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벌꿀 중 grayanotoxin 분석법 연구 및 실태조사

        이숙연(Sook-Yeon Lee),최윤주(Youn-Ju Choi),이강봉(Kang-Bong Lee),조태용(Tae-Yong Cho),김진숙(Jin-Sook Kim),손영욱(Young-Wook Son),박재석(Jae-Seok Park),임성임(Sung-Im Im),최희정(Hee-Jung Choi),이동하(Dong-Ha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야생꿀을 비롯한 벌꿀, 벌집채꿀 등 국내산 및 수입산 꿀의 안전관리를 위한 grayanotoxin(GTX)의 시험분석법 확립 및 실태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GTX 표준품 Ⅰ, Ⅱ, Ⅲ는 LC-MS/MS로 분자량을 확인한 후, 시판품인 III를 제외한 Ⅰ과 Ⅱ는 NMR을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총 111건(국내산 벌꿀 25건, 국내산 야생꿀 21건, 벌집채꿀 13건, 수입산 벌꿀 44건, 수입산 야생꿀 8건)의 벌꿀시료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벌꿀-메탄올 용액을 만들어 tC18 cartridge에 loading 한 후, 여과된 액을 동량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이온화장치로 ESI를 장착한 triplequadrupole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C의 용리액은 1% 포름산이 첨가된 “메탄올-물”을 사용하는 것이 10분 이내의 분석시간대에 나타나는 피크의 모양과 감도가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검체 중의 GTX Ⅰ, Ⅱ, Ⅲ의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총 111건 중 수입산 야생꿀 3건(2.7%)에서 GTX Ⅰ, Ⅱ, Ⅲ가 검출되었고, 수입산 야생꿀 1건에서 GTX Ⅰ, Ⅲ가 검출되었다. GTX Ⅰ의 검출량은 최소 3.13 ± 0.00 mg/kg에서 최고 12.93 ± 0.01 mg/kg으로 나타났고 GTX Ⅱ는 0.84 ± 0.01 mg/kg, 0.92 ± 0.00 mg/kg, 1.08 ± 0.01 mg/kg의 함량을 나타내어 GTX 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GTX Ⅲ는 최소 0.25 ± 0.01 mg/kg에서 최고 3.29 ± 0.74 mg/kg으로 함량에 큰 차이를 보였다. 본 방법을 이용한 총 111건의 벌꿀 시료의 GTX분석시 수입산 야생꿀 4건에서만 GTX가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휘발성 또는 극성 때문에 GTX 분석시 GC 및 GC-MS에서 분석이 어려운 벌꿀시료를 대상으로 전처리 시간의 단축을 모색함과 동시에 LC-MS/MS를 이용한 시험분석법을 개발할 수 있었고, 모니터링을 통하여 네팔, 터키 등 특정 지역의 야생꿀의 섭취를 제한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nalysis methods, and evaluated for grayanotoxin in domestic/foreign honey and wild honey. The molecular weight of grayanotoxins Ⅰ, Ⅱ and Ⅲ, excluding grayanotoxin Ⅲ that has been commercialized, were analyzed by LC-MS/MS. Then, the molecular structure of grayanotoxins Ⅰ and Ⅱ were analyzed by NMR. A total 111 samples (25 Korean honey, 21 Korean wild honey, 13 Korean honeycomb honey, 44 foreign honey, 8 foreign wild honey) were examined to determined whether or not each sample contained grayanotoxins Ⅰ, Ⅱ, and Ⅲ. The honey samples were mixed with methanol and loaded into a tC18 cartridge, the filtrate was diluted with water, and the mixture was then analyzed by ESI triple-quadrupole LC-MS/MS. Grayanotoxins were only found in the foreign wild honey and were not detected in Korean honey, Korean honeycomb honey, or Korean wild honey. Three of the samples contained grayanotoxin Ⅰ, Ⅱ, and Ⅲ, and one sample contained only grayanotoxins Ⅰ and Ⅲ. The lowest level for grayanotoxin I was 3.13 ± 0.00 mg/kg, and the highest level was 12.93 ± 0.01 mg/kg. The levels of grayanotoxin Ⅱ were 0.84 ± 0.01 mg/kg, 0.92 ± 0.00 mg/kg and 1.08 ± 0.01 mg/kg, respectively. The lowest level of grayanotoxin Ⅲ was 0.25 ± 0.01 mg/kg and the highest level was 3.29 ± 0.74 mg/kg. Through this study, safety management for foreign wild honey has been enabled.

      • KCI등재

        1930년대 한국 모던 걸(Modern Girl)의 화장문화(化粧文化)에 관한 연구

        이숙연 ( Sook Yeon L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Korean makeup to be spread out into the world in modern society, the makeup of the 1930s culture to study the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tried to feed this study. Era was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and World War II in the 1930s due to the atrophy of Beauty Culture, despite a peak in trained men and women from fashion to beauty culture had achieved. The 1930s, the modern Girl make of makeup culture analysis and Korea Beauty Culture lai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research that you want to aim.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rends and fashion makeup, makeup cultural and social order is influenced by the social influenc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ccelerate changes in the makeup popularized and influenced the makeup to bring cultural diversity. It may be the emergence of new ideas and elements to build the most stylish women in the rigid shape of the modern girl of the 1930s, and they pursue more than one concept, in the form of makeup. Modern girl was a symbol of modernity. New sensual style and knowledge of the owner, showed through the style of these (costumes, hair, decoration, language, rituals, etc.) will go to find their identity as a modern subject. Professor of beauty ten intensive analysis in the modern girl that corresponds to the 120 photos from the Western and South Korea``s modern walk to work compared to the feasibility of the selected photos and pictures are commonly rated target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irl, especially Western women, was an enthusiastic response to the Star. Mimesis bromide thinking of the female star like fashion, makeup, hair style and according to the star``s appearance or behavior such as gestures or speech, gait. Second traditional Damjang important elements of culture to cultivate the appearance of things soon to express the inner beauty of these virtues, culture became gentle and elegant makeup. Third modernism, I experience it follows the fashion phenomenon as representing the modern sense of modernism that customs and ideas quickly accept the forerunner of modern western actress beauty of your eyes to the nose of the modern woman``s beauty is the measure of the deep greatly to show the three-dimensional makeup began.

      • KCI등재

        15세기 조선의 改嫁 논쟁

        이숙인(Lee Sook-I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15세기의 조선에서는 과부의 개가를 둘러싼 두 차례의 대논쟁이 있었다. 성종 8년(1477)의 ‘개가 금지법 제정(制定)’을 둘러싼 1차 논쟁과 연산 3년(1497)의 ‘개가 금지법 개정(改定)’을 둘러싼 2차 논쟁이 그것이다. 과부 개가의 문제가 정치 현안으로 대두된 표면적인 이유는 유교 윤리에 입각한 풍속과 강상(綱常) 질서의 확립이었다. 총 46명의 학자 관료가 참여한 1차 논쟁은 10% 미만의 극소수의 주장으로 개가 금지법 제정으로 결론이 났다. 그것은 ‘재가녀자손금고법’으로 성종 16년(1485)에 공포된 『경국대전』에 등재되었다. 그 시행으로 복잡하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자 법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총 29명이 참여한 2차 논쟁이 구성되었다. 이 글은 두 논쟁을 중심으로 개가를 규제한 예의 논리와 개가를 논죄한 형(刑)의 논리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모색한 것이다. 과부 개가에 대한 두 차례의 논쟁은 크게 금지론과 허용론으로 구성되는데, 전자가 원칙론과 의리론에 근거했다면 후자는 시의론(時宜論)과 인정론(人情論)에 근거했다. 한 쪽은 그 시대의 주요 가치인 절의(節義)의 원칙론에 충실했다면, 다른 한 쪽은 물질적 정신적 어려움에 직면한 과부의 현실에 주목했다. 각 주장은 가부장적 사유 구조와 유교 지식이라는 공통의 기반에 서 있지만 개가에 대한 이해와 그 접근 방식은 일률적이지 않았다. 이것은 가부장제사회의 보편적 여성인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15세기 조선사회가 구성하는 여성 형상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 논쟁은 남성 엘리트 계층이 소외된 여성 계층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말하는가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듣는 효과를 보여준다. 논쟁에서 드러난 사대부 남성들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식은 이 시기의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가 된다. 즉 15세기의 두 논쟁은 과부의 고단한 현실을 진지하게 고민한 것이기보다는 상층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 논쟁의 성격이 짙다. 여기서 조선사회가 유교를 수용하여 전개시키 방법 및 태도의 한 특면을 엿볼 수 있다. In the fifteenth century, there were two great arguments on remarriage of a widow in Joseon society. The First was the argument around the enactment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in the eighth year under the reign of Seongjong(in 1477) and the second was the argument around the enactment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in the third year under the reign of Yeonsan'gun(in 1497). The nominal reason the problem of widow's remarriage was rising as a political issue was the establishment of custom manners and moral order. The first argument in which forty-six scholarly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ed resulted in the institution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by the assertion of less than 10% participants. Henceforth, the enforcement of the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brought about a lot of social problems.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the amendment of the prohibition law was proposed and broke out the second argument in which twenty-nine scholarly government officials took part. This paper analyzes the logic of the principle regulating widow's remarriage and passing judgement of widow's remarriage and re-illuminates its meaning in terms of history of ideas.

      • KCI등재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에서 수술 중 부갑상선 호르몬 측정 없이 시행한 최소 침습 부갑상선 절제술의 경험

        이숙현(Sook Hyun Lee),홍석준(Suk Joon Hong) 대한외과학회 2008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5 No.1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analyze the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ithout an intraoperative i-PTH test for the patients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Methods: We analyzed a total of 179 patients with sporadic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nd who underwent parathyroidectomy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February 1996 and September 2007.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ithout an intraoperative i-PTH test was performed in 75 patients under the guidance of a preoperative localization study that suggested the presence of single gland disease. Bilateral exploration was performed in 70 patients and unilateral exploration was performed in 34 patients. Results: The success rate of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ithout an intraoperative i-PTH test was 98.7%. Postoperative persistent hyperparathyroidism developed in only 1 patient among the 75 patients. The frequency of postoperatively confirmed single gland disease and multigland disease was 92.8% (166 patients) and 7.2% (13 patients), respectively. However, for most of the patients with multiglandular disease (11/13 cases, 84.5%), the possibility of multiglandular disease could be predicted by a preoperative localization study and these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candidate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ithout an intraoperative i-PTH test. For cases that the preoperative localization study suggested single lesion, the frequency of multiglandular disease in those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exploration was relatively low (2.7%, 1/38 cases). Conclusion: Selected patients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can be successfully managed with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and without an intraoperative i-PTH test when the preoperative localization study suggests the presence of single gland disease. However, careful evaluation of the preoperative localization study is mandatory to minimize the failure rate of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ithout an intraoperative i-PTH test.

      • KCI등재

        소문과 권력

        이숙인(Lee, Sook-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이 글은 16세기 중·후반의 조선에서, 학계와 정계에 풍파를 일으킨 한 사족 부인의 음행 소문을 재조명한 것이다. 소문의 주인공 함안 이씨는 상당한 재력을 가진 晋州의 진사 하종악의 후처로 들어와 28세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家奴와 음행을 저지른다는 그녀에 대한 소문은 곧 獄事로 전개되었다. 이에 이씨 배후의 ‘권력’과 南冥 曺植(1501∼1570)의 ‘권력’이 충돌하면서 陰謀說과 庇護說이 제기된 가운데 논쟁으로 격화되었다. 여기에 경상 지역의 명사들은 물론 중앙 정계의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게 되는데, 이 논쟁은 조선의 주연급 인사들이 총출연한 한편의 드라마를 연상케 한다. 한 여성에 관한 사소한 소문이 공론화되고 지역적으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권력 관계를 함축하는 사건이 된 것이다. 함안 이씨의 사건은 남명의 편지글과 정인홍의 글 그리고 진주 옥사에 대한 조정의 회의 기록, 퇴계의 편지글 등을 통해 그 대강을 파악할 수 있다. 소문에서 촉발된 이 사건은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 각자의 방식대로 재구성되고, 인용의 인용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되었다. 소문의 구성은 여성의 性(sexuality)이 소재가 되지만, 혈연과 학연에 따라 입장과 주장이 서로 대립되었다. 이씨의 소문에 대해 남명으로 대표되는 하종악 전처 측근과 李楨(1512∼1571)으로 대표되는 하종악 후처 측근이 서로 달랐고, 남명 문인과 퇴계 문인이 서로 달랐다. 소문 사건 이후에는 소문 그 자체의 문제보다 소문이 사건화되면서 발생한 문제들에 대한 상반된 기억과 주장들이 제기되었는데, 남명과 이정의 손자들의 조부 옹호론과 노론계열 인사들의 ‘남명론’이 있다. 소문을 보는 관점과 내용의 차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첨가되고 각색되는 양상을 보인다. 소문은 사회의 도덕적 기준과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매개역할을 하는데, 특히 여성에 관한 소문은 성별화된 위계질서를 지지하는 지식과 권력의 긴밀한 공조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점에서 함안 이씨의 소문 사건은 여성의 性에 대한 유교의 정치학과 사림 정치가 열리는 16세기 후반의 사회적 특성을 통해 의미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examine the rumor of a woman’s adultery, which raised a disturbance in academic and political sectors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period. The woman, whose family name is Lee and whose family clan is Haman, and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rumor, became the second wife of Ha Jong-Ak, a rich, upperclass man in Jinju(晉州) county in Kyung-sang province. She became a widow at the age of 28. The rumor that she had engaged in an obscene act with her slave developed into a great controversy between those who advocated for her and those who opposed her. Cho Sik(曺植, 1501-1570), a great scholar, was a representative of the group that opposed her. Many political leader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luding prominent figures of Kyung-sang province, also took part in the controversy. This great dispute reminds of a drama in which all of the major figures of the Chosun Dynasty appeared. A trivial rumor about a woman increasingly expanded into public opinion, and finally developed into an affair, which had various political implications. This paper explored the meaning of this rumor and affair by concentrating on the social context of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 KCI등재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 팥배나무 군락 보전방안

        이숙미 ( Sook Mee Lee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bas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Bongsa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rate of vegetation cover were composed of 72.3%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10.7% of Sorbus alnifoila Forest, and Sorbus alnifoila was founded as a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Core Zone of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welve 100 ㎡ sized plots were set up in Bongsa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o analyze annual diameter growth rate for major tree species, nine sample trees from research plots were measured. Expected ages of Sorbus alnifoila trees were 27~37years, Robinia pseudo-acacia trees were 17~26 years,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Prunus sargentii, and Quercus mongolica trees were 27~38 years. As a result, annual diameter growth r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tended to remarkably decreased, Sorbus alnifoila had the wood on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woody plant species. Importance values of Sorbus alnifoila in the three layers of Sorbus alnifoila communities were evenly high

      • KCI등재

        고속 하틀리 변환에 의한 의약품 미분스펙트럼의 확인 시스템의 개발

        이숙연(Sook Yun Lee),노일협(Ihl Hyeob Ro),박만기(Man Ki Park),박정일(Jeong Hill Park),조정환(Jung Hwan Cho) 大韓藥學會 1991 약학회지 Vol.35 No.1

        Fast Hartley transform(FHT) wa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derivative UV spectra of pharmaceuticals, with the advantages of relatively shorter computing time of FHT and more precise results. The arccosine value of dot product of two vectors of normalized FHT coefficients calculated from two compared derivative spectra was a reasonable parameter for the spectral identification. Using this parameter, the similar patterns of derivative spectra of 13 penicillins can be differenciated from each other.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and the minor contamination did not interfere the results of identification procedures. All these procedures of identification were accomplished successfully by the computer program, [SPECMAN PLUS] version 1.30,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articl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이숙연(Lee, Sook Ye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1

        고도로 정보화된 현대사회에서 범죄수사의 성패는 디지털증거의 수집 여하에 달려 있을 만큼 디지털 증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적법하게 수집된 디지털 증거의 경우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이 무엇인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견해가 나뉜다. 진정성은 성립의 진정과 동일성‧무결성을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이나, 증거능력 판단의 각 단계에 적확하게 적용되는 요건으로 삼기에는 그 외연이 너무 넓다. 동일성은 우리 판례가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요건으로 보이고, 무결성은 이를 담보하기 위한 요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성은 압수된 증거가 영장주의에 위반한 것인지 증거수집의 적법성을 따지는 단계에서, 적법하게 수집된 증거라면 증거가치를 따지는 단계에서 고려될 요소라고 할 것이다. 원본성은 우리 소송법이 요구하는 증거능력의 요건은 아니며, 다만 원본의 개념을 넓힌 미국 연방증거규칙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313조의 개정에 따라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에는 변화가 있는지 및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가 필요하다. 개정 형사소송법 제313조은 진술서의 작성자가 진정성립을 부정하는 경우에도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으로 작성자를 특정하고 진정성립을 증명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하였다. 수사과정과 무관하게 작성되어 허위개입의 여지가 적을 것으로 보이는 진술서에 대하여 작성자의 진술 외에 진정성립을 인정할 다른 방안이 만들어진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관하여는 수사기관의 원칙을 준수하면서도 창의적인 접근과 함께 판례의 유연하고 합리적인 판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해당 증거가 전문증거인지 여부에 대하여도 보다 섬세한 판단이 있어야 하고 이에 관하여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판례 및 학설의 변화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적법하게 수집된 디지털증거에 있어 증거능력 요건은 동일성으로 족하고 무결성은 동일성을 담보하는 요소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형사소송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동일성은 여전히 증거능력 판단에 있어 의미있는 기준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gital evidence has been growing so that the success of major investigations depends on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There has been various views on what requirements for digital evidence to be admissible. Authenticity would be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essence of identity,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formation, however, it is too broad to apply precisely to each step of judg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dentity can be seen as the only requirement that our case is consistently demanding, and integrity can be a factor for securing it. Relevance will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judging the legitimacy of evidence collection, whether it is a breach of warrant requirement, or in the stage of assessing the value of legitimately collected evidence. The originality is not a required in our Criminal Procedure Act. However, the U. S. federal evidence rules widening the concept of "original" of Electronically Stored Evidence could be a solution. Article 313 of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Act introduces a way to identify the author of a document by "objective methods" such as digital forensics or expert opinion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even when the author of the statement denies that he or she wrote it. This amendment can be a step forward to improve our evidence rules in criminal procedure. However, there should be accumulation of cases to find what ‘objective methods’ will be. It is necessary for the investigation agency to contrive methods objective and scientific enough to satisfy the amended article. Courts are responsible to reasonably assess the methods and judge the admissibility of given evidence. Judgments and theories on hearsay evidence have been elaborated recently and the amendment will be a trigger to a further development of case laws and doctrines. In conclusion, for legitimately collected digital evidence, identification should be only meaningful requirement to be admissible before judging whether it is not hearsay evidence or exception of hearsay rules. Integrity would be a factor guaranteeing identification. Despite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dentification is still a meaningful criterion in judging ev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