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ntinel-2 위성영상을 이용한 DMZ 산불 피해 면적 관측 기법 연구

        이슬기,송종성,이창욱,고보균,Lee, Seulki,Song, Jong-Sung,Lee, Chang-Wook,Ko, Bokyu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본 연구는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운 demilitarized zone (DMZ)의 산불 피해 지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머신러닝 기반의 감독 분류 기법을 이용하였다. 고해상도 위성 영상은 Sentinel-2 A/B를 이용하였으며, SVM 감독분류 기법을 기반으로 토지피복도를 산출하였다. DMZ 산불 피해 지역을 분류하기 위한 최적의 조합을 찾기 위하여 SVM 내에 다양한 커널과 밴드 조합에 따른 감독 분류를 진행하고 오차 행렬을 통해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2020년, 2021년은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산불 탐지 결과와 산불 연보의 피해 지역 면적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후, 현재 피해 면적 자료가 없는 2022년의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함으로써 신뢰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신속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used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 in order to detect the areas affected by wildfir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where direct access is difficult. Sentinel-2 A/B was used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Land cover map was calculated based on the SVM 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combination to classify the DMZ wildfire damage area, supervise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various kernel and band combinations in the SVM was performed and the accuracy was evaluated through the error matrix.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wildfire detection based on satellite image and data by the wildfire statistical annual report in 2020 and 2021. Also, wildfire damage areas was detected for which there is no current data in 2022. This is to quickly determine reliable results.

      • KCI등재

        유전체 시대에 반수체 육종의 재발견

        이슬기,김정선,강상호,손성한,원소윤,Lee, Seulki,Kim, Jung Sun,Kang, Sang-Ho,Sohn, Seong-Han,Won, So Yo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1

        DNA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진보는 많은 근본적인 생명현상을 이해하는데 기여해왔다. 유례없는 저비용에 염기서열을 대량으로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어 단일 규모의 실험실에서도 관심이 있는 종의 신규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전집단의 전체 염기서열을 편향되지 않은 채 분석하여 무수한 분자마커를 발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집단유전학 연구도 두드러지게 가속화되어 왔다. 그러나 식물의 유전체가 이형접합성, 반복염기서열, 배수성과 같은 복잡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기술이 매우 빠르게 진화함에 따라 적절한 개체 혹은 집단을 확보하는 것이 식물 연구에서 주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난제는 오래되었지만 매우 효율적인 기술인 반수체 육성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인 개체가 갖는 염색체의 절반을 보유하는 반수체 식물은 주로 자방이나 화분과 같은 배우체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빠르게 구축될 수 있다. 뒤이은 반수체 식물의 염색체 배수화는 완벽한 동형접합성을 보이는 안정된 배가반수체를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반수체 식물을 육성하고 판별하기 위한 고전적인 방법론을 요약할 것이다. 게다가 동원체의 히스톤을 후성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반수체를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전체 시대에 반수체 식물의 활용 방안을 유전체 해독과 집단 유전학의 측면에서 논의할 것이다. Advances in DNA sequencing technologies have contributed to revolutionary understanding of many fundamental biological processes. With unprecedented cost-effective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a single laboratory can afford to de novo sequence the whole genome for species of interest. In addition, population genetic studies have been remarkably accelerated by numerous molecular markers identified from unbiased genome-wide sequences of population samples. As sequencing technologies have evolved very rapidly, acquiring appropriate individual plants or populations is a major bottleneck in plant research considering the complex nature of plant genome, such as heterozygosity, repetitiveness, and polyploidy. This challenge could be overcome by the old but effective method known as haploid induction. Haploid plants containing half of their sporophytic chromosomes can be rapidly generated mainly by culturing gametophytic cells such as ovules or pollens. Subsequent chromosome doubling in haploid plants can generate stable doubled haploid (DH) with perfect homozygosity. Here, classical methodology to generate and identify haploid plants or DH are summarized. In addition, haploid induction by epigenetic regulation of centromeric histone is explained. Furthermore, the utilization of haploid plant in the genomics era is discussed in the aspect of genome sequencing project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 KCI등재

        Anti-tumor effect of Inonotus obliquus in xenograft animals with EBV+human gastric carcinoma

        이슬기,조효선,Lee, Seulki,Cho, Hyosu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6 미생물학회지 Vol.52 No.4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약용버섯으로 항암, 항산화, 항염효능 등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EBV 양성 위암은 EBV관련 암 중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형태로 EBV 잠복감염이 그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 주정추출물의 경구투여를 통해 EBV 양성 인간위암(SNU719) 세포주를 면역결핍 쥐에 주입 후 생기는 고형암 생성억제에 대한 효능을 연구하였다. 또한, 실험종료 후, 각각의 종양조직을 절제하여 항종양 억제기전을 탐구하였다. In vivo 종양생성억제 실험에서 차가버섯은 유의적으로 고형암 생성억제 효능을 보였다. 차가버섯이 투여된 동물유래 종양조직에서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p53, p21 및 Bax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cleaved caspase-9와 cleaved Parp 발현의 상승과 동반하여 항종양 효능이 세포자멸사를 통해 나타남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항종양 효능은 세포주 내 잠복되어 있는 EBV 바이러스 유전자인 BZLF-1 및 LMP-2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Inonotus obliquus is a medicinal mushroom with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It has reported to have strong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EBV+ gastric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EBV-associated cancers that were caused by latent EBV infe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I. obliquus using in vivo xenograft animal models implanted with EBV+ human gastric carcinoma (SNU719). We also explored the molecular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anti-canc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xtract of I. obliquus had an anti-cancer effect in in vivo xenograft mice with EBV+ gastric carcinoma (SNU719). Extract of I. obliquus also showed a great effect on inducing the expression of p53, p21 and Bax in tumor tissue derived from EBV+ human gastric carcinoma, and these were correlated with increased expressions of the cleaved forms of caspase-9 and Parp. Also, I. obliquus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viral proteins, BZLF-1 and LMP-2 in tumor tissue from EBV+ human gastric carcinoma.

      • 안전색채를 적용한 가정용 소화기의 색채 제안

        이슬기(SeulKi Lee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2

        가정화재의 비율이 가장 커짐에 따라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개인적으로 소화기를 보유하게 되면서 빨간색 원통형에 밸브와 손잡이, 호스가 부착된 분말형 소화기의 형태와 색채를 탈피한 소화기 시장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화재 골든타임의 첫 대응책인 소화기가 기능보다 감성에 치우친 시장 방향에 대한 우려에서 시작하였다. 개선 방법을 찾고자 국내에서 출시되고 있는 가정용 소화기의 색채를 조사하여 NCS 시스템으로 취합하였으며, 소화기의 대표 이미지인 R계열의 주조색 유지와 본체의 그래픽 요소인 강조색으로 쓰임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의 이미지이자 안전색채로서 방화, 소화를 의미하는 빨간색은 소화기로 인지가 쉽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수한 주조·강조색의 빨강을 안전색채인 색도 기준 7.5R 4/14로 통일시키는 방안과, 가정용 소화기의 형태 및 색채를 지정하기 어려운 현황에서 안전색채와 안전표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재난 시 취해야 할 인간 행동으로 소화기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사고 발생 시 가정에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져 피해 최소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논설문에서 중·고등학생의 내용어·기능어 사용 양상 연구

        이슬기(Lee, Seul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이 연구는 논설문에서 중 고등학생들의 내용어와 기능어 사용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년별 어휘 사용을 바탕으로, 학생 글에 포함된 내용어와 기능어를 마이닝 기법으로 분류·추출하 여 이에 대한 결과값을 학년별로 나누어 제시한 후, 학년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학년 글일수록 글 전체 어휘 수와 한 문장 내 어휘 수가 많았다. 또한, 학생 글의 내용어를 통해 학년의 변화에 따라 감정 단어 사용이 현저히 줄어들고 가치 판단 서술어 사용이 증가하는 등 논증 텍스트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어에서는 일정 학년을 기점으로 1인칭 대명사 ‘나’의 사용이 줄었으며, 다양한 접속 부사를 문종에 적합하게 사용하려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 에서는 논설문 쓰기에서 학생들은 내용어뿐만 아니라 기능어 측면에서도 학년에 따른 발달을 경험하고 있으며, 각각의 항목에 따라 도약적 시기가 상이함을 객관적 지표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age patterns of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academic essays written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 mining technique was used to extract and classify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students’ writings on the basis of the vocabulary words for each grade level. The results were examined per grade level; inter-grade difference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number of vocabulary words per essay and per sentence also increased. The content word analysis showed that,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essays were increasingly shaped into argument texts, with greatly decreased use of emotion words and increased use of words of value judgment description. Regarding function words, the use of I decreased, and a variety of conjunctive adverbs began to be appropriately utilized in sentences from a certain grade level.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s experienced development in academic essay writing according to their grade levels in terms of content and function words, and it was derived through objective indicators that students showed different periods of explosive development per item.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과의 만남을 통한 탈북학생 지도 교사의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이슬기 ( Lee Seulk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많은 환경에서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다문화사회 교사교육에서 주목해야 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탈북학생 지도 업무를 담당하는 다섯 명의 교사와의 참여적 연구를 통해, 이들이 다양한 북한이탈주민들과 지속적으로 만나는 과정에서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변화와 성장을 지향하는 교육적 맥락에서 탈북학생을 비롯한 다양한 위치의 북한이탈주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타자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성찰하고 재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보편성에 기반한 동질감을 가지고 고정된 특질로 대표되는 집단으로서가 아니라 개별 존재로서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인식하고, 이들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책임감이 있음을 인정하고 있는데, 이는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지속적인 만남과 관계 맺기 속에서 자신의 인식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교사교육의 내용으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의 지속적이고 다층적인 만남의 경험과 평등하고 민주적인 관계 맺기를 위한 태도, 자신의 인식을 돌아보고 재구성해나갈 수 있는 성찰적인 자세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educate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a lot of contact with North Korean migrants, and to derive what should be noted in teacher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a participatory study with five teac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continually meeting with various North Korean migrants. In addition, it seems that in the educational context aiming for change and growth, they were reflecting and reorganizing their own perceptions of others, forming friendly relations with North Korean migrants in various positions.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recognized the North Korean migrants in a way that recognized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beings, not as a group represented by a fixed trait with a sense of homogeneity based on universality, and recognized that they had a responsibility to accept them as members of our society. This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one’s own perceptions in continuous meetings and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n migrants.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 of continuous and multi-layered encounters with people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an attitude for establishing an equal and democratic relationship, and a reflective attitude to reconstruct one’s own percep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