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할룩스 포인트 인솔이 발의 접촉면적 및 압력에 미치는 영향

        이수경,안수홍,김용운,양기은,Lee, Su-Kyong,Ahn, Su-Hong,Kim, Yong-Woon,Yang, Ki-Eu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21 PNF and Movement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foot contact area and pressure when walking with a functional insole that emphasizes the Hallux point as compared to a general insole. Methods: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plantar pressure and contact area for a functional insole that emphasized the Hallux point as compared to a general insole. A lower extremity robot was used for walking reproduction. First, the gait sequence according to the two insoles was determined throug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son. According to the sequence procedure, the insole was attached to the shoe and then worn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xtremity robot for gait reproduction at a normal gait speed of 20 steps per minute. After programming the robot to walk,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result value was determined by averaging the pressure and area data of the fore and rear foot measures after walking at 20 steps per minute. Results: The functional insole that emphasized the hallux poi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orefoot and rearfoot contact area (p < 0.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orefoot and rearfoot contact pressure (p < 0.05) compared to the general insole. Conclusion: A functional insole that emphasizes the hallux point does not collapse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during gait, increasing foot stability and reducing fatigue. Thus, this functional insole needs to be widely used clinically.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신념과 귀인성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수경(Lee su kyong),이경은(Lee gyo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신념과 귀인성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동기의 방향성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J시에 거주하는 117명의 초등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4월∼6월 동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귀인성향이 외적귀인성향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지능신념, 귀인성향, 학습몰입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 능신념과 외적귀인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능신념은 내적귀인성향에 정적상관을 보였고 외적귀인성향에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내적귀인성향은 학습 몰입에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귀인성향은 학습몰입에 영향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본격적인 학습이 시작되는 초기에 해당하는 초등시기부터 지능이 노력이나 연습에 의해 변화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학습상황에서 발생하는 성패에 대해 내적귀인성향을 유발해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지속적인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forming positive direction of motivation in study by analyzing effect of elementary lower grade student’s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tendency to learning immersion. In this study, a survey was done focusing on 117 numbers of elementary students in 1∼3 grades who live in D city and J city from April to June 2018. Primary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shows averagely higher results than external one. Belief on intelligence and external attribution tendency has meaningful difference about grades among belief on intelligence, attribution tendency and learning immersion. Second, belief on intelligence has positive relation with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and negative relation with external one. Also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shows positive relation with learning immersion. Third, attribution tendency has result that i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This study give suggestions that necessity of making environment to immerse on study by motivating internal attribution about the results occurring in learning situation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which can mak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intelligence is changeable by effort or training from elementary period, which is early stage of the learning.

      • 조선중기 무장 신여량의 행적 재검토

        이수경(Lee, Su-ky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9

        이 글은 임진왜란 시기 무장으로 활동한 신여량의 행적을 문헌과 유품을 토대로 재구성한 글이다. 그간 신여량은 임진왜란 시기 삼도수 군통제사 이순신의 휘하에서 경상우수영 수군 우후로 활동하였고, 임진년 초기 해전에서 거북선장으로 전공을 세운 것으로 소개되었다. 그가 남긴 유품도 이순신과 함께 싸운 전투에서 승리하여 받은 교서, 유서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은 난중잡록과 여지도서, 호남 절의록에서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기록된 신여량의 행적은 그가 남긴 유품 4점과 비교해 보았을 때 상이한 부분이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이러한 신여량에 관한 기록을 추적하였고, 임진왜란 시기 해전에 관한 당대의 기록물인 『임진장초, 『난중일기와 비교·검토하였다. 그의 정확한 행적을 알 수 없지만, 그가 남긴 유품의 상관성을 정리하여 행적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문화재로 지정된 그의 유품이 행적을 고증해 주는 학술적 자료였음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로 임란시기 무장으로 활동한 신여량의 행적을 재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그가 남긴 유품에 대한 올바른 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임란기 인물사 연구의 문제점은 전란기에 남겨진 1차 문헌으로는 개인의 행적을 제대로 추적할 수 없다는 점과 임란 이후 공신책봉 과정과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해 후대에 과장되게 기술된 자료 때문에 실재적인 사실에 접근이 대단히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호남지역 인물사 기술은 특히 호남절의록의 발간 이후 왜곡과 과장된 흔적이 강한데 신여량의 경우도 예외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호남절의록 기록의 근원을 추적하여 보니, 난중잡록에 서는 신여량의 생전의 활동상을 기록하였고, 여지도서와 호남절의 록은 그가 남긴 유품을 바탕으로 그의 행적을 추가로 정리하였으며, 사후의 추증까지 기록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 자료들에서 역사적 사실과 다른 면이 심각하고 기술하는 자료들마다 내용도 또한 다르므로 신여량 행적을 정확하게 드러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constituted Shin Yeo-rang’s activities who was a military general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Imjin War based on related documents and the articles he left. Shin Yeo-rang has been introduced as a captain of the Turtle Ship called Geobukseon at naval battles during the early of Imjin Year, and he served as Gyeongsang Woosuyoung Woohu under Admiral Yi Sun-sin who was Samdo Sugun Tongjesa(meaning ‘Naval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 during the Imjin War. The articles he left were the documents called Gyoseo and Yuseo he had got after defeating the enemy at the battles with Admiral Yi Sun-sin. Such records are shown in Nanjung Jabrok and  Honam Jeoluirok. But,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his activities and the facts appearing in the documents by comparing his activities in the records with the four items left by him. Accordingly, the study traced the literature records related to Shin Yeo-rang,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that shown in 『Imjinjangcho and 『Nanjung Ilgi, showing the naval battles during the period of the Imjin War It is difficult to explain his exact activities that time, but the items he left as legacy let us reconstitute what he di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His legacy was designated as the Treasure of the Cultural Properties, which proves that can be a historical material showing his life. It is expected that this review can be a momentum to reestablish Shin Yeo-rang’s activities as a military general in the Imjin War. In addition, I hop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give a right explanation of his legacy.

      • KCI등재

        해남(海南) 대흥사(大興寺) 청허(淸虛) 휴정(休靜)의 부도(浮屠)와 석비(石碑)에 대한 고찰

        이수경 ( Lee Su-kyong ),임성춘 ( Lim Seong-chun ),김다빈 ( Kim Da-b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이 글은 해남 대흥사의 청허 휴정대사 비를 소개하고 부도와 함께 문화재적 차원에서 검토를 중점에 두었다. 따라서 그의 비를 소개하였고, 나아가 그의 문집, 비문, 대둔사 소장 비의 금석문, 사지(寺志), 지리지를 연관지어 그의 행적과 사명(寺名), 석조문화재 지정명칭 등을 검토하였다. 조선 전기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여지도서』에는 ‘頭輪山 大芚寺’라는 산명과 사명을 확인할 수 있었고, ‘大興寺’는 1647년 이곳에 세웠다고 전하는 ‘海南縣大興寺淸虛大師碑銘’이란 금석문과 1823년 간행된 『대둔사지』에서 각각 찾을 수 있었으므로 두륜산의 ‘輪’자와 ‘대흥사’라는 절의 명칭이 일제 강점기에 생긴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남 대흥사에는 청허 휴정 대사의 유물이 다수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국가문화재 보물과 전남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전시되고 있다. 특히 부도전에 있는 보물 제1347호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의 탑신부에는 ‘청허당’이란 호가 새겨져 있다. 문화재 명칭과 실제 탑신부에 새겨진 명칭이 일치하지 않아 청허 휴정 대사 또는 서산대사에 관한 용례를 문헌으로 검토해 본 결과 부도의 명칭은 ‘해남 대흥사 청허 휴정부도’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淸虛堂行狀」, 『淸虛集』, 1630년 월사 이정구가 찬한 비문, 1632년 계곡 장유가 찬한 비문에서는 청허 휴정이 대흥사에 주석하였다는 사실과 자신의 의발(衣鉢)을 해남 대흥사에 전하라는 유언이 있었는지는 여부를 당대나 17세기의 사료로 직접적인 양자의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1727년에 채팽윤이 지은 ‘해남대둔사사적비명’을 고려하면 현존하는 휴정의 의발이 17세기 중반 무렵 전해졌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특기할 만 사항은 1791년 서유린이 찬한 ‘海南大興寺西山大師表忠祠紀蹟碑文’에는 휴정의 행장과 문집, 금석문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휴정의 의발 유의처로 대흥사와의 상관관계를 최초로 언급하였고, 후대에 쓰인 문헌자료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1778년에 건립된 청허 휴정 대사의 탑비를 분석하였다. 이 비문의 찬자 장유의 『계곡선생집』에 수록된 청허 휴정의 비명에 의하면 휴정이 남방에서 주석하였다고 한 곳은 ‘伽倻海印寺’로 기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명(碑銘)도 ‘淸虛大師碑’로 대흥사나 대둔사의 사명(寺名)이 비명에 기록되지 않은 반면, 1647년 해남 대흥사에 세웠다고 전하는 금석문에서는 휴정이 남방에서 주석하였다고 한 곳이 ‘伽倻海印寺’ 대신 ‘天冠諸庵頭輪大興寺’로 기록되어 있으며 비명도 ‘海南縣大興寺淸虛大師碑銘’으로 장유가 지은 비문과 금석문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131년 후에 같은 비문으로 청허 휴정 대사의 비를 다시 세우는데, 그에 관해서는 이유를 연담(蓮潭) 유일(有一)의 문집에서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tone stele of Buddhist Master Seosan at Daeheungsa Temple and reviews that with the stone stupa from a view of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d the stone stele of Master Cheongheo Hyujeong at Daeheungsa and reviewed his activities, temple, and name used in the designation as stone cultural property by relating to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inscription or epigraph on the stele at Daedunsa temple, Saji, and Jiriji. There appeared the name of the mountain and the temple, ‘Duryunsan and Daedunsa’ in geographic books,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in early Joseon and 『Yeojidoseo』 in late Joseon, and ‘Daeheungsa’ as another name of Daedunsa in the epigraph, ‘Haenamhyun-Daeheungsa-Cheongheodaesa Bimyeong (meaning Stele of Master Cheongheo at Daeheungsa in Haenam-hyun)’ built in 1647 and 『Daedunsaji』 published in 1823. Thus, it is true that the letter, ‘Ryun’ of Duryunsan and the name of ‘Daeheungsa’ were not mad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aeheungsa has lots of Master Cheongheo Hyujeong’s relics, and some of them have been maintained and displayed as designated Treasure of National Cultural Property and 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nnam. Especially, Treasure No. 1347, ‘Stele of Master Seosan at Haenam Daeheungsa’ in Stupa Hall shows his pen name, ‘Cheongheodang’ engraved on the body of the ste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me used in the cultural property.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as entitled as 『Cheongheodangjip』 meaning Cheongheodang Collection, and late-Joseon Dharma lineage and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show his official pen name as Cheongheo, which means that his name used on the stupa should be changed to ‘Stele of Master Cheongheo Hyujeong at Haenam Daeheungsa’ by reflecting the historicity of the official name. Lastly, the study analysed the stone stupa of Cheongheo Hyujeong established in 1778.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f Cheongheo Hyujeong shown in 『Gaegok Seonsengjip』 by Jang Yoo who was the writer of the inscription, the place where Hyujeong joined a Buddhist monastery in the southern part was recorded as ‘Gaya Haeinsa Temple’, and also the stele was mentioned as 「Stele of Master Cheongheo」 with no record of the name of Daeheungsa nor Daedunsa. While the stele known as built in 1647 at Daeheungsa in Haenam says the place where Hyujeong joined a buddhist monastery in the Southern part was ‘CheongwanJeam- DuryunDaeheungsa’ instead of ‘Gaya Haeinsa’, and the name of the stele as ‘Stele of Master Cheongheo at Haenamhyun-Daeheungsa’ different from that of Jang Yoo. After 131 years, the stele for Master Cheongheo Hyujeong was rebuilt with the same inscription, and the reason was presented in Yeondam Yoo Il’s collection of works.

      • 고흥 충절인물 송제·송덕일의 활동과 현창

        이수경(Su-Kyong Le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8

        전라남도 기념물‘남양송씨쌍충일렬각(南陽宋氏雙忠一烈閣)’ 에 명정된 남양송씨(南陽宋氏) 송제(宋悌)와 조카 송덕일(宋德馹)의 생애와 활동에 주목하였다. 임진왜란 동안 활동한 두 충신이 조선 후기‘쌍충’정려를 받는다. 쌍충 정려에 명정된 송제와 송덕일의 행적을 당대의 기록과 사후의 기록을 살펴본 후, 후손들이 선조(先祖)를 현창하는 일면을 찾아보았다. 두 충신 송제와 송덕일의 행적을 살피면서 남양송씨대동보 와 한국역대인물을 소개하는 누리집에서 이들의 출생 시기와 과거급제 시기, 사망 시기, 행적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송제는 1559년 태어나 1585년 무과 급제하였다. 송덕일은 1565년 태어나 1591년 무과 급제하였다. 송제는 1593년 2차 진주성전투에서 충청병사 황진에게 소속되어 당진현감으로 참전하여 35세 나이로 순절하였다. 송제는 선무원종공신 2등으로 책훈, 진주 창렬사에 배향되었다. 조카 송덕일은 이순신 휘하의 군관으로 활동하다가 종전 후 1603년 목포만호, 1604년 임치진첨사, 1605년에서 1606년까지 진도군수로 재임한다. 1605년 선무원종공신 2등으로 녹훈된다. 이어 1611년 동관첨사, 1615년 부령부사를 역임하면서 부령산성의 적개루를 축조하였다. 1617년 송덕일은 삼도수군통제사로 천거되었다. 송덕일은 1594년부터 1595년까지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군관으로 한산도와 전라좌수영을 오고가며 군관으로 군무를 살폈다. 일부 자료에서 송덕일은 1597년 진도군수로 명량해전에 참전하여 적장 마다시를 사살한 것으로 기록하였으나, 1597년 진도군수는 선의문이며, 송덕일이 진도군수로 부임한 해는 1605년이다. 이러한 이유로 송덕일이 1597년 9월 명량해전에 참전하였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문중 자료에는 송덕일이 1616년 8월 16일로 심하전투에서 전사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이날은 송덕일이 오랑캐 박수희를 붙잡은 공로로 가선대부로 가자되어 상가교서가 발급된 날이다. 송제와 송덕일은 고흥 운곡사에 모셔져 있다. I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activities of Namyang Song Clan Song Je and his nephew Song Deok-il, who are named in the Namyang Song Clan Ssangchung Ilyeolgak, a monument in Jeollanam-do. Two loyal subjects who were acti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ere treated as ‘ssangch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examining the records of the time and posthumous records of Songje and Song Deok-il, which were specified in the Ssangchung Jeongryeo, I looked for the side of descendants honoring their ancestors. While examining the tracks of the two loyalists Songje and Song Deok-il, there were errors in the time of birth, the time of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 and the time of death in the website introducing Namyang Song Clan Daedongbo and historical figures in Korea. Songje was born in 1559 and passed the military examination in 1585. Song Deok-il was born in 1565 and passed the military examination in 1591. In the second battle of Jinjuseong in 1593, Song Je belonged to Hwang Jin, a Chungcheong soldier, participated in the battle as Dangjin County Governor and died at the age of 35. Songje was enshrined in Chaekhun and Changryeolsa Temple in Jinju as the 2nd class meritorious subject of Seonmuwon. His nephew Song Deok-il worked as a military officer under Yi Sun-sin, and after the war, Song Deok-il served as Mokpo Manho in 1603, Imchijincheomsa in 1604, and Jindo county governor from 1605 to 1606. Subsequently, while serving as Donggwancheomsa in 1611 and Buryeongbusa in 1615, he built Jeokgaeru in Buryeong Fortress. In 1617, Song Deok-il was also recommended as the Samdo Sugun Commander. From 1594 to 1595, Song Deok-il went back and forth between Hansando and Jeollajwasuyeong as an officer of Yi Sun-sin, the commander of the naval forces in Samdo, and supervised military affairs as an officer. Some sources record that Song Deok-il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Myeongnyang in 1597 as the governor of Jindo and killed Madashi, the enemy commander. For this reason,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Song Deok-il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Myeongnyang in September 1597. Family materials describe that Song Deok-il died on August 16, 1616 in the Battle of Simha. In 1616, he was allowed to go to Gaseondaebu for his merits in catching Park Soo-hee, a barbarian, and this was the day when the Sangga Gyoseo was issued. Songje and Songdeokil are enshrined at Ungoksa in Goheung.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중 간행본의 무장 선거이 행적 검토

        이수경 ( Lee Su-ky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호남학 Vol.- No.72

        임진왜란 시기 인물사 연구는 전란기에 남겨진 1차 문헌으로는 개인의 행적 전체를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관찬 기록에 언급된 것이 빈약할수록 문중의 기록에 의존해야 한다. 선조(先祖)의 친필 기록과 관련 증빙 자료가 전하면 선조의 행적 기술에 충실할 수 있으나, 이마저도 없는 경우에는 선조의 행적은 과장되어 서술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들어 임진왜란 관련 지휘관의 후손들은 임진왜란에 참전한 선조의 행적 발굴과 함께 기념관이나 추모관 건립을 문중의 최대 현창으로 삼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보성 출신 선거이(宣居怡)의 마지막 행적인 1598년 울산성전투에 황해병사로 참전하였는지의 여부를 추적하였다. 보성 출신 선거이의 죽음 시기와 장소와 관련된 기록을 검토하였다. 선거이의 죽음에 관한 기록은 실록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며, 문중에서 간행한 자료에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선거이 관련 기록을 선거이 생존 당시의 것과 사후 가문 후손이 선조의 사적을 정리한 것과 구분하여 살폈다. 19세기 보성선씨 가문에서 발간한 행적집 초간본과 중간본 두 자료를 비교·검토하였다. 조선 중기에 기록된 선거이의 사적이 어떻게 기술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이 작업을 시도한 목적은 지역과 가문에서 인물선양사업에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eopl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difficult to trace the entire history of an individual with the primary literature left during the war. In particular, the scarcely mentioned in the official records, the more we must rely on the records of the family. If the handwritten records of Ancestor and related evidence are provided, the description of the actions of the Ancestor can be faithfully described. In recent years, descendants of commanders related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ve tended to make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hall or memorial hall along with excavating the deeds of Ancestor who fought in the Japanese Invasion, as the greatest honor project of the clan. In this paper, it is traced whether Seon Ge-yi, a native of Boseong, participated in the war as a Yellow Sea soldier in the Battle of Ulsan Fortress in 1598. Records related to the time and place of the death of Seon Ge-yi from Boseong were reviewed. The record of Seon Ge-yi's death is not mentioned in the Annals, but is in materials published by Munjung.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cords related to the election were examined separately from those recorded during the survival of the election and those compiled by descendants of the clan after the death of Ancestor. We compared and reviewed the first and intermediate editions of the book of Haengjeok published by the Boseong-seon family in the 19th century. This is to examine how Seongi's personal history recorded in the mid-Joseon period was described.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vide more accurate data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project in the region and family.

      • 이순신 장례기록과 장례과정 검토

        이수경(Lee, su-ky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0

        본고에서는 이순신 장례에 대한 기록을 검토하였다. 사적 제114호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중 월송대(月松臺)에 대한 기록을 완도군에 서 편찬한 관찬자료를 토대로 검토한 결과 고금도 통제영에서 이순신의 유해는 10여 일 머물렀다는 사실을 재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순신 관련 장례 기록을 검토한 결과 그의 유해가 월송대에 안치되었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월송대에 83일간 안장되었다는 이야기는 1980년대에 생산되었으며, 이는 조선시대 사대부의 상례(喪禮) 절차를 이해하지 못한 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사대부의 장사(葬事)는 상례에 따라 삼월장(三月葬)을 거쳐 장례가 치러졌기에 이순신 또한 삼월장을 거쳐 1599년 2월 11일 금성산에 안장되었다. 1614년(광해군 6)에는 금성산에서 어라산으로 묘의 이장 (移葬)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충훈부등록에서 찾아 본고에 소개 하였다. 본고를 통하여 그의 장례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review Wolsongdae of the Historical Site 114, ‘Yi Sun-sin Remains in Myodangdo, Wando’. The fact that Yi Sun-sin s body remained for ten days in Tongjeyoung in Gogeumdo was reaffirmed based on the historical literature which his body was arrived at his hometown in Asan through Tongjeyoung by his family after his death at the Noryang Naval Battle. And there is the fact that his body was buried after eighty (80) days from his death at the war in Mt. Geumseongsan in Asan according to the funeral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the funeral rites of the Sadaebu class called Samwoljang (3-month funeral) in that time. In addition, his grave was moved from Mt. Geomseongsan to Mt. Eorasan in 1614, because the posthumous honors were given to Yi Sun-sin as the first of Seonmugongsin (distinguished service in Imjinwoeran) in 1604. This study shows the records related to moving his grave through the register, Choonghunbu Deungrok .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register on April 17th, 1614 (6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the family of Yi Sun-sin had suggested that his grave should be moved and the process be carried out as the precedent meritorious retainer funeral, because Yi Sun-sin did not receive such a ritual service at the time of his funeral. It is expected this review would help the public recognize correctly and right understanding of Yi Sun-sin s historical background located in Gogeumdo, Wando, and and the fact of the moving his grave made in sixteen years from his death in the battle

      • 이순신의 애민정신을 보여주는 史蹟 문화재

        이수경(Su-Kyong Le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6

        1795년 정조는 『이충무공전서』에 이순신의 유물과 유적에 관련된 것을 모아 수록하게 하였다. 임진왜란 종전 후 약 이백 동안 이어지는 이순신의 추모 내용을 『이충무공전서』를 통해 알 수 있다. 1868년 이후의 서원 철폐령으로 이순신의 사당 제향은 끊겨 사적이 황폐화되었다. 일제강점기 사당 복구가 간간이 이루어지다가, 광복 후 대부분의 사당과 기념비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지속되는 이순신의 선양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왕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순신의 전적지, 사적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순신의 애민정신이 깃든 문화재를 선별하여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순신은 전란 중에도 백성을 보살피며, 전란 극복의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In 1795, King Jeongjo collected and recorded the relics and relics of Admiral Yi Sun-sin in 'The Book of Yi Chungmu Gongseo'. The details of Yi Sun-sin's commemoration, which continued for about two hundred years after the end of the Imjin War, can be found in the book of Yi Chungmu Gongjeon. After 1868, due to the abolition of seowon, the shrine was cut off and the ruins were devastated. Restoration of shr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intermittent, but after liberation, most shrines and monument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sites. This series of processes can be seen as the continuous succession of Yi Sun-sin

      •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의 삼도수군통제사 임명 일자 검토

        이수경(Lee, Su-ky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2

        이순신의 통제사 임명일이 언제이냐의 문제는 이순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의 주역을 강조하는 데 있어서 소소한 부분이다. 조선 시대 통제영, 통제사를 다룬 대부분의 연구는‘이순신은 1593년 8월에 통제사로 임명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실제 현재 전하는 국보 제76호 『임진장초』의 실물을 연구자들이 쉽게 접하였다면, 이 소소한 부분은 해결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충무공전서』의 장계를 인용하면서 이 문헌을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이순신의 필사본 일기와 『이충무공전서』의 일기의 영역까지 확장해 볼 수 있다. 국보 제76호 『임진장초』에는 장계를 올린 날짜와 직책이 기록되어 있으나, 『이충무공전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순신이 1593년 8월에 통제사로 임명되었다는 내용을 본고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임진장초』와 덕수이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순신의 교서 모음집 『교서』, 『이충무공전서』의 「삼도통제사를 임명하는 교서」를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The question of when Yi Sun-sin s appointment as a controller is a minor part of Lee s emphasis on the protagonist of victory in his emphasis on winn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Joseon Dynasty control officers and control history state that Lee Sun-shin was appointed as a controller in August 1593. If researchers had easy access to the actual existence of National Treasure No. 76 『Imjinjangcho』, this small part is believed to have been resolved. The reality is that most researchers rely entirely on the literature, citing the book s chapter. This situation can be expanded to include the diary of Yi Sun-sin s manuscript and the diary of Yi Chung-mu. National Treasure No. 76 『Imjinjangcho』 records the date and position of Janggye. This should not be overlooked. Yi Sun-sin was appointed as a controller in August 1593. In order to prove this in this paper, the collection of Yi Sun-sin s teaching books, collected by the National Treasure No. 76 『Imjinjangcho』, Deoksu Yi Clan, and the collection of Yi Sun-sin s teaching books, 「The Memorandum of Appointing the Commander of the Three Provinces도, were also compared and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