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의 LEED와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비교 연구 -학교시설 사례분석을 통한-

        이승민,이상민,맹준호,Lee, Seung-Min,Lee, Sang-Min,Meang, Joon-Ho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1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items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spread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KGBCC) by comparing items and school cases of KGBCC with those of LEED 2.1. LEED 2.1 is concentrating on 'Energy' and 'Indoor Air Quality' and KGBCC is relatively showing even distribution. And LEED 2.1 is not evaluate 'Ecology' that is important to us. And school cases of KGBCC and LEED 2.1 obtained similar scores by field or those of KGBCC obtained more scores. Domestic buildings need to ontain certification by KGBCC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Also we need to lead activating of KGBCC through incentive programs.

      • KCI등재

        수행평가 과제 해결에 있어 초·중학생의 매체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이승민,이병기,Lee, Seung-Min,Lee, Byu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학생들이 수행평가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의 매체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체풍부성, 매체유용성, 매체경험과 매체결정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 중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설정, 타당도 검증, 인과 모형을 설정한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도서관의 매체경험이 매체결정의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체풍부성과 매체 경험이 매체유용성을 매개로 매체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교수-학습 과정 및 평가를 진행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며 학교도서관이 학교 교육의 중심으로서 학생들에게 매체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richness, media usefulness, media experience and media decision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determine the media of school library in solving performance evaluation tasks. For this purpose, 132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ir structural equation was set up by hypothesis setting, validity test, and causal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dia experience of school library is a major factor in media decision. Also, media richness and media experience appeared to influence media decision through media usefulness. The analysis implies that school library is centered on teaching -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so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library is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experience on media as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SCOPUS

        사회자본과 정보격차의 사회적 함의

        이승민,Lee, Seung-Mi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7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8 No.1

        현재의 정보격차는 전통적인 개념의 정보격차와는 달리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과거에는 정보격차와 사회자본은 별개의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재의 정보격차는 사회구성원의 사회자본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 간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정보격차는 사회자본의 형성과 결합함으로써 과거의 이분법적인 사회집단의 구분을 한 단계 더 분리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의 급속한 발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사회구조적 분리는 과거와 같은 정보격차 해소방안과는 다른 차원의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March 2002 survey)를 사용하여 ICT의 활용으로 인해 야기되는 정보격차와 사회자본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The current notion of digital divid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digital divide. People have considered that digital divide and social capital are separated notions and are not related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is current information society, the digital divide affects the process of building social capital, and thus these two concepts have becom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Now, the notion of digital divide is combined with social capital theory and has created new social phenomena that multiple divisions of social struc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plays important roles in this new social and informational environment.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divide caused by ICTs and social capita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ivide and social capital, this research used datasets provided by th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March 2002 survey).

      • KCI등재

        친수성기를 부여한 아미독심화 압출 PAN 킬레이트수지의 製造 및 轉移金屬($CU^{2+}, Ni^{2+}$)의 選擇的 吸着特性 調査

        이승민,김종화,이수,Lee, Seung-Min,Kim, Jong-Hwa,Lee, 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1 資源 리싸이클링 Vol.10 No.2

        7.5%의 methyl acrylate가 함유된 압출 PAN(polyacrylonitrile)을 NaOH와 함께 메탄올상에서 다양한 온도와 시간으로 반응을 시켜 친수성이 부여된 압출 PAN을 제조하였다. 이 PAN들을 hydroxylamine과 함께 메탄올과 수용액 상에서 반응시켜 금속이온에 대해 최적의 흡착특성을 가지는 아미독심기를 부여하였다. 친수성이 부여된 아미독심화 압출 PA처은 친수성이 부여되지 않은 압출 PAN에 비하여 우수한 팽윤성를 보였다. 친수성이 부여된 아미독심화 압출 PAN은 $60^{\circ}C$, 6시간 동안 아미독심화 시켰을 때 가장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였다. 친수성이 부여된 아미독심화 압출 PAN은 $Ni^{2+}$ 보다는 $Cu^{2+}$ 에 대해 높은 흡착능을 보였으며 또한 금속이온들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Several hydrolyzed extruded PAN's were prepared through reaction of extruded PAN (7.5% methyl acrylate) with NaOH in methanol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s. These were amidoximated with hydroxylamine in MeOH and/or $H_2$O to introduce an excellent adsorption capacity of heavy metal ions. Amidoximated hydrolyzed extruded fAN showed superior swellability to non-hydrolyzed extruded PAM. The amidoximated extruded PAN hydrolyzed for 6h at $60^{\circ}C$ showed the best dimensional stability. Amidoximated hydrolyzed extruded PAN has more adsorption capacity of $Cu^{2+}$ than that of $Ni^{ 2+}$ These PAN derivates also showed an excellent selectivity for adsorption of metal ion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정보 요구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이승민,정지운,Lee, Seung-Min,Jeong, Ji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2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analyzing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t analyzed of the core roles and task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quired information and usage behavior of information source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homeroom dutie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chool duties, and other as their works and tasks, and the response to the importance of task performance was homeroom teache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chool works, and other tasks.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ed information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meroom teacher, school works and they used various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web, interpersonal sources and book. Moreover, this study observed some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 mainly used web information source which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 developed and that they got teaching-learning materials from fellow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proposed teacher librarian share library based instruction materia in web resource, provide cooperativ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through learning community, and provide homeroom work materia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정보서비스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초등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역할과 업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보 요구와 주 정보원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들은 자신의 역할과 업무를 담임 업무, 교수·학습활동, 학교 담당 업무, 기타 업무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웹정보 및 인적 정보, 도서 정보 등을 정보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각 역할과 업무에 따라 웹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교사 간 웹 커뮤니티가 주 정보원으로 인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정보를 많은 초등교사들이 이용하는 웹 정보원에서 공유하는 것, 초등교사들과 학습 공동체 형성을 통해 협력적 교육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학교도서관을 통해 다양한 담임 업무 관련 도서를 제공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서교사 직무 역량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이승민,임정훈,강봉숙,이병기,Lee, Seung-Min,Lim, Jeong-Hoon,Kang, Bong-Suk,Lee, Byeong-K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IP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서교사들은 교사와 경영자 영역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정보 전문가, 협력적 리더 영역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정보전문가 영역에서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데이터 사이언스, 코딩, 사물인터넷 영역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영역에서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경영자 영역에서 미래교육을 위한 시설 디자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메이커스페이스 및 러닝커먼스 구축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다섯째, 협력적 리더 영역에서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대한 실행 평가 역량, 교과 연계 정보자료 컬렉션 구축 역량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여섯 번째,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우선 요구 역량을 각 직무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iorities of competencies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 training and retraining program. A total of 238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y were analayzed using IPA,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First, teacher librarians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 and manager competency were higher than information specialist and cooperative leader. Second, they needed competencies of data-science, coding, Internet of Thing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pecialist as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they neede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ethics, copyright instruction, and digital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field of teacher. Fourth, they needed competencies of facility designing for future education, online and offline school library marketing skills, and establishment of makerspaces and learning commons in the field of ibrary manager. Fifth, they needed competencies of library based instruction, library cooperative instruction, and building a collection related to subject in the field of cooperative leader. Sixth, the highest required competency for teacher librarians was suggested for teacher librarians' role area.

      • KCI등재

        허베이스피릿호 유류유출사고 방제작업 참여자의 보호장비착용 효과

        이승민,하미나,김은정,정우철,허종일,박석건,권호장,홍윤철,하은희,이종성,정봉철,이정애,임호섭,최예용,조용민,정해관,Lee, Seung-Min,Ha, Mi-Na,Kim, Eun-Jung,Jeong, Woo-Chul,Hur, Jong-Il,Park, Seok-Gun,Kwon, Ho-Jang,Hong, Yun-Chul,Ha, Eun-Hee,Lee, Jong-Se 대한예방의학회 2009 예방의학회지 Vol.42 No.2

        Objectives : To assess the protective effects of wearing protective devices among the residents and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eanup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Methods : A total of 288 residents and 724 volunteers were surveyed about symptoms, whether they were wearing protective devices and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week following the accident. Spo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metabolites of 4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2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and 6 heavy metal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earing of protective devices and various symptoms was assess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A multiple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the covariates was used to test for a difference in least-square mean concentration of urinary biomarkers between residents who wore protective devices and those who did not. Results : Thirty nine to 98% of the residents and 62-98% of volunteers wore protective devices. Levels of fatigue and fever were higher among residents not wearing masks than among those who did wear masks(odds ratio 4.5; 95% confidence interval 1.23-19.86). Urinary mercury leve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mong residents not wearing work clothes or boots(p<0.05). Conclusions : Because the survey was not performed during the initial high-exposure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etabolite levels between people who wore protective devices and those who did not, except for mercury, whose biological half-life is more than 6 weeks.

      • KCI등재

        레거시 기기 통합 제어를 위한 효율적 Zigbee Bridge 개발

        이승민,손성용,Lee, Seung-Min,Son, Sung-Y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9

        가정에서 사용중인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은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한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레거시 기기들은 각각의 리모컨으로 제어되고 있고 표준화된 통신방식을 제공하지 않아 원격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통합 리모컨방식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할 경우 여러 종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지만 모든 명령을 지원하지는 않으며, 특히 새로운 명령이나 고유한 명령을 가진 제품이 출시될 경우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기기의 효율적인 통합 제어를 위해 지그비로 전송되는 명령을 해당 기기의 적외선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여 발신하는 Zigbee Bridge를 개발하고, 헤더 판별법을 이용한 학습 기능을 추가 하였다. 새로운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Bridge는 이 명령을 학습하여 저장하며, 기존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저장된 코드를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신규 명령에 대한 확장성과 유연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코드 전송의 효율을 향상하여 기존 대비 최대 58.6배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IR remote control is the most common way to control home appliances nowadays. Each legacy device is controlled with their own remote controller, and it is not standardized yet. Although it is possible to handle multiple devices with a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not all the devices and command sets are supported.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expandability especially when new or special command sets are required. In this paper, a efficient zigbee bridge which transforms a command set sent via zigbee to IR comment set is developed. The bridge also has a learning function based on a header comparison method. When a new command is sent, the bridge learn the new code. When a existing code is sent, the bridge dispatches applicable IR command to the appliance. With this approach, it is possible to obtain expandability and flexibility for new commands, and increase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up to 56.8 times.

      • 정상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전정기능과 동적균형수행력 비교

        이승민,김진상,최진호,Lee Seung-Min,Kim Jin-Sang,Choi Jin-ho 대한물리치료학회 2000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lation between vestibular function and balance skills in normal with heating-impair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20 normal children (8-10 years) and 20 hearing-impaired children (8-10 years). The SCPNT was used to assess vestibular function, then, functional reach test and backward walking test were usee to compare dynamic balance skills of normal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existence of visual inp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SCPNT, normal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left-sided and right-sided rotations(p<.01), and the vestibular function responses of healing-impaired children were normal $20\%$, abnormal $45\%$, absent $35\%$. 2, To compare dynamic balance skills between normal and healing-impaired according to eye open and eye close, functional reach tes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ye open situation(p>.05), bu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ye close situation(p<.05). 3. Backward walking tes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ye open and eye close situation(p<.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