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아세안 소지역(sub-region) 협력 거버넌스: 메콩 유역을 중심으로

        이요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2 東南亞硏究 Vol.32 No.2

        This study sees that the driving force of Mekong cooperative governance brings from the fundamental diplomatic strategy. Governance of cooperation with the Mekong River Basin(MRB) from the perspective of major countries starts from a balanced approach that seeks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target state while increasing its diplomatic influence and national interest. Comparing the Mekong governance of major countries provides very useful implications for Korea's Mekong cooperative governance as well as analyzing the approaches and goals of major countries. The importance of the MRB's geopolitical value and the expansion of its economic scal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ROK's governance of cooperation with the Mekong. Rela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which started with the Mekong-ROK Ministers’ Meeting in 2011, reached a turning point in 2019 with the first summit between the ROK and the Mekong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achieved so far by examining in detail the concrete implementation of governance as well as expansion of economic relations in relation to Mekong-ROK cooperation. Finall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Korea should improve cooperation with the MRB, a sub-region of ASEAN, among major countries' cooperative governance. 본 연구는 미국·중국·일본-메콩 협력 거버넌스의 동력이 메콩 그 자체의 가치보다 근원적인 거시적 외교 전략에서 출발한다고 보았다. 역외국의 시각에서 메콩과의 협력 거버넌스는 자국의 외교적 영향력과 국익을 증대하는 동시에, 대상국(target state)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균형적 접근에서 출발한다. 주요국의 메콩 거버넌스를 비교하는 것은 역외국의 접근 방법과 목표를 분석함은 물론 한국의 메콩 협력 거버넌스에 매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RB의 지정학적 가치의 중요성과 경제 규모의 확대는 한국의 대 메콩 협력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1년 한·메콩장관회의(Mekong-ROK Ministers’ Meeting)로 시작한 양 지역 관계는 2019년 한국과 메콩의 최초의 정상회담을 통해 전환점을 맞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메콩 협력과 관련해 거버넌스의 강화, 경제관계의 확대와 더불어 거버넌스의 구체적 이행 등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현재까지 거둔 성과와 향후 과제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이 아세안의 소지역인 MRB에 대해 주요국의 협력 거버넌스의 틈바구니에서 어떻게 협력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인지를 찾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라오스 2019:메콩 내륙국가에서 연계국가로의 전환

        이요한 한국동남아학회 2020 동남아시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한국 내 학문적 소외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라오스의 2019년 정치․경제․외교적 변화를 살펴보고 한국과 라오스의 협력 현황을 정리하였다. 라오스 국내 정치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반(反)정부 인사의 실종과 소수 행동가의 지속적인 저항을 다루었으며 메콩 주변국과의 국경협력을 강화한 것과 러시아와의 첫 공동군사훈련이 갖는 의의에 관해 서술했다. 라오스는 메콩 유역의 26%, 메콩 유수량의 35%를 차지하는 지정학적으로 중심이 되는 국가이다. 최근 메콩 협력이 공식화되고 GMS(Greater Mekong Subregion)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연계성이 강화되자 라오스의 지정학적 가치는 더욱 높아졌다. 특히 국내적으로 본류의 제1호, 2호 댐인 싸야부리 댐과 돈사홍 댐이 완공되고 전력생산이 시작된 전환이 되는 한 해였다. 한국 역시 메콩 협력에 있어서 라오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2019년 9월 문재인 대통령의 라오스 방문 때 한-메콩 협력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2019년 11월 메콩 정상회의를 통해서 한-메콩 간의 협력 관계를 격상시킴으로써 한국과 라오스의 협력 역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라오스와의 협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개발과 환경의 균형이다. 메콩강은 아마존강에 이어 세계 2위의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지만, 현재 국가·기업·국제기구의 시각은 개발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얻는데 치우쳐 있다. 2019년 메콩강 수위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환경파괴로 인한 위기감은 고조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2018년 라오스에서 발생한 수력댐 붕괴로 인해 개발 위주 사업의 폐해와 부작용을 직접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개발과 경제 논리에 편향된 협력보다는 메콩강의 생태계 관리와 보호, 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의 공유 문제 등에 관해 관심을 두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Oseltamivir 내성 대유행 인플루엔자(H1N1 2009) 1예

        이요한,김현수,어영,김영근,김보라,정호연,김우택,이화중,김효열 대한감염학회 2010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2 No.2

        Oseltamivir is the drug of choice for patients with pandemic influenza (H1N1 2009). However, sporadic cases of oseltamivir resistance have been described worldwide. Up to March 2010, a total of 11 strains (2.2% of tested isolates) of oseltamivirresistant pandemic influenza (H1N1 2009) have been discovered in South Korea. We report a case of 46-year-old man with acute myeloid leukemia in whom an oseltamivir-resistant pandemic (H1N1) 2009 virus was isolated. Despite high dose oseltamivir therapy for 10 days he had persistent symptoms and showed positive results in repeated real-time RT-PCR for pandemic influenza (H1N1 2009) virus from nasopharyngeal specimen. The patient improved eventually after oseltamivir was replaced by zanamivir inhalation.

      • KCI등재

        한국 중소기업의 캄보디아 진출 동기와 경험

        이요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0 東南亞硏究 Vol.20 No.1

        Cambodia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east Asia is one of the nations that currently achieves most dynamic economic growth in the world. Nowadays, through its open-door policy, Cambodian government provides foreign investors ample opportunities for economic reform. Cambodian government has been aware that foreign investments bring the capital, skills and modern system for improving Lao economy and society. Since 2005, Korean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investor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Cambodian investments and became one of the key investors which takes third place at a stretch among foreign investors with total amount bases in Cambodia. This article examines motives why Korean SME investment has been increased rapidly through dividing three kinds of field such as economic, politic and social perspectives. In addition, this examines limitations in Cambodian investment environment by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experiences of Korean SME all the while. Thus it endeavors to approach substantial Cambodian investment environment with a full consideration. And its scrutinizes Southeast Asia phenomenon occurred by Korean SME investment in Cambodia.

      • KCI등재

        수지골 골절 치료의 최신 지견

        이요한,박성훈,이준구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4

        This review focused on the research published to date on the treatment of phalangeal fractures according to the anatomical location of the finger bones, excluding the thumb. In many finger fracture cases, conservative treatment should be prioritized over surgical treatment. The three determinants of surgical treatment are the presence of an intra-articular fracture, the stability of the fracture itself, and the degree of damage to the surrounding soft tissues. Surgical treatment is recommended when bone fragments of 3 mm or more and distal phalanx subluxation are present in the bony mallet finger, and the main surgical treatment is closed reduction and extension block pin fixation. It is essential to pay attention to rotational deformation asf ractures occur proximally. Since intra-articular fractures can cause stiffness and arthritis in the future, a computed tomography scan is recommended to confirm the fracture pattern. These fractures require anatomical reduction of the bone fragments within the joint, and the instability of the joint itself must be corrected. There are no superior surgical treatment methods. It is therefore advantageous for the surgeon to select a surgical method that he is familiar with and confident of performing, considering the fracture itself and various patient-related clinical factors. Nonunion is rare as a complication of a finger fracture, and finger stiffness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Ensuring rapid joint movement as soon as possible can reduce finger stiffness. 본 종설은 무지를 제외한 수지골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골절 치료에 있어 최근까지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지 골절은 많은 경우 수술적 치료보다 보존적 치료를 우선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를 결정할 세 가지 결정 요소로는 관절내 골절 여부, 골절 자체의 안정성, 마지막으로 주변 연부조직의 손상 정도이다. 골성 추지에서 3 mm 이상의 골편과 원위지골 아탈구가동반되었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권하며, 주된 수술적 치료는폐쇄적 정복 및 신전 지연 금속핀 고정 수술이다. 골절이 근위부에 발생할수록 회전 변형에 유의한다. 관절내 골절은 추후 강직과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어, 골절 양상 확인을 위해컴퓨터 단층촬영을 권한다. 관절내 골편의 해부학적 정복을요하며, 관절 자체의 불안정성을 같이 교정해 주어야 한다. 수술적 치료 방법의 우위는 없으며, 술자는 골절 자체와 환자의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본인이 친숙하고 자신 있는 수술적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수지 골절의 합병증으로 불유합은 드물며 수지 강직이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가능한 한빠른 관절운동이 수지 강직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 소나무재선충병과 방제 정책 과제

        이요한,석현덕,구자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

        ◦ 소나무에 치명적인 소나무재선충병이 영남 지역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크게 확산 -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국내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2005년까지 급증하였다가 방제활동이 강화된 2006년 이후 감소하였으나, 2013년에 다시 크게 증가하여 발생면적은 1만 1,550ha에 달함 - 2013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도의 발생면적이 전체 73%를 차지 ◦ 소나무재선충병의 급격한 재확산은 고온 건조한 기상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예찰 · 방제 · 사후관리 등 방제시스템에도 문제가 노출되고 있음 ◦ 현 예산 규모로 방제 사업 물량 감당이 어렵고, 전문 인력과 장비의 부족, 협력네트워크 부재, 국민 공감대 부족으로 방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방제 사업 추진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 ◦ 2014년 3월 28일 현재 전국 평균 방제율은 77.2%이고 신규 고사목도 추가로 발생하는 상황임 - 솔수염하늘소(매개충)가 나무 내에 있는 전년 9월부터 4월까지 피해 고사목을 제거하는 것이 소나무재선충과 매개충을 일시에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나, 2014년 매개충이 우화하기 전에 완전방제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 - 이대로 방제를 완료하지 못하면 금년에는 작년보다 피해가 더 커질 것이 우려됨 ◦ 소나무재선충병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 소나무재선충병이 더 확산되기 전에 방제 예산 및 전담인력 증강 - 선제적인 산림병해충 관리와 효율성 증진을 위해 긴급 자금 지원 제도 도입 - 토지소유형태, 행정구역, 정부 부처 경계를 넘어 통합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 - 목재로서 가치가 있는 피해고사목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강구 - 예산 투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무자 중심의 의사 결정 체계 개발 -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 메커니즘, 감염 및 확산 경로 등에 대한 연구 · 개발 강화 - 국민들이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정책 홍보 강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