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Purification of Perovskite Quantum Dots Using the Drop Casting of a Polar Solvent for Memory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Stability

        이아름,손다빈,문병준,강민지,배수강,이상현,김태욱,이승기 한국진공학회 2024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33 No.3

        The evolution of optoelectronic devices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metal halide perovskites, particularly allinorganic cesium lead halide perovskites (CsPbX3, where X is a halide). These materials have several advantageous properties, including long carrier diffusion lengths, high and broad absorption spectra, tunable bandgaps, high carrier mobility, and low-temperature fabrication processes. These qualities make them highly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light-emitting diodes and solar cells. Howeve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erovskite quantum dots (QDs) synthesized through the hot-injection method, stabilized by hydrophobic alkyl ligands, is hindered by decreased charge transport characteristics and quantum efficiency due to the insulative nature of the ligands. Innova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have included using shorter halide ion pair ligands, such as didodecyl dimethylammonium bromide, and optimizing purification processes to enhance charge injection and maintain stability. We introduced a novel approach for surface ligand engineering through a methanol-based washing process applied during spin-coating, effectively removing excess ligands and residual solvents, and potentially offering a path toward the fabrication of high-performance, low-voltage memory devices using perovskite QDs. This method not only simplifies the purification process but also preserves the photoluminescence, colloidal st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essential for scalable optoelectronic applications.

      • KCI등재

        첨가 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아로니아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이아름,오은영,정연정,노재관,윤향식,이기열,김이기,엄현주,Lee, A Reum,Oh, Eun Young,Jeong, Yeon Jeong,Noh, Jae-Gwan,Yoon, Hyang-Sik,Lee, Ki Yeol,Kim, Yee Gi,Eom, Hyun-Ju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4

        Aronia melanocarpa (Rosaceae family), black chokeberry, has significantly higher anthocyanin,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ber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content of aronia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ve method such as fresh-type and crushed-typ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onia on the quality of makgeolli at $25^{\circ}C$ for 8 days. The changes in pH, total acidity, ethanol content, color,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sensory testing were determined. The pH values were 3.9~4.2 in fresh aronia makgeolli (the fresh group), and 3.6~3.9 in crushed aronia makgeolli (the crushed group). The total acidity of all sample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ethanol content was 10~15% after the second stage of fermentation, and was reduced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addition rate of aronia, showing the lowest values in 50% crushed aronia makgeolli. As the aronia content increased, bot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resh group, low values were seen in early fermentation,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fermentation, while the crushed group showed high values for 6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flavor, bitterness, and overall acceptance of the makgeolli with 30% fresh aronia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control and other sample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fresh aronia without undergoing the breaking process is a more suitable additive method than the crushed type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palatability of aronia makgeolli. 본 연구는 막걸리 제조 시 아로니아의 첨가 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후, 발효하면서 항산화 활성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는 생과와 마쇄한 형태로 첨가하였고, 쌀 함량의 10%, 30% 그리고 50%로 하였다. 막걸리의 pH는 발효 초기에 생과를 첨가한 시료가 3.9~4.2로, 마쇄하여 첨가한 시료(3.6~3.9)보다 높았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과로 첨가한 경우는 pH가 낮아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총산의 경우는 초기 발효에는 생과보다 마쇄한 시료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발효가 진행될수록 총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감소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1단 담금 시 11.4%로 나타났고, 2단 담금 6일 후에는 10~15%였으며, 특히, 아로니아를 50% 첨가한 실험구는 1단 담금 시 보다 낮은 에탄올 함량을 보였으며, 마쇄하여 첨가할수록 더 낮은 알코올함량을 보였다. 색도 중 a값(적색도)을 비교했을 때 생과 사용 시 천천히 a값이 높아져 마지막 날에는 생과 처리구 간 유의적으로 차이가 났지만, 마쇄한 경우는 처음부터 마지막 발효까지 높은 a값을 가져 생과를 처리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함량 측정과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는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함께 증가하였는데, 생과첨가군의 경우 초기에는 낮은 값을 가지다가 발효가 진행하며 급속히 증가하였고, 마쇄첨가군에서는 초기에서부터 높은 값을 가졌다. 또한 아로니아를 30% 첨가하여도 50%를 첨가한 것과 같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생과 30%를 첨가한 시료가 색, 쓴맛,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아 관능적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니아를 첨가한 기능성 막걸리의 특성을 보았을 때 아로니아를 마쇄한 형태보다 생과 형태로 30%를 첨가하는 것이 관능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항균활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추위 메탄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

        이아름,양진호,조상범,나종삼,심관섭,김영훈,배귀석,장문백,최빛나,신수진,최낙진,Lee, A-Leum,Yang, Jinho,Cho, Sang-Buem,Na, Chong-Sam,Shim, Kwan-Seob,Kim, Young-Hoon,Bae, Gui-Seck,Chang, Moon-Baek,Choi, Bitna,Shin, Su-Jin,Choi, Nag-J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3

        본 연구는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반추위 메탄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을 위해 각기 다른 종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세신 추출물의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접종된 균주들의 성장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생균수측정 결과 L. curvatus NJ40 균주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균주성장을 나타냈다(p<0.05). 항균활성측정 결과는 대조구 대비 L. curvatus NJ40 및 L. plantarum NJ45 균주와 발효된 세신 추출물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실험에 세신 및 발효 세신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대비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반추위 미생물 활력 및 사료이용 효율을 대표할 수 있는 휘발성 지방산 생성효율에 대한 부정적 효과 없이, 오히려 휘발성지방산 생성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ive starter culture to improve biological activity of Asarum sieboldii.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reduction of enteric rumen methane production were used as criterions for biological activity. Ground A. sieboldii was added in MRS broth at 10% (w/v) and fermented by different starter cultures. Weissella confusa NJ28, Weissella cibaria NJ33, Lactobacillus curvatus NJ40, Lactobacillus brevis NJ42, Lactobacillus plantarum NJ45 and Lactobacillus sakei NJ48 were used for starter culture strains. Each starter culture was inoculated with 1% (v/v) ratio and fermentation was performed at $30^{\circ}C$ with agitation (150 rpm) for 48 h. MRS broth for the control was employed without starter culture. Then the fermentation growth was dried and extracted using ethyl alcohol. The growth of starter culture was detected at NJ40, NJ42, NJ45 and NJ48. And the highest cell growth was found in NJ40.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s, Mannheimia haemolytica and Salmonella gallinarum were observed in the extract fermented by NJ40 and NJ45. All treatments showed antioxidant activit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negative control (NC) and positive control (PC) were assigned to without extract and with non-fermented A. sieboldii extract. Significant suppression of gas productions were detected in positive control and treatments compared to negative control (p<0.05). However,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was not suppressed. Significant methane reduction per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s were found in positive control and NJ45 treatment (p<0.05).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fermentation of A. sieboldii using NJ45 strain could improve its biological activity and make possible for its use in bio additive for enteric rumen methane mitigation without suppression of animal productivity.

      • KCI등재

        소아 청소년의 급성 침샘염: 침샘 침범부위에 따른 CT소견과 임상 양상

        이아름,김영통,한종규,조성식,정두신 대한영상의학회 200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9 No.3

        목적: 소아 청소년의 급성 침샘염에서 침샘염 발생부위에 따른 CT 소견과 임상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근 5년간 급성 침샘염으로 진단받은 환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아가 34명, 여아가 16명이었다. 침샘염이 발병한 곳에 따라 세 개 군으로 나누었으며, 이하선만 침범한 경우를 I군 (16명), 악하선만 침범한 경우를 II군 (20명), 두 침샘을 동시에 침범한 경우를 III군 (14명)으로 분류하였다. CT에서 농양, 결석, 양측성, 봉와직염과 림프선의 종대를 비교하였으며, 임상 정보는 나이, 성별, 림프선 종대, 동통, 종창, 종괴, 편도선염, 치료 기간과 수술적 치료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농양, 결석, 봉와직염의 동반 여부 및 환아의 나이, 종창, 종괴와 치료 기간이 세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T 소견 중 농양은 I군에서만 발생하였고, 결석은 II군에서, 봉와직염은 III군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임상 소견 중 종창은 II군과 III군에서, 종괴는 I군에서 각각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환아의 나이는 I군에서 평균 5.3세로 II군 (12.9세)과 III군 (15.2세)보다 어렸으며, 치료 기간은 I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결론: 소아 청소년에서 침샘염이 발생할 때, 나이, 농양, 결석, 봉와직염, 종창, 종괴, 치료 기간에서 침샘의 침범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피부 생리 활성 평가

        이아름,김건형,권오준,김수현,김경조,노성수 대한본초학회 2018 大韓本草學會誌 Vol.33 No.1

        Objectives : Gastrodiae Rhizoma extract (GE) is possess the variou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gastrodin, vanilyl alcool and p-hydroxybenzyl alcohol. Various processing methods such as steaming have been widely applied to ease ingestion and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of plant materials including GE in East-Asia a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GE. Methods : First,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gastrodin and ergothionein contents of GE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steamed GE compared with not-steamed GE, tyrosinase,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ere tested. Furthermo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 assessed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 In results,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when 9 times steamed compared to not- steamed GE. Also, GE increased gastrodin content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eaming times and ergothioneine content was abolished in the steaming stat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 increased by steaming, but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not related to the steaming process. In addi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teaming times of GE increased. Collagenase was most inhibited by 4 times steamed GE, and elastase was inhibited by 8 times steamed GE.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amed GE extract has the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than not steamed GE.

      • 포커스 : 국가간 개인정보 이동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강화의 필요성

        이아름 보험연구원 2014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280 No.-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사건 이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한-미 FTA·한-EU FTA 발효로 개인정보 보호가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특히, 고객정보의 해외 이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감독당국의 감독과 고객정보 유출 시 대응이 어려운 점도 문제로 제기됨. 또한 국가간정보이전으로 인한 정보유출 사고들은 개인범죄 차원을 넘어 국가간 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당사국들 간의 사고방지를 위한 사전 대책 마련과 정보유출 사고 발생 시 양국간 협력 및 해결 방안에 대한 보완 조치가 필요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