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인의 문제음주 DB 정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선화,Lee, Sun-Hwa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10
In this study, 8th Korea Welfare Panel data surveys utilizing 65 years age or older, problem drinking analyzed the impact on suicidal thoughts as a medium for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main analysis, First, Problem drinking appears to influence the level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of suicidal thoughts. Second,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ll level of problem drinking and suicidal thoughts. Third, Problem drinking was foun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is no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However, the higher level of problem drinking, the lower level of self-esteem, through the sign of regression coefficient is negative (-) potential of the relationship was confi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suicide with preparing for the elderly of problem drinking.
이선화(Lee Sun hwa),설 윤(Seol You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4
This paper estimates the transaction volume of housing market and forecasts the acquisition tax revenue for the case of Seoul in Korea. We apply to the fixed-effect panel model the monthly housing transaction data of the fifteen local governments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15. It forecasts that the housing transaction volume and the tax revenue will be cut by 5.7% in 2016 compared to 2015 if the related policy will remain as the same, and by 16.8% if the authority reinforces the regulation of the housing market.
이선화(LEE Sun Hwa)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9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0 No.-
보마르셰는 〈피가로 3부작〉에서 각각의 신분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출현시켜 신분별로 물질과 화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18세기 말 프랑스의 사회상을 압축력 있게 제시한다. 알마비바 백작은 돈으로 하인들의 노동력과 성을 사고, 피가로와 바질은 돈을 받고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하고, 바르톨로와 베제아르스는 타인의 돈을 갈취하기 위해 술수를 부린다. 이들이 보이는 공통점은 신분과 지위를 막론하고 물질만능주의, 배금주의에 사로잡혀 있다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자본주의를 향해 가는 시대적 흐름의 징후라 할 수 있다. 한편, 신분 상승에 따른 피가로의 물질적 욕망의 감소는 그가 속해 있는 신분계층에 대한 작가의 우호적인 입장과 계몽적 효과를 노리는 그의 연극관을 드러낸다.
의료보장 형태에 따른 연간 가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 추이와 관련요인
이선화(Lee Sun-Hwa),감신(Kam, Sin),이원기(Lee, Won K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2008년∼2011년『한국의료패널』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연간 가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 추이와 과부담 의료 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도별 과부담 의료비 발생률 추이는 교차분석(correspondence analysis) 을 실시하였고,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화 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이용하였 다. 연간 과부담 의료비 발생률 추이는 10%, 15%, 20%, 30%, 40% 역치 수준에서 각각 평균 25.1%, 15.4%, 10.1%, 5.4%, 3.2%로 나타났다. 과부담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간 총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가구주의 교육수 준이 낮을수록, 의료보장형태가 건강보험가입 가구일수록, 가구주가 장애가 있을수록,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총가구 원 수가 적을수록, 가구원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을수록, 가구당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을수록 과부담 의료비 발생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전반적인 보장성 확대를 위한 노력과 동시에 특히 의료비 부담이 큰 노인 가구, 만성질환 가구 등의 취약계층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 in household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healthcare coverage typ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based on the raw data of the Korean Health Panel over the years 2008 to 2011. Correspondence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rend in the incidence rates of annual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cidence of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The annual mean incidence rates of household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were 25.1%, 15.4%, 10.1%, 5.4% and 3.2% in the threshold levels of 10%, 15%, 20%, 30%, and 40% respectively. The incidence rate of household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was higher when the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was low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householder was lower, the healthcare coverage type was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householder had disability, the age of the householder was older,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as small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household members was lower, and the prevalence rate of the chronic disease of the household was higher(p<0.05). Therefore, a policy for vulnerable households with older or patient members of chronic diseases should be established.
이선화(Lee Sun-Hwa),석말숙(Suk, Mal-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고양시의 3개동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301명의 노인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 여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21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 연령, 종교, 동거인, 직업유무가 사회참여활동에 영향을 나타냈고, 직업의 유무는 성공적 노화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참여활동 하위변수인 자기개발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의 자아탄력성은 사회참여활 동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자기개발참여활동과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 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사회참여활동과 성공적 노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아탄력 성의 중요성을 재조명 하였다.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impact on successful aging purposes. It surveyed 301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is living in Goyang ci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and AMO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graphic variables appeared to affect social-participation activities through the gender, age, religion, partner and occupation, and Only the presence of the occupation showed the effect on successful aging. And in society participation activities sub-variable, only self-development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ful aging. Ego resilience of the elderly appeared to have a full-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However, the relationship of self-development engagement activiti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 practical measures for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and was revisited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