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uccession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early stage of biofilm development in the Antarctic marine environment

        이영미,조경희,황규인,김은혜,김민철,홍순규,이홍금,Lee, Yung Mi,Cho, Kyung Hee,Hwang, Kyuin,Kim, Eun Hye,Kim, Mincheol,Hong, Soon Gyu,Lee, Hong Kum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6 미생물학회지 Vol.52 No.1

        부유 세균의 군집과 구별되는 생물막내 세균 군집은 다양한 수생태계에서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한다. 자연계에서 생물막이 생태학적으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남극 해양 환경에서 생물막 형성 과정 동안의 세균 군집 구조와 그들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남극 해양 환경에서 생물막 형성 초기 단계에서의 세균 군집 구조 변화를 16S rRNA 유전자의 pyrosequencing을 통해 수행하였다. 생물막내 전반적인 세균 군집은 주변의 해수의 군집과 매우 달랐다. 전체 세균 군집의 78.8%에서 88.3%를 차지한 Gammaproteobacteria와 Bacteroidetes의 상대적 풍부도는 생물막의 형성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였다. Gammaproteobacteria는 생물막 형성 진행에 따라 증가하다가 (4일째에 75.7%), 7일째에 46.1%로 감소하였다. 반면, Bacteroidetes는 초기에서 중기로 갈수록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Gammaproteobacteria와 반대의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생물막 형성의 초기 과정에 우점 하는 OTU (>1%)들의 변화 양상은 시기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종의 경우, 4일째까지 증가한 반면, 첫째날 가장 우점 하였던 문인 Bacteroidetes에 속하는 종은 4일째까지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흥미롭게, Pseudoalteromonas prydzensis가 67.4%를 차지하며 우점 하였는데, 이는 생물막 형성에 이 종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Compared to planktonic bacterial populations, biofilms have distinct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s and play important ecological roles in various aquatic environments. Despite their ecological importance in natur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its succession during biofilm development in the Antarctic marine environment have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the succession of bacterial community, particularly during the early stage of biofilm development, in the Antarctic marine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by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Overall bacterial distribution in biofilms differed considerably from surrounding seawater. Relative abundance of Gamma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which accounted for 78.9-88.3% of bacterial community changed drastically during biofilm succession. Gammaproteobacteria became more abundant with proceeding succession (75.7% on day 4) and decreased to 46.1% on day 7. The relative abundance of Bacteroidetes showed opposite trend to Gammaproteobacteria, decreasing from the early days to the intermediate days and becoming more abundant in the later days. There were striking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major OTUs (${\geq}1%$) among sampl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biofilm formation. Gammaproteobacterial species increased until day 4, while members of Bacteroidetes, the most dominant group on day 1, decreased until day 4 and then increased again. Interestingly, Pseudoalteromonas prydzensis was predominant, accounting for up to 67.4% of the biofilm bacterial community and indicating its important roles in the biofilm development.

      • KCI등재

        Diversi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ble Bacteria from Marine Sediments of Ross Sea, Antarctica

        이영미,정유정,홍순규,김지희,이홍금,Lee, Yung Mi,Jung, You-Jung,Hong, Soon Gyu,Kim, Ji Hee,Lee, Hong Kum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2

        남극 로스해의 퇴적물로부터 배양을 통해 분리한 균주의 분류 및 생리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 세균 63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이들은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Alphaproteobacteria 및 Gammaproteobacteria 내의 21개의 파일로타입(phylotypes)에 속하였다. 98.65% 염기서열 유사도를 기준으로, 약 49%의 균주가 잠재적으로 신종 또는 신속 후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 중, 각각 46%, 25% 및 32%의 균주가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 지질분해효소 및 외부다당체 생성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다. 43개의 균주는 최소 1개의 세포외 분비 물질을 생산하였고, 이들 중 21개 균주는 최소 2개의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 지질분해효소 또는/및 세포외다당체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극 로스해 퇴적물 내의 배양된 세균 군집이 해당 환경에서 탄소와 질소와 관련된 유기물질의 가수분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affiliation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ble bacteria isolated from the sediments of Ross Sea, Antarctica were investigated. Sixty-three isolates obtained by cultivation were grouped into 21 phylotypes affiliated with the phyla Actinobacteria and Bacteroidetes and with the classes Alphaproteobacteria and Gammaproteobacteria by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98.65% sequence similarity), approximately 49% of total isolates represented potentially novel species or genus. Among them, extracellular protease, lipase, and exopolysaccharide activities at $10^{\circ}C$ or $20^{\circ}C$ were detected in approximately 46%, 25%, and 32% of the strains, respectively. Forty-three isolates produced at least one type of extracellular material and 21 of them produced at least two extracellular protease, lipase, and/or exopolysaccharid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culturable bacterial diversity present within the marine sediments of Ross Sea, Antarctica may contribute to the hydrolysis of the major organic constituents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carbon and nitrogen cycling in this environment.

      • KCI등재

        남북극 유래 저온성 박테리아 Culture Collection에서 저온활성 프로테아제 생산균주의 스크리닝과 효소 특성

        김덕규,박하주,이영미,홍순규,이홍금,임정한,Kim, Doc-Kyu,Park, Ha-Ju,Lee, Yung-Mi,Hong, Soon-Gyu,Lee, Hong-Kum,Yim, Joung-Han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1

        극지연구소(KOPRI)는 국내외적으로 유일하게 남북극 지역에서 분리한 저온적응성 박테리아 균주를 대상으로 culture collection(약 6,300균주)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보유 중인 프로테아제(protease) 생산 균주들(총 874균주) 중에서 활성이 높은 프로테아제를 생산하는 78개의 균주들을 1차 선발한 후, 1% skim milk가 포함된 0.1${\times}$ ZoBell 고체배지에 접종하고 다양한 온도($5-30^{\circ}C$)에서 배양하면서 세포외분비성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위의 신속하고 직접적인 균주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저온활성 프로테아제를 생산하는 15개의 저온적응성 균주들을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균주들은 16S rRNA 유전자의 분석결과 Pseudoalteromonas (13균주)와 Flavobacterium (2균주) 속(genus)으로 분류되었고, $5-15^{\circ}C$ 저온에서도 활성을 나타내는 저온성 프로테아제를 생산하였다. 15개 균주들이 생산하는 각각의 프로테아제는 특이적 화합물에 의한 효소활성 억제 정도에 따라 5개의 그룹(serine protease, aspartic protease, cysteine protease, metalloprotease, 그리고 미분류 프로테아제)으로 분류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선발한 남북극 유래 박테리아 균주들은 새로운 저온활성 프로테아제를 발굴하기 위한 유용한 생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has assembled a culture collection of cold-adapted bacterial strains from both the Arctic and Antarctic. To identify excellent protease-producers among the proteolytic bacterial collection (874 strains), 78 strains were selec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ir relative activities and were subsequently re-examined for their extracellular protease activity on $0.1{\times}$ ZoBell plates supplemented with 1% skim milk at various temperatures. This rapid and direct screening method permitted the selection of a small group of 15 cold-adapted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either the genus Pseudoalteromonas (13 strains) or Flavobacterium (2 strains), that showed proteolytic activities at temperatures ranging between $5-15^{\circ}C$. The cold-active proteases from these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erine protease, aspartic protease, cysteine protease, and metalloprotease) according to the extent of enzymatic inhibition by a class-specific protease inhibitor. Since highly active and/or cold-adapted proteases have the potential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enzyme development, the protease-producing bacteria selected in this work will be studied as a valuable natural source of new proteases. Our results also highlight the relevance of the Antarctic for the isolation of protease-producing bacteria active at low temperatures.

      • KCI등재

        임상 ; 임신성 당뇨병 발생의 위험인자

        조아라 ( A Ra Cho ),경규상 ( Kyu Sang Kyeung ),박민아 ( Min Ah Park ),이영미 ( Yung Mi Lee ),정은환 ( Eun Hwan Jeong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위험인자를 조사하고, 선별검사의 범위를 한정시킨 현행 의료급여고시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임신 22주에서 39주 5일까지의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선별검사를 시행한 임부 1,0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5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1시간 후 혈당이 140 mg/dL 이상인 임부에서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하였고 미국 국립 당뇨병 연구회의 진단기준(1994)을 이용하여 2개 이상 양성인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인자로는 임부의 연령, 비만, 임신 후 과도한 체중증가, 기형아나 거대아, 자궁 내 태아사망의 분만력, 주산기 사망, 당뇨병의 가족력, 고혈압과 임신중독증, 당뇨병의 기왕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고령, 주산기 사망, 자궁 내 태아사망의 분만력, 당뇨병의 가족력, 임신중독증이나 임신성 당뇨병의 기왕력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임부는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율과 거대아 출산의 확률이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 군에서 신체질량지수가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 50 g 당부하 검사수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위험인자가 없는 임부에서도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 위험인자가 있는 임부는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에 유의하여야 하지만, 예상치 않은 임신성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임신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험인자가 없더라도 모든 임부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는 것이 훨씬 좋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related to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medical records of 1,091 pregnant women who had a 50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t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9 to March, 2006. The 1-hour plasma glucose level higher than 140 mg/dL was considered as a positive screening result. Patients with positive results underwent a 100 g OGTT as the diagnostic test for GDM, and more than 2 positive results were diagnosed as GDM, according to the American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NDDG) guideline. We investigated age, prevalence of obesity, weight gain, history of fetal anomaly, fetal death in uterus (FDIU), macrosomia, preeclampsia, GDM and familial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s the risk factors of GDM. Results: Elderly gravida, history of FDIU, perinatal death, preeclampsia, and GDM, familial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were the risk factors of GDM and macrosomia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We found out that BMI and 50 g OGTT results were increased in GDM group. However, there was a pregnant woman with no risk factor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GDM. Conclusion: Although the pregnant women with risk factors should be managed carefully to detect GDM, we also suggest all pregnant women to take screening test even if they have no risk factors, to improve pregnancy outcomes by detecting and treating unexpected GDM early in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