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눈사람』과 『고릴라』를 통해본 아동의 놀이 공간: “후기전이 대상,” “잠재적 공간”과 “중간영역”을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 Zun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4 현대영어영문학 Vol.58 No.3

        In this thesis, I will explore 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playing areas. While young children are actively involved in their plays, the locations of their playing are changed from the potential space to the middle area according to the different periods of their ages. In The Snow Man, a young boy (no name is given) and in Gorilla, Hanna, a young girl, are in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whose age-differences expose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types of playing areas. For the thesis, firstly I will explore the ‘second transitional object’ and ‘potential space’ on which the fantastic interplays of the young child with a snow man are acted out. Secondly, I will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intermediate area’ in which Hanna makes her intersubjective plays with Aldo, a rabbit doll. The intermediate area is a special place of children’s playing; both the private inner world and the outer real world are interrela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안데르센의 「인어공주」에 나타난 ‘비극적 신비’ : ‘디오니시안 우주적 잔인성’

        이영준(Young-Zun Lee) 신영어영문학회 2009 신영어영문학 Vol.43 No.-

        Andersen’s 「The Little Mermaid」 exposes an enormous cruelty of a girl’s tragic life. Her blind passion for the love of the prince is ended in a total failure. ?The Little Mermaid? reveals an absolutely inhuman cruelty of life, the presence of the Dionysian Cosmic Cruelty. According to Nietzsche, the ancient Greek tragedy was a kind of religious rituals, which was to purify the Dionysian Cosmic Cruelty. Antonin Artaud, a modern follower of Nietzsche, created ‘Theatre of Cruelty,’ which is, to recreate the cruelty of fundamental life, thus, rediscovering the elements of ancient rituals. This kind of cosmic cruelty reminds us of the religious sacrifice of human in ancient pagan rituals, which indicates a spiritual rebirth, immediately following after an apocalyptic destruction and death of the old soul.

      • KCI등재

        동생 출생으로 인한 아동의 심리적 불안과 해소 ―『엘렌과 펭귄과 새로운 아기동생』과 『꼬마 괴물인형이 그랬어요!』

        이영준(Lee, Young-zu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엘렌과 펭귄과 새로운 아기동생』과 『꼬마 괴물인형이 그랬어요!』는 동생의 출생으로 인하여 부모의 관심이 사라질까봐 걱정하는 심리적 불안을 다루는데 주인공들의 불편한 속마음을 인형을 통해 표출시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엘렌과 펭귄과 새로운 아기동생』의 주이공인 엘렌은 펭귄인형을 가슴속에 껴안고 다닌다. 동생의 출생은 엘렌의 분리불안심리를 악화시키지만 결국 그녀는 동생을 사랑하고 받아들인다. 엘렌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가운데 거울 이미지인 펭귄인형은 그녀의 속마음을 대변해주는 환상적 자아로 기능한다. 『꼬마 괴물인형이 그랬어요!』는 동생의 출생으로 인하여 주인공 에이미는 상실감과 부적응 등과 같은 가족관계적인 문제들을 겪지만 이를 잘 해소하고 주체성을 확립해가는 이야기이다. 에이미는 괴물인형과 항상 같이 놀지만 분리불안을 겪지 않는 아동이다. 그녀에게 괴물인형은 상호적인 관계를 맺는 상상적 친구이다. 확고한 자아가 형성되지 않은 엘렌에게 펭귄인형이 환상적인 짝퉁이라면, 자아와 자의식을 가진 에이미에게 괴물인형은 놀이와 생활을 함께하는 동반자이다. 엘렌은 펭귄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자기중심적인 전능감을 획득하려고 한다. 그러나 괴물인형과 상호적 놀이를 하는 에이미는 어머니의 영향력과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가족관계의 의미를 이해할 정도의 자의식과 주체성을 획득해가고 있는 아동이다. Ellen and Penguin and the New Baby and Little Monster Did It have the similar characters that express their uncomfortable inner feelings through their dolls. These stories deal with their psychological anxiety, worrying that their parents’ love will be lost by the birth of their younger sister. Ellen, the heroine of Ellen and Penguin and the New Baby always hugs the penguin doll in her heart. The birth of her sister exacerbates her separation anxiety, but in the end, she accepts her. Little Monster Did It was a story about Amy, the heroine who suffers from her family related problems such as de-privation and maladjustment due to her younger sister’s birth. But in the end she solves it. Amy is a child who plays with her monster doll all the time, but does not suffer from her separation anxiety. For her, the monster doll is a imaginative friend. If the penguin doll is an illusive twin to Ellen, the monster doll is a partner for play and life to Amy. One of the main idea is that parents and children would reduce their burdens of difficulties and anxiety, if they have received educations and trainings to cope with the changed family situation caused by the birth of new sister.

      • KCI등재

        사회적 소속감과 아동의 자아실현 : 『릴리의 멋진 날』과 『리디아의 정원』을 중심으로

        이영준(Lee, Young-zu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9 No.-

        그동안의 많은 논문들은 아동들의 욕구, 소망, 갈망 혹은 동기에 대한 논의보다는 이들이 지닌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관한 병리적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아동들의 나이와 발달단계에 따른 자아실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아동들의 욕구 혹은 동기의 관점에서 연구에 집중되어야 한다. 성인들과 차별화되는 아동들의 독특한 자아실현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이들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아와 자존감의 형성과정과 그리고 이를 통한 조망수용능력과 같은 상호적인 사회성의 발달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아동들의 욕구충족과 자아실현을 논의하는 이 논문에서는 매슬로가 주창한 자아실현 3단계인 소속감의 욕구까지 연구의 범위를 한정시켜 설명하였다. 아동의 자아실현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경우 아동의 나이를 초등학교 학령기에 해당하는 7세에서 12세로 제한하였다. 아동들의 욕구충족과 자아실현을 살펴본다는 측면에서 『릴리의 멋진 날』과 『리디아의 정원』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릴리의 멋진 날』은 학교생활의 연장인 주변의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릴리(8-9세)가 매슬러의 3단계에 해당하는 사회적 소속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자아실현을 성취하는 이야기이다. 『리디아의 정원』에 등장하는 리디아는 릴리보다 다소 나이가 많은 10-12세에 도달한 아동이다. 시골에서 살던 리디아는 아빠의 실직으로 인하여 가족들과 헤어져 도시의 친척 집에 살아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주변 사람들과의 성공적인 공동체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 가면서 소속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자아실현을 하게 된다. 이 두 그림책을 통하여 나이와 발달단계가 다른 두 초등학교 학생이 차별화된 방식으로 사회공동체를 위한 소속감을 어떻게 충족시켜 자아실현을 하게 되는지 분석하였다. Many academic papers have focused on undertaking pathological studies of the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rather than a discussion of children’s needs, desires and motivations. The demand for such works is high presently sinc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hildren’s self-actualization is increasing. Since the self-actualization of children is different from that of adults,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self, self-esteem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must be extensively examined. To discuss children’s needs and self-actualization, the scope of the study should be limited to the third level of Maslow’s hierarchy—the desire for social belonging. Therefore, for this study, children’s ages are restricted from 7 to 12 years old. In this paper, Lily’s Big Day and Gardner are analyzed in terms of Maslow’s theory. Lily"s Big Day is the story of Lily (8-9 years old) who achieves her need for social belonging—and thereby self-actualization—by positively acting as a helper of marriage in the community. Lydia, the heroine of Gardner, is a 10-12 years old child. She is forced to move to a relative’s home in a big city due to her dad’s unemployment. Despite her young age, she develops a successful social relationship and fulfills her desire for belongingness and self-actualization. Through these two picture books, this essay examines how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ifferent ages and occupying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fulfill their feeling for social belongingness and achieve self-actualization.

      • KCI등재

        신화, 전설, 동화 속에 나타난 ‘낭만적 신화’와 ‘원형적 욕망’

        이영준 ( Young Zun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6 No.-

        고대 그리스의 페르세우스(Perseus) 신화에서 볼 수 있듯이 용사가 괴물을 죽이고 공주를 구하고 사랑에 빠지는 ‘낭만적 신화’는 오래된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 이 ‘낭만적 신화’는 고대 그리스의 페르세우스와 고대 게르만의 신화, 그리고 중세의 성 게오르기우스의 전설과 중세의 서사시와 로망스를 거쳐서 르네상스 이후 부르주아지 사회를 대변하는 동화로 재탄생하게 된다. 이 ‘낭만적 신화‘는 여러 신화, 전설, 민담과 동화들을 통하여 전승됨으로서 마치 인류의 보편적인 사랑의 원형처럼 되어버렸다. 그러나 ‘낭만적 신화’가 표상하는 사랑은 인간의 본성이나 천성이 아니라 문화가 만들어낸 환상이다. ‘낭만적 신화’에서 왕자들은 용을 죽이고 공주를 구하기 위하여 목숨을 무릅쓰고 모험을 떠난다. 신화속의 님프, 요정들, 여신들 그리고 동화 속에 등장하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 백설 공주, 라푼젤, 인어공주 등은 남성들의 욕망을 충족시켜 줄 것 같은 절대적 대상이 되는 아름다운 여성들이다. 그러나 이들 이상적인 미녀들은 존재론적인 공허함을 메워주어 남성들의 욕망과 환상을 불러일으키는 에로틱한 이미지일 뿐이다. 즉 상상에서만 존재하는 ‘대상 a’일 뿐이다. ‘낭만적 신화’는 원천적으로 부재하며, 인간의 환상과 욕망은 타자들(the Others)에 의하여 구조화될 뿐이다. 낭만적 사랑은 역사적 경험 속에서 체득된 가부장 사회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낭만적 사랑은 현실세계의 모순, 갈등, 비논리성을 억압하고 감추는 이데올로기로서 남성의 여성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시키는 ‘성의 정치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은 ‘낭만적 신화’가 어떻게 집단적으로 인간의 마음속에 욕망과 환상과 같은 원형적인 심리적 실체를 만들고 형성해왔는지를 분석한다. The ‘Romantic Myth’ - an hero rescuing a princess by slaying a dragon, falling in love with and marrying her - has long historical origins. The ‘Romantic Myth’ appeared in the stories of Perseus in ancient Greek myth and Sigurd in old Germanic myth, influencing the legends of St George, other epics and romances in the medieval age. It was recreated in the fairy tales for the industrial Bourgeoisie after the Renaissance. The ‘Romantic Myth’ was once received as an universal symbol of archetypal love, for it had been repeated through myths, legends, epics, fairy tales, etc. But, this romantic love is not an innate instinct of human beings but a fantasy constructed by culture. All nymphs, goddesses, princesses in myths and legends and beautiful women in fairy tales are such women that seem to promise an absolute fulfillment; they are emerging as the Imaginary ‘object a.’ Thus, the brave princes risks their life to rescue princesses. However, the beautiful women are such erotic images of evoking the desires and illusions of men, in fact, functioning as a sort of lures of concealing the ontological lack of being. As all our desires and illusions are constructed by the others, the ‘Romanic Myth’ has been enforced by the society. This ideology has roles of covering all the contradictions, conflicts and illogicality of the society whose ‘sexual politics’ has justified women`s subordination to men. This essay sets out to analyse how the ‘Romantic Myth’ has institutionalized a universal archetype of love and to examine how it becomes a psychological entity of the mankind.

      • KCI등재

        안데르센의 동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지 분석:『인어공주』, 『눈의 여왕』, 『얼음처녀』

        이영준 ( Young Zun Lee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2 현대영어영문학 Vol.56 No.4

        ``A Femme Fatale`` means a dangerous evil woman whose destination is to bring a calamity to a man with her sexual attractiveness. In particular, the Femme Fatale imag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mergence of ``New Woman`` after the middle of 19th century in Europe. Andersen created his own Femme Fatale images: Little Mermaid has an innocent appearance of a young girl and Snow Queen has an elegant grace of a middle age woman. In "The Little Mermaid" (1836) and "The Snow Queen"(1844), the fatal calamities of the heroines are hidden under their innocent appearances or altered into socially acceptable figures. However, "The Ice Maiden"(1861) shows such dramatic changes that expose the naked evil images of satanic women with monstrous calamity like Salome. By reflecting the historical trends of life, Andersen produces his own images of Femme Fatale each differently for these fairy tales, which are designed to reveal the hidden desires of human beings. (Hannam University).

      • KCI등재

        고전동화에 나타난 원형적 욕망과 환상의 이미지 분석: 「숲속의 잠자는 공주」, 「백설 공주」와 「라푼젤」을 중심으로

        이영준 ( Young Zun Lee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3 현대영어영문학 Vol.57 No.4

        Fairy tales often reveal universal archetypes with commonly repeated motifs. These archetypes have reappeared differently in the narrative forms of myth, legend, folk tales and fairy tales. Fairy tales, a literary form of bourgeoisie society, repeatedly regenerates a particular archetype of desire and illusion with ideological bias. “Sleeping Beauty”, “Snow White” and “Rapunzel” contain typical images of the idealized women designed to satisfy the imaginary needs of the patriarchal men. These tales are a sort of ‘romantic myth’: the beautiful damsel in suffering and distress by bad dragon should be rescued by the brave knight. The heroines have the customized images by the bourgeoisie ideology in which beauties can be manipulated by human arts. These women look like fairies and nymphs or they are ‘bimbo types’ who are beautiful but not intelligent. The patriarchal images of women have the power of culturally determining forces, thus, structuring the desire and illusion of men. The ‘romantic myth’ exposes an archetypal form of love - a fantasy of men filled with the prejudices of the bourgeoisie society. (Hannam University)

      • KCI등재

        『아들과 연인들』에 나타난 존재론적 비극: “사랑의 불가능성- 남녀관계 그런 것은 없다”

        이영준 ( Young Zun Lee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3 현대영어영문학 Vol.57 No.2

        For Lacan, desire cannot be satisfied even when our demands are met. The lack of being is the cause of constructing love-illusions. The act of love is caught up in fantasies. Morel, Gertude, Paul, Miriam and Clara fall in love in Sons and Lovers, but their relationships are found out as self-deceptions. Their love has been mediated through the ``object a`` without which love is impossible at all. Each of lovers is positioned at an ``object a``, promising the fulfillment of being by their Imaginary integration. However, this is a mis-recognition; in love, there is only the signifying process of metonymic displacement. Furthermore, the love-illusions are manipulated by the sexual differences through ``all`` and ``not-all`` or ``Having the Phallus`` and ``Being the Phallus``. Men and women are camouflaged according to their gender roles under the structural effects of the Phallus. This kind of sexual relationship inevitably ends in a disaster. Sons and Lovers unveils an ontological tragedy - the impossibility of love, and the lack of being is the criminal of causing the existential tragedy of love. (Hannam University)

      • KCI등재

        앤서니 브라운의 『겁쟁이 빌리』(Silly Billy) -걱정인형을 통해본 아동의 분리불안과 수면불안의 해소-

        이영준 ( Young Zun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5 동화와 번역 Vol.29 No.-

        『겁쟁이 빌리』는 분리불안을 겪고 있는 아동의 심리를 다루고 있다. 분리불안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과정에서 일어나는 필연적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빌리가 분리불안을 겪는 이유는 비합리적으로 예상하고 비이성적인 상황을 다루는 소심한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 그림책은 색과 그림을 통하여 등장인물들의 내면적 심리를 섬세하게 잘 표현해준다. 아동들은 화려한 색깔의 그림과 걱정인형들을 통하여 빌리가 겪는 불안에 대해 감정이입을 하게 되고 공감하게 된다. 빌리의 부모는 아들의 분리불안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나 할머니는 빌리의 불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해소시킬 방법을 찾아낸다. 빌리는 걱정인형을 이용하여 불안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부모는 인지교정방식과 행동교정방식을 통하여 불안과 공포를 일으키게 하는 생각과 행동들을 바꾸게 함으로써 아동들의 분리불안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Silly Billy tells a story, who suffers from his separation; however, that is a part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ren. His anxiety is a kind of emotional response to the anticipation of danger and threats when he is disconnected with his parent. This picture book exposes the inner truth of the characters using various colours and pictures. Children will have insights into their minds, if they can understand the significant meanings of the worry dolls. Billy`s parent fails to relieve his anxiety, but his grandmother solves it by introducing the worry dolls to him. Billy`s anxieties are eliminated by transferring all of his worries and fears to these dolls. Furthermore,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methods must be used together in relieving children`s anxiety. The reason why Billy suffers so much from his anxieties is due to his timidness; his potential is undermined by his shyness in terms of overcoming the anx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