereas the visual elements inhibited the audience members’ message reten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