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 근권의 핵심 세균 군집

        이영미,안재형,최유미,원항연,윤정훈,송재경,Lee, Youngmi,Ahn, Jae-Hyung,Choi, Yu-Mi,Weon, Hang-Yeon,Yoon, Jung-Hoon,Song, Jaekyeong 한국미생물학회 2015 미생물학회지 Vol.51 No.4

        콩은 우리나라와 극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나 국산 콩의 근권 세균 군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산 재배콩을 대상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인 파이로시퀀싱 방법을 사용하여 콩 근권 세균 군집 구조를 해석하고 생육단계별 군집의 변화 및 콩 근권의 핵심 세균 군집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세균 군집 분석 결과, 근권 세균의 군집은 근권과 비근권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총 21개의 문으로 구성되었다. Proteobacteria가 가장 우점(36.6-42.5%)하였고, Acidobacteria (8.6-9.4%), Bacteroidetes (6.1-10.9%), Actinobacteria (6.4-9.8%), Firmicutes (5.7-6.3%) 등의 순으로 상대풍부도가 감소하였다.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 콩 근권의 핵심 세균 군집에는 Proteobacteria에 속한 OTU들이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Bradyrhizobium에 속한 OTU의 상대 풍부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콩 근권의 핵심 세균 군집은 주로 생육 촉진 기능과 유기물 순환에 관련된 OTU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Soybean is well known to be originated from Korea and far-east Asian countries, and studies of many root nodule bacteria associated with soybean have mainly-focused on nitrogen fixation, but much less study was carried out on bacterial community in the rhizosphere of soybea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acterial community in rhizosphere of Korean soybean, Daepungkong using the pyrosequencing method based on the 16S rRNA gene to characterize the change of the rhizosphere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of soybeans and to elucidate bacterial core community in rhizosphere of soybean. Our results revealed that bacterial community of rhizosphere soil differed from that of bulk soil and was composed of a total of 21 bacterial phyla. The predominant phylum in the rhizosphere of soybean was Proteobacteria (36.6-42.5%) and followed by Acidobacteria (8.6-9.4%), Bacteroidetes (6.1-10.9%), Actinobacteria (6.4-9.8%), and Firmicutes (5.7-6.3%). The bacterial core community in soybean rhizosphere was mainly composed of the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belonging to the phylum Proteobacteria throughout all growth stages. The OTU00006 belonged to the genus Bradyrhizobium had the highest abundance and Steroidobacter, Streptomyces, Devosia were followed. These results show that bacterial core community in soybean rhizosphere was mainly composed of OTUs associated with plant growth promotion and nutrient cycles.

      • KCI등재

        SNS 모바일 메신저 융합형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 -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

        이영미 ( Lee Youngm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최근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은 웹 2.0을 기반으로 한 3세대 미디어 SNS의 등장으로 표현과 소통의 기회가 비약적으로 확대되었다. SNS의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한 텍스트 중심의 상호 소통을 넘어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이모티콘의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그래픽, 애니메이션, 포토 그리고 동영상에 이르기까지 이모티콘 유형은 다양해졌다. 본 연구는 다양화된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을 위해 SNS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메신저 유형과 대표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감성디자인으로서 감성과 아이콘의 합성어인 이모티콘에 대해 알아보고, 이모티콘 중에서도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융합형 이모티콘을 복합요소, 무빙의 주제, 표현유형, 표현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카카오톡의 융합형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 결과 첫째, 복합요소로는 일러스트레이션과 타이포그래피가 주류와 보완요소로 이루어져있었다. 둘째 이모티콘의 임팩트 효과를 높여주는 무빙의 주제는 인물의 특정부위나 타이포그래피의 지각상으로 되어있었다. 셋째 구상·추상 등의 표현유형은 단순화된 반추상형이 많았다. 그리고 독창성과 유희성의 표현효과는 디자인에서 부분적으로 표현되었지만 비주얼 펀 요소는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융합형 이모티콘의 사용자 선호도, 인지도 등의 조사를 지속하여 이모티콘의 디자인 퀄리티를 위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recent media environment that is rapidly changing, the appearance of SNS, the third generation media, based on Web 2.0 has extended the opportunitie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SNS communication is not just used for simple text-based mutual communication but also actively uses the emoticons and now the types of emoticons have become diversified including graphics, animations, photos, and even movies. Thereupon, to analyze the design of diversified emoticons, this study conducts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SNS and chiefly examines the types of applications and mobile messengers and also the representative mobile messenger. This studies emotion as the emotional design of KakaoTalk and als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con, the compound of emotion and icon. And among the emoticons, the study analyzes convergence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regarding the expression of design in the aspects of the complex elements and the themes of moving, expression types, and also the effects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vergent design of KakaoTalk, first, complex elements mainly consist of illustrations and typography as the mainstream and complementing elements. Second, regarding the themes of moving that enhance an emoticon`s impact, most of them are the certain parts of a person or the recognizing aspects of typography. Third, the expression types for conception or abstraction are mostly the simplified semi abstract form. And the expression effects of originality or playfulness are partly expressed in design, but it is hard to find visual pun factors.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needed to continue study for the design quality of emoticon such as research on user preference or recognition on convergence emoticon.

      • KCI등재

        진로결정에 있어서 메타인지, 정서조절곤란과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 분석

        이영미(YoungMi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우연기술과 메타인지 및 정서조절곤란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4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 메타인지, 정서조절 곤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계획된 우연기술과 메타인지 및 정서조절곤란과 각 변인의 하위요소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계획된 우연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타인지와 정서조절곤란 모두 계획된 우연기술을 의미 있게 예측하고 있었으며 메타인지 하위요인 중 정교화, 비판적 사고, 시연 전략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유의한 수준으로 예측하였으며,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에서는 정서에 대한 주의와 자각의 부족,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제한,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은 계획된 우연기술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결정을 목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전략과 정서적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진로정보 조절, 관리 및 활용에 대한 메타인지 전략 학습법 제공과 진로 불안감 해소를 위한 지속적인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지원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tacogniti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lanned happenstance. 460 student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s consists of metacognition scale(MSLQ), emotional dysregulation scale(DERS) and planned happenstance sca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cluding sub domain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lanned happenstance. Second, in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tacogni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had a meaningful positive/negative relationship to the planned happenstance. Specially in the aspect of the sub domains of the metacognition, e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rehearsal strategies had greater effects on their planned happenstance. Also, lack of emotional awareness,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onacceptance of emotional responses, the sub-domains of emotional dysregulation, had greater effects on their planned happenstance.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t of the metacogni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planned happenstanc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nned happenst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by using the metacogni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stability. Also,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counselling systems which are included control, management, application the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counselling for the career anxiety reduction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YoungM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팀을 구성하고 세 가지 유형의 협력방식집단(계열적, 호혜적, 팀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각 팀의 과제 수행완료 이후 팀 리더 유형과 팀 역량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팀 역량에 있어서 팀 협력방식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팀 중심 협력방식이 다른 협력방식 집단에 비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설득형 리더 유형이 다른 리더유형에 비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협력방식별 팀 리더 유형에 있어서는 세 가지 유형의 팀 협력방식 집단 모두 팀 역량에 있어서 설득형이 팀 과제를 수행하는 가장 효과적인 리더유형으로 나타났다. 협력방식별로 가장 많이 인식하는 리더유형은 상이하였으나 팀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리더유형은 관계지향적이면서 과제지향적인 설득형 리더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팀 과제 수행 시 리더와 팀 구성원들이 협력적으로 참여를 하는 팀 중심의 협력방식과 과제지향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설득형 리더유형이 팀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eam collaboration procedures and team leader types in the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organized into three teams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procedures, consisting of sequential, reciprocal, and team-based procedures. After completing the team work, they were surveyed the team leader types, team-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m collaboration types in team competence, team-based procedures was positive effect of team competence comparing any other collaboration procedur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m leader types in team competence. Selling leader type was positive effect of team competence comparing any other team leader types. Third, selling leader type in sequential, reciprocal, and team-based collaborating procedures was positive effect of team competence. Based on the finding from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To support team based learning effectively, team collaboration procedure and team leader typ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team collaboration procedures, team-based procedure should be used in the team work performance to participate all team members including leader. And the team leader should perform the role of selling leader type in team based learning. Since the selling leaders have both relationship oriented and task oriented characteristics, they can have positive impact on team-based task performance.

      • KCI등재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과 부양부담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도에 관한 연구

        이영미(Lee, YoungMi),유인영(Yoo, In-Young)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및 경기지역 복지관을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부담감과 우울정도,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도를 파악하여 부양자의 부양부담 및 우울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부양자 12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은 학력, 결혼상태, 건강상태에 따라, 우울정도는 학력,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복지서비스이용도는 평균 1.67개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부양부담감, 우울정도,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양부담감과 우울정도 사이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양부담감의 하위영역 중 심리적 부담감, 신체적 부담감, 치매노인과 부양자관계의 부정적 변화는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들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5.6%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복지관을 이용하면서도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는 낮았다는 점과 심리적 부담감, 신체적 부담감, 치매노인과 부양자관계의 부정적 변화가 부양자의 우울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앞으로 치매노인의 부양자들이 느끼는 필요와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발과 서비스 이용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 on their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n families who live with an elderly person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 the degree of their depression, and the degree of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Sample collection was staying in Seoul and Kyonggi areas from October 9, 2004 to November 30, 2004. The data was analyzes, and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care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health status.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family caregiver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ducational level and health status.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was average 1.6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 burden and depression, which is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the high significant level. Psychological burden, physical burden, and negative change among demented elderly and caregiver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depression explained 45.6% of the model. In conclusion, to decrease burden of family caregiver,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 and increase service utilization.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음악활동에 관한 고찰

        이영미 ( Youngmi L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2 음악교수법연구 Vol.9 No.-

        세계 인류발전에 기여한 전인적이고 지도적인 교육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음악교육은 인간 중심의 문화와 예술의 융합을 권장하고 있는 현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음악을 경험하여 음악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서 교육리더로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조직 간에 협력할 수 있는 인성의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초등 중등학교 창의재량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 인성함양을 위한 창의적 음악활동을 고찰하여 창의적 지도과정을 구성하고 창의적 음악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창의적 음악활 동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창의 인성을 갖춘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창의적 음악활동은 인간과 예술발전을 이끌 수 있는 창의적 인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reative leader is the educational model for this knowledge-based society. Creative thought or ideas in music can bring about a leader who will grow up to ha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an ability for flexible thought and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 and his or her society. Creative thinking allows students to imagine sounds and to express themselves in their own diverse activities. A creative music activity allows students to manipulate their individual expression and verbal association. Because creative thinking in music is important to intuitive and critical thinking at the same time. So he nearer the creative music production can get to his or her imagined sound and express it, the more advanced will be his or her creative personality. In this reason that a creative music activity is needed for anyone hoping to grow up as a future leader in our value-added and knowledge-based society. So, this study suggest creative music program for what students are able to express their own musical imagery according to short story, "The Little Three Pigs".

      • KCI등재

        ICT 수업매체 역량 포함 유치원 교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이영미(Lee, YoungMi),박선영(Park,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IT 기반 사회에 적합한 유치원 교사 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차적으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 역량지표에 대한 기초문항을 작성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 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총 3차(2018년 4월∼6월)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자료는 매 차시마다 기초통계자료, CVR(.49이상), 사분범위, 합의 도(.75이상) 및 수렴도(.00∼.50미만)로 분석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주관의견을 포함하여 분석된 자료는 전문가 협의를 통해 최종 역량지표 항목으로 추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문헌분석으로 제시된 초기 역량지표 항목은 7개 역량군(전문성 개발, 교직 인성, 유아이해, 교육과정운영,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학급운영, ICT 수업매체)의 65 개 하위역량이었으나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과정을 통해 문항내용을 수정, 추가, 삭제하여 최종 7개 역량군(교육과정이해, 교육과정운영, 유아에 대한 이해 및 태도, 자기개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학급운영, ICT 수업매체)과 51개 하위역량지표로 유치원 교사 역량진단 항목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

        자유학년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교육정책 시사점 고찰

        이영미 ( Lee Youngmi ),이근호 ( Lee Keun Ho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3

        한국의 자유학기가 자유학년으로 확대 시행되면서 음악과 수업시수차원에서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를 더욱 고민할 시간적 여유가 마련되었다. 이는 학교와 지역 그리고 국가수준에서 자유학년제와 같은 교육의 혁신적인 정책 마련에서 비롯된 것이다. 앞으로 교육정책의 차원에서 자유학년동안 학생들에게 보다 더 자신의 음악적 적성과 진로를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마련되어야 하며, 체계적으로 제도적 차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습내용과 음악교과의 학습내용 간 연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에 자유학년동안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과 교육과정 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자유학년의 제도적 의미와 교육정책 추진 과정을 탐색하였고, 아일랜드 자유학년교육과정과 음악과 교육과정문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나라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자유학년동안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교과와 연계하고 있는 사례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자유학년동안 체험활동과 교과학습 내용간의 연계가 강화되어 학생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고 지속되어, 이후로도 평생 교육 차원에서 국민의 예술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국가의 예술문화가 꽃피우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Korea's free semester was expanded to a free school year, it help students spend their school year through which they can further consider their aptitude and care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at policy improvements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music subject matter curriculum, and as well as can be expanded to a free year. In order to reac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ree the process of promoting educational policies were considered. Also, by analyzing the Irish transition-year curriculum and music curriculum literature, I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nnectivities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music and curriculum used in Korean free ye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policy so that students can find their musical aptitude, save their dreams and talents, and enjoy a joyful and happy school life. In order to reac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stitutional meaning of free grades and the process of pursuing educational policy were explored, and the Irish transition year curriculum and music and curriculum literature were analyzed. Then, by comparing th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and exploring cases in connection wit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music subjects during the free grade, implications were drawn. During the free school year, the connection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ubject-learning content has been reinforced, so tha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find their own aptitudes and careers have been further expanded and sustained. It is expected to bloom as the arts ability of the people continues to improve in the lifelong education level.

      • KCI등재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정부신뢰 분석: 영호남 지역의 정부신뢰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이영미 ( Youngmi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이 연구는 박근혜 정부 동안에 영남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부에 대한 신뢰와 지역 간 차이,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영호남 지역에서 발행하는 지역신문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남지역의 경우 현 정부가 체제, 구조, 리더십과 같은 정부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행정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해서 지역민들이 불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영남권 신공항 공약이나 원전문제 해결, 사드배치와 같은 박근혜대통령이 후보시절 공약으로 내세운 정책들을 이행하지 않거나 해결하려 노력하지 않아 정부에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호남지역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 후보시절 호남지역민들의 표심을 얻고자 지역주의를 타파하고 대통합을 이룰 것을 약속하며 호남지역에 제시한 사업들과, 탕평인사, 예산배분을 이행하지 않고, 축소하여 호남지역에 대한 홀대와 배신감에서 비롯된 불만이 현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areas in public trust in Park Geun-hye`s gover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facts and events that affect public trust toward government by using local newspapers published in regional areas of Youngnam and Honam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ople in Youngnam area have far less trust in Park Geun-hye`s governmental system such as organizational structures,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presidential leadership. Additionally, the issues regarding the location of new international airport in southeastern area, the deployment of THAAD missile system, and nuclear energy policy deepen distrust in the government in Youngnam area.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in Honam area have far less trust in the government because of the issues of Honam discrimin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regarding personnel affairs, budget plans,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