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 동향

        이수연(Yi Soo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72편의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 예술교과 활용 비율, 심리 정서 지원의 중재 요인 및 영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분야와 주제 유형은 미술과 체육 등의 예술 분야에서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 활동의 개발 및 중재 효과를 알아본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아동이 많았고, 체육과 미술교과를 활용한 연구가 높은 비율로 수행되었다. 심리 정서 지원의 중재 요인과 영역을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 내면 탐색을 통한 긍정적인 자기 자원 형성, 자기동기화가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조절 영역의 발달을 도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교육의 가치와 근거를 확인하고, 정서 발달의 세부 중재 영역과 요인 및 추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 분야에 대해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tudies on arts educa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 school settings. A total 72 studies from 2009 to 2018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trends, participants, art subject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tervention factors and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y of art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effect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were mostly conducted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y using physical education and art subject were conducted at a high rate. The intervention factor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 positive resource formation through self-exploration, intrinsic motivation. The goal areas wer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recognized the role and value in arts educa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specific goal for emotional development, intervention factors and future study subject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 방안을 위한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 고찰

        이수연 ( Yi Soo Y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8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의 수행률은 2011년부터 점차 증가하였고, 코로나19가 발생한 직후인 2020년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둘째,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 주제와 방법은 인식도 및 요구도와 만족도 요인, 현황 및 실태 조사, 방안 제시, 지도안 및 콘텐츠 개발과 적용, 수업 설계 등을 주제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온라인 콘텐츠 개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 셋째, 온라인 음악교육 방식은 콘텐츠 개발제공, 온라인 플랫폼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습자와 소통, 온/오프라인, 실시간/비실시간의 융복합 블랜디드러닝, 실시간 온라인 수업 진행, 실음 중심 및 자기 주도적 연습과 실천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온라인 음악교육 효과성 및 만족도 요인은 교수학적 내용의 난이도와 적절성, 이러닝 서비스 시스템 환경과 기술, 학습자 참여도와 자기주도 학습 능력, 학습 촉진을 위한 교수학적 전략, 상호작용과 소통에 있었다. 온라인 음악수업의 장점은 시공간 제약과 한계 극복, 교수법과 교구 교재의 창의적 개발과 활용, 학업 성취도 및 동기 부여의 자가 평가 가능이었다. 온라인 음악수업의 어려움 및 문제점은 소프트웨어 기술의 한계, 실음 중심 음악교과 수업 진행의 어려움, 수업의 참여도와 몰입도 저하, 교사 역량 부족이었다. 넷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음악교육을 위한 향후 요구도 및 대응 방안으로 온라인 콘텐츠 개발과 교육 환경 개선, 실음 중심 수업 진행 및 평가 방식과 시스템 구축, 다자간 소통과 교류 확대 방안 마련, 학습자 개별 관리 및 맞춤형 학습 시스템 구축, 교사역량 개발 및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음악교육 실태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각적 측면에서의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line music education research for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analysis of 48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1 to 2021 are as follows. First, online music education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from 2011, and the performance rate in 2020, right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creased rapidly. Second, the topics and methods were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demand, satisfaction factors, current condi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online music education, suggesting plans, development of guidance, class design, verification, content development and class design were conducted. Als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contents for online music education was actively conducted. Third, online music education methods were content or site utilization, communication with learners using online platforms and systems, on/offline, real-time/non-real-time convergence learning, real-time online classes, real sound-based or self-directed practice. The online music educati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factors were found the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contents, e-learning service system, learner participation and learning ability, pedagogical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advantages of online music classes were to overcome time-space limitations, creative development and use of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self-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online music classes were found to be limitations in software technology, difficulty in conducting music-oriented classes, lower participation, lack of teacher competency. Fourth, the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were music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practical sound classes and evaluation methods, multilateral communication, individual learner management and customization, learning system construction,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music education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for the Post-COVID era.

      • KCI등재후보

        인문치유적 접근의 사물놀이 지도 방안

        이수연(Yi, Sooy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돕는 인문치유적 접근의 사물놀이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성 및 사회·문화적 속성에서 인문치유적 요소와 원리를 탐구하고, 자기 표현 및 탐색과 성찰, 타인 이해 및 소통과 친밀감 형성을 돕는 사물놀이 지도안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첫째, 사물놀이의 인문치유적 요소를 탐구하여 사물악기, 장단, 사물연주 형식, 구음과 사설 요소를 중등 국악교육에 치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사물악기, 장단, 구음과 사설을 자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자기 탐색과 성찰 및 타인의 이해를 돕고, 긴장과 이완의 반복 연주형식을 활용하여 부정적인 감정의 분출과 해소를 유도하며, 즉흥적/상호 교류적 연주 경험을 통해 타인과의 음악적 소통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치유적·교육적 접근의 사물놀이 활동을 개발하였다. 셋째, 교과학습 목표, 인문치유적 목표, 차시별 활동과 준비자료, 활동 유형과 적용 영역, 활용 방안, 활동 내용과 진행 방법, 수업진행 의도와 유의사항, 활동에 적용된 인문치유적 요소와 원리를 상세화한 총 8차시의 인문치유적 접근의 사물놀이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생의 심리·정서·사회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인문치유와 국악의 학제간 연합을 시도하여 인문치유적 접근의 사물놀이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물놀이 교육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교육의 실질적인 목적과 학문적 흐름에 부합하는 지도안이 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지도 방안의 타당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 후 효과나 만족도를 조사하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based on the humanities therapeutic approach, which helps the holistic growth and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it examined the humanities therapeutic elements and principles withi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cultural properties of Samulnori. Based on such examination, the teaching method of Samulnori that helps students express themselves to explore and self-reflection,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nd form intimacy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therapeutic elements of Samulnori were examined to seek ways to apply the Samul instruments, rhythms (Jangdan), Structure, articulation, vocalization and private elements (Sas ŭl) to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apeutically. Second, the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that applies the humanities therapeutic elements and principles was designed. This activity helps with self-exploration and introspection, as well as understanding others. Also, it induces alleviation of negative emotions by using repetitive playing forms of tension and relaxation. These therapeutic and educational approach of Samulnori activities were developed, where musical communication and intimacy with others are formed through Samul-improvisation and reciprocity playing experience with others. Third, the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based on the humanities therapeutic approach that consists of 8 classes was designed. This teaching method specified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humanities therapeutic goal, activities and preparation materials for the class, activity types and applicable areas, utilization plans, intention of activity and precautions during instruction, and humanities therapeutic elements and principles applied to activities. This study presented a Samulnori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humanities therapeutic approach by attempting interdisciplinary association between humanities therapy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se teaching method promotes middle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also gives meaning and value to Samunori education. This may be a teaching method that appropriates the practical purpose of education and academic tendency. Future studies should apply the teaching method to education environment condition to verify validity and utilization, also examine its effects or satisfaction.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 발화 단어의 선율 특성 분석

        이수연(Yi, Soo Yon),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onal elements in word utterance of 30 pre-school children. For the analyses, 240 utterances of 4 syllable words were processed to extract acoustic values and then the data was transformed into tonal height in order to examine the contour.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n pitch of a note is C4½(271.17Hz) and high and low pitched notes are C5½(452.57Hz) and G#3½(192.54Hz). The pitch patterns of the 4 syllables measured at the frication and aspiration portion are E4½-F4-B3½-A3 and F4-E4-B3-A3. The pitch patterns of consonant clusters are B3½-D4-B3½-A3½ and A#3½-C4-A3-D4½. The analyses of tonal elements in this study provide evidentiary data on tonal height helpful for developing melodic contour.

      • KCI등재

        국악 제재 곡에 대한 청소년의 정서 반응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연 ( Yi¸ Soo Y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교과서 국악 제재 곡에 대한 청소년의 정서 반응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친숙도와도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도 소재 A, B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교과서에 수록된 장르별 국악 제재 곡 18곡에 대한 부정과 긍정, 이완과 자극의 정서 반응과 선호도 및 친숙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제재 곡에 대한 부정과 긍정의 정서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며 친숙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 제재 곡에 대한 진정과 각성 반응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친숙도와도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악 제재 곡에 대한 학습자의 정서 반응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 구성의 방안을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장르의 국악 곡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정서 반응과 경험적 요소들을 알아보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on music preference and familiarity of adolescents.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03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Gueonggi-do. The emotional response, preference and familiarity of 18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influenced the preference and familiar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rousal and sedation response did not influence preference and familiarity. This study helped understand the learner’s emotional respons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plan for music class structure that can increase preference and familiarity.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o conduct research on emotional responses and empirical elements in various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음악교육·음악치료의 학문간 연계 연구 동향

        이수연(Yi Soo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음악교육과 음악치료의 학문을 연계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총 33편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연대별 출판 현황, 학술지 분야별 연구, 연구 유형,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도구를 기준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와 국외에서 음악교육과 음악치료의 연계 연구가 음악교육학, 음악치료학, 예술치료, 특수교육, 장애 연구, 심리상담, 교육학 등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 수행되었다. 연구 유형과 주제를 비교하면, 국내에서는 음악교수법이나 국악을 음악치료에 접목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고, 국외에서는 음악교사와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인식이나 학문적 특성 비교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과 사용된 연구 도구를 살펴보면, 국내에서는 프로그램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한 양적 연구의 비율이 높았고, 국외에서는 학문에 대한 인식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면담지를 사용한 조사 연구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국외에서 음악교육과 음악치료를 접목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 분야와 유형 및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ontent analysis on 33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from 1997 to 2018, in order to review interdisciplinary research trends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therapy.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analysis was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trends in research field, study subjects, research types, method and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have increased recently and have conducted in various fields of music education, music therapy, arts therapy, special education, study of children with disability, psychological therapy and education. In the research type and subject, the study of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ment using Orff, Dalcroze, Kodaly method 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applying to educational and therapeutic fields was conducted frequently in domestic journals. In international journals, the study focused on comparative perception on music teacher and music therapist or the survey on academic intersections between music education and music therapy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method and materials, th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standardized test was conducted mainl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s in domestic study. While the survey research by interview was conducted much more frequently in international journals. This study recognized the valu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pproaches to music education and music therap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study subject, research type and metho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research trends.

      • KCI등재

        언어,교육 : 현대국어 형식감소형 은어의 사용 양상 -인터넷 육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수연 ( Soo Yeon Lee ),이선웅 ( Seon Ung Y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shortened word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Korean online community. They are not only used in spoken language but also in written language. They only used in online community and recently, shortened words are more widely used than before. In order to fine out the features of shortened words, we collected some examples in online parenting community, because they are many people who used the new-shortened words like ``음차(유모차), 얼집(어린이집), 셤니(시어머니)``. For analyzing the phenomena, this paper mainly dealt with two major fields. Firstly, we discussed the ways people make shortened words. Most of them are made by omitting non essential vowels or using syllable acronyms. Secondly, we surveyed users` language attitudes about the use of our examples Already mentioned, The words are often used in parenting community but other peoples who didn`t belong to that community didn`t know those and they have negative attitudes about those. So we can observed the relation of shortened words and in-group slang.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new-shortened words, it can used as in-group sl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