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중국어“유(有)/무(無)+以VP”구조와 그 상관구조 분석

        이소동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7

        本文主要討論通過與“ 有/無+NP以VP”, “有/無+可/足以VP”結構的比較考察“有/無+以VP”結構的形成過程.根据古代漢語的指稱規律,“有/無+以VP”結構對應于“有/無+所以VP”結構對應于“有/無+以VP”結構, 有/無+可/足以VP”對應于“有/無+可/足以VP者”.因此,縱理論上和語義上來講,動詞‘有/無’后面的“以VP”和“可/足以VP”就是“所以VP”和“可/足以VP者”結構中指稱化(轉換)標記‘所’,‘者’省略而形成的無標記指稱化的結構.實際上,古漢語文獻中,“有/無+可足以VP”和“有/無+可/足以VP者”結構都已對等的出現頻率反映這兩者語義理論上的對應關係,但是“有/無+以VP”和“有/無+所以VP”結構則不是這樣.因爲“有/無+所以VP”結構的出現頻率흔低,所以흔難難以接受“有/無+以VP”與타形成對應關系. 爲什마“有/無+所以VP”的結構的出新頻率這마低니? 無論現代還是古代, 不可能沒有語義上表示(沒)有方法(原因等)~``的語法形式. 古漢語里這樣的語義結構大部分是以“有/無+以VP”結構來表示的. 呂叔湘等認爲“有/無+所以VP”,但是這因爲“有/無”+所以VP的出現頻率低而不能獲得廣泛的認定. 古代漢語里,我們常見一個‘有’字結構,就是”有+NP+VP”.對于”有+NP+VP”結構,學者們的看法不一致,比如빈語補助語,后置定語,兼語結構,連動結構等說法.雖然如此,我們可以認定的是“有+NP+VP”結構中與動詞‘有’直接發生語義關系的就是NP.古漢語里“有/無+NP以VP”結構也是“有+NP+VP”結構的一踵擴大形式.我們通過考察而得知:古漢語里“有/無+NP以VP”結構在語義上和形式上與“有/無+所以VP”結構沒有什마不同,而且比타使用的更廣泛.“有/無+NP以VP”結構里NP的語義一般取決于后邊的“以VP”,這織染帶來的NP的省略,幷産生“有/無以VP”結構.我們可以認爲古漢語里“有/無+所以VP”結構就被當時廣泛使用的“有/無+NP以VP”及其省略形式“有/無+以VP”結構代替.

      • KCI등재

        고대중국어 ‘名而動’ 구조의 통사구조 재고

        이소동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8

        현대중국어에서 而자는 일반적으로 접속사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고대중국어 연구에서는 而자의 품사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데,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하나는 而자의 만능 접속기능 때문이며, 하나는 “명而동”구조라는 而자구조의 특수형태 때문이다. 而자구조에서 而자 전후의 의미관계는 승접, 병렬, 전환, 가정, 조건, 양보 등을 나타낸다. 초기 而자구문에서 而자는 승접이 주기능이었으며, 나머지 의미관계는 승접에서 확장된 것으로, 여러 층면에서 세분화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보다 상위 층차에서 보면, 이들 의미관계는 광의의 행위-결과 구조로 통합될 수 있다. 앞뒤 순서를 바꿀 수 없으며, 의미의 초점이 결과인 후구에 있다. 병렬 관계라 하더라도 而자구가 있으면 단순 병렬이 아닌 점층 병렬로 봄이 타당하다. “명而동”구조 역시 而자의 이러한 의미자질을 반영한 일종의 변형구조라 할 수 있다. “명而동”구조는 통사적으로 3가지 유형을 가지는데, “술, 而술”구조, “부, 而술”구조, “주(+술), 而술”구조가 그것이다. 여기서 而자는 여전히 뒤의 술어를 이어주고 강조하는 접속사 역할을 한다. 특히 “주(+술), 而술”구조는 고유명사 혹은 有指명사가 화제주어가 되며, 첫 번째 술어가 생략되어 형성된 형태이다. 이는 화용상의 이유와 행위보다 결과를 강조하는 而자구의 의미자질에서 야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老子』 대립구조의 NP, VP유형별 함의 분석

        이소동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4

        본 연구에서는 전 연구의 대립구조 분석을 이어, 대립구조를 NP, VP유형으로 나누어 8종 함의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타구조를 포함한 병렬, 편정(명사성), 주술, 술목, 수식(동사성), 연합구조의 7종이 각각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8종의 함의를 나타내었다. 병렬, 편정, 술목구조 출현 빈도가 비교적 낮다. 주술구조는 주로 판단문, 묘사문의 형태로 대부분이 도 혹은 현세의 사건에 대한 상반된 인식과 결과를 나타낸다. 수식구조 역시 주술구조와 비슷한 출현빈도와 함의를 나타내고 있다. 연합구조는 7종 유형가운데 월등히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구의 형태와 순접, 역접의 의미 구조를 나타내는 연합구조가 대립구조를 나타내기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모두 7종의 함의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중에서 도의 속성에 대한 상반된 인식과 ‘去此取彼’적 대립관계가 비교적 높은 출현빈도로 출현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LAOZI』 opposition structure into 7 types of NP and VP,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ight types of implications. Seven kinds of parallel structure, modifier-head structure, verb-object structure, subject-predicate structure, adverb-head structure, union structure, including other structures, showed eight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appearance frequency of parallel structure, modifier-head structure, verb-object structure is relatively low. subject-predicate structure is mostly in the form of a judgment statement or a description form, which shows the contradictory perceptions and results of '道'`s attributes or temporal events. Adverb-head structure also indicates the appearance frequency and similarity with subject-predicate structure. The union structure occupies a much higher appearance frequency among the seven typ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union structure that expresses the distich form and the adversative structure, is most suitable for showing opposition structure. The union structure shows all 7 implications. Among them, the contradictory perceptions and results of '道'`s attributes and the ‘去彼取此’ opposition structure appear at a relatively high frequency.

      • KCI등재

        《노자(老子)》 ‘도(道)’, ‘유(有)’, ‘무(無)’의 관계에 대한 문맥적 고찰

        이소동 한국중문학회 2018 中國文學硏究 Vol.0 No.70

        본문에서는 당시의 언어 현상에 근거하고, 철저한 ‘以經解經’의 방법으로 《老子》의 문맥 속에서 《老子》의 의미를 찾는데 초점을 맞추어, 《老子》의 ‘有’와 ‘無’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道’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道는 보이지 않는 기체(精 혹은 氣)로 차 있어 육안으로 관찰이 되지 않는 ‘無’의 상태이다. 이러한 기체는 끊임없이 운동하며, 운동의 작용(기체의 응집상태)으로 인해 우리 육안으로 관찰되어 ‘有’가 된다. 즉 ‘有’, ‘無’는 인간의 감각기관에 근거한 道의 두 모습일 뿐, 道는 그냥 생명력을 가진 기체가 혼잡하게 뒤섞여 응집과 해제를 반복할 뿐이다. Based on the linguistic phenomena at the time of the 《LAOZI(老 子)》 period, the text focuses on the meaning of 《LAOZI(老子)》 in the context of 《LAOZI(老子)》, examines the ‘YOU(有)’, ‘WU(無)’ and their relationship with ‘DAO(道)’. 《LAOZI(老子)》 says ‘WU(無)’ is the beginning of heaven and earth, and ‘YOU(有)’ is the mother of all things. The meaning of ‘YOU(有)’ and ‘WU(無)’ literally means existence and non-existence. In 《LAOZI (老子)》 chapter 1, the meaning of ‘WU(無)’ as the beginning of heaven and earth is the empty state of nothing before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the meaning of ‘YOU(有)’ as the mother of all things is because everything is created and viewed with the eyes. ‘WU(無)’ is filled with invisible gas (精 or 氣), always exercising. Everything is created by exercising, and all things are observed in our view through the coalescence of these gases. This is ‘YOU(有)’. In other words, ‘YOU(有)’ is ‘WU(無)’, and ‘WU(無)’ is ‘DAO(道)’. In 《LAOZI(老子)》, there are not many kinds of ‘YOU(有)’ and ‘WU(無)’, there is a ki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It is the same and the name is only different (同出而異名).

      • KCI등재후보

        V1+(N)+V2構式과 결과보어의 來源

        이소동 겨레어문학회 2007 겨레어문학 Vol.39 No.-

        V1+(N)+V2構式과 결과보어의 來源 V1+(N)+V2 construction and the origin of resultative complem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所介VP구조와 所(介)VP구조의 비교 연구 -《史記》를 중심으로-

        이소동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9 泰東古典硏究 Vol.25 No.-

        본고에서는 3가지 所字구문, 즉 ‘所VP’, ‘所介VP’, ‘所(介)VP’구조 가운데, 비교적 연구가 많이 되어 있고 의견의 통일성을 보이는 ‘所VP’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구조를 《史記》속에 출현하는 용례를 가지고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史記》를 통해서 고찰한 ‘所介VP’, ‘所(介)VP’의 두 구조는 명사화 한 뒤,지칭하는 어의 성분의 유형에 있어 서로 동일한 면을 띠고 있지만, 두 구조가 지칭하는 어의 성분 별 출현 횟수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所介VP’구조가 지칭하는 성분은 개사의 목적어 성분이다.《史記》에 출현하는 ‘所介VP’구조는 모두 447회이며, 출현하는 개사의 종류로는 ‘以’、‘為’、‘與’、‘從’、‘由’、‘自’의 6종이다.‘所(介)VP’구조는 외형상 ‘所VP’구조와 같지만, 지칭 성분은 동사의 목적어가 아닌 개사의 목적어인데, 단지 개사가 출현하지 않았을 뿐이다. ‘所(介)VP’구조는 ‘所介VP’구조와 마찬가지로 원인, 수단, 방법, 대상, 장소 등을 지칭하지만, 그 중 가장 많이 지칭하는 성분은 장소 성분으로 개사‘於’의 목적어가 된다. 이 점은 ‘所介VP’구조와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데, ‘所介VP’구조 중 가장 많이 지칭하는 성분은 원인, 장소이며, 장소를 지칭하는 ‘所於VP’、‘所于VP’구조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는 원래의 진술구에 있던 개사가 변환하는 과정에서 생략된 경우이다. 곽예(郭銳)가 이미 언급하였듯이, ‘개사+NP’의 개사구조가 보어 위치에 있을 때, 변환 과정중 NP는 所字에 의해 대체되어 문두로 도치가 되어 개사가 홀로 문미에 남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고대한어에서 이러한 상황이 용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문미에 홀로 남은 개사는 생략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로 원래 진술문에서 이미 개사가 없는 상태를 所字구조가 변환과정에서 그대로 반영하여 개사가 출현하지 않는 경우이다. 고대한어에서 명사가 개사 없이 단독으로 부사어나 보어가 되어 술어를 수식하는 경우는 명사의 일반적 기능으로 흔히 발생하며, ‘所字’ 구문은 바로 이러한 경우를 반영한 것이다.

      • KCI등재

        고대중국어 동사화의 내포동사 분석

        이소동 중국어문연구회 2019 中國語文論叢 Vol.0 No.91

        Implication verbs have been reconstructed in various ways in the study of ancient Chinese verbalization, and no regularity has been found. The verbization of English is very similar to the verbization of ancient Chinese, but its implication verbs are very limited to around 10 specie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the types and quantities of implication verbs is in the degree of meaning range of implication verbs. In other words, English is reconstructing implication verbs with relatively high degree of meaning range and Chinese is reconstructing verbs with low degree of meaning range. In this paper, the types of implication verbs were first categorized into verbs with the highest degree of meaning range based on cognitive bases. These are ‘shi 是’, ‘you 有’ and ‘wei 为’ that represent relationships, existence, and action. These three verbs can be subdivided into verbs with a lower degree of meaning rang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mplication verbs that represent relationships are ‘shi 是’, ‘zuowei 作爲’, ‘chengwei 稱爲’, ‘youruo 猶若’, ‘bianwei 變爲’. Implication verbs that represent existence are ‘you 有’, ‘fasheng 發生’, ‘xing 行’, ‘gei 給’, ‘shou 受’, ‘sheng 生’, ‘qu 取’, ‘zuo 作’. Implication verbs that represent action ‘wei 爲’, ‘yong 用’, ‘xiang 向’.

      • KCI등재

        『老子』 ‘正’, ‘奇’의 부가 의미 고찰

        이소동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6

        ‘正’ is used in several meanings in 『LAOZI(老子)』. ‘正’ originally means ‘punish’, and is often seen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 but since then it is mainly used as a derivation meaning of ‘get right’, ‘comfort’, ‘stabilize’, and ‘politics’. In『LAOZI(老子)』, besides this derivation meaning, there is also an additional meaning of the textual character of『LAOZI(老子)』. The meanings of the seven ‘正’ characters in『LAOZI(老子)』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olitics 正善治(Chapter8) 2) Absolute righteousness, truth 淸靜爲天下正(Chapter5)/ 我好靜而民自正(Chapter57) /正言若反(Chapter75) 3) Relative righteousness, truth 以正治國(Chapter57)/ 其無正(Chapter58)/ 正復爲奇(Chapter58) ‘正’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政’, except that there are two main categories: absolute ‘正’ and relative ‘正’. The former is ‘正’ at the angle of TAO(道), meaning ‘淸靜’, ‘無爲’. The latter refers to various laws, regulations, etc., which were made to be truth in the temporal angle. The latter is the act of ‘有爲’, which causes side effects, ‘奇’. It appears in the oppositional structure of ‘正’ and ‘奇’. ‘奇’ appears four times in 『LAOZI(老子)』. Appears alone or in a confrontation with ‘正’, both do not deviate much from its original meaning. The additional meaning in the opposition structure is a side effect of ‘正’, which can be seen as a social evil caused by the act of ‘有爲’ such as various laws and norms, and the remedies for it. ‘正’은 『老子』에서 몇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正’은 본래 ‘정벌하다’의 의미로, 갑골문에서 자주 보이지만, 그 이후로는 주로 ‘바로잡다’, ‘평정하다’, ‘안정시키다’, ‘정치’ 등의 파생의미로 사용된다. 『老子』에서는 이러한 파생의미 외에, 『老子』의 텍스트 특성이 가지는 부가의미도 존재한다. 『老子』에 출현하는 7개의 ‘正’자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가. 정사① 正善治 정치함에 ‘治’하기를 잘하고 (8장) 나. 절대적인 바름, 진리: ‘淸靜’, ‘無爲’, ① 淸靜爲天下正 맑고 고요함 이것이 세상의 바름이다(45장) ② 我好靜而民自正 내가 ‘靜’을 좋아하니 백성이 절로 ‘正’하고(57장) ③ 正言若反 진실된 말은 거꾸로 한 말 같다.(78장) 다. 상대적인 바름, 진리: 옳다고 여기는 것(법칙, 규율 등) ① 以正治國(이기용병) ‘正’으로 나라를 다스리고(57장) ② 其無正 아마도 ‘無正’일 것이다.(58장) ③ 正復爲奇 ‘正’이 변하여 ‘奇’가 되고 (58장) ‘正’은 ‘政’과 혼용되므로, 이것을 제외하면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절대적인 ‘正’과 상대적인 ‘正’인데, 전자는 도의 각도에서의 ‘正’으로, ‘淸靜’, ‘無爲’를 의미하며, 후자는 현세의 각도에서의 ‘正’으로 진리로 여겨 만들어 놓은 각종 법칙, 규정 등을 의미한다. 후자는 ‘有爲’의 행위로 그에 따른 부작용인 ‘奇’가 생겨나니, ‘正’과 ‘奇’의 대립구조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奇’는 『老子』에서 4회 출현한다. 단독으로 출현하거나 ‘正’과의 대립구조에서 출현하는데, 모두 그 본의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대립구조에 보이는 부가의미는 ‘正’에 대한 부작용으로, 각종 법률, 규범 등의 ‘有爲’ 행위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악과 그에 대한 미봉책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대중국어 ‘而’의 다기능성 고찰

        이소동 중국문화연구학회 2023 중국문화연구 Vol.- No.61

        In ancient Chinese, ‘而’ has generally been classified as a multifunctional conjunction. According to the study of this paper, the multifunctionality of ‘而’ was able to find unity in the frame that the front and back phrases of ‘而’ are the result structure. In the early stage of the appearance of ‘而’, words with similar unctions to ‘而’ appear at the same time. Those are ‘尔’, ‘且’, ‘乃’, etc. ‘尔’ has a homophonic relationship with ‘而’. Therefore, functions that overlap with ‘尔’ should be excluded from the unique function of ‘而’. Next, through comparison with ‘且’ which first appeared in the parallel structure at the time, it was found that the parallel structure of ‘而’ developed while absorbing the parallel function of ‘且’. Next, through comparison with ‘乃’, an adverb that connects both direct and inverse relationships, ‘而’is not an adverb but a conjunction, and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乃’ has a framework in the resulting structure that can connect both direct and inverse connections at the same t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applies to ‘而’. Centered on ‘而’, the following phrase shows the result. The preceding phrase indicates various backgrounds for the result, namely cause, method, time, direct, inverse, assumption, condition, state, quality, etc. The multifunctionality of ‘而’ is the result of focusing on the preceding phrase, and when the focus is placed on the next phrase, ‘而’ becomes a conjunction with a single function that represents the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