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선교신학 정립을 위한 십자가 신학 연구

        이선이(Seon Yi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아시아 선교신학의 정립은 시대적 요청이자 아시아 선교를 위한 기초작업이다. 아시아는 고등종교의 대륙이며, 문화적 다양성과 오랜 역사를 가진 특징이 있다. 특별히 아시아는 서구식민지를 경험하고 2차대전 이후 독립하여 새로운 발돋움을 위한 위기와 기회의 기로에 서 있다. 기독교는 일찍이 아시아에 전래되었고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서구의 아시아 선교의 노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시아에 뿌리내리지 못했는가에 대한 선교신학적 반성과 아시아 선교신학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서구 선교의 신학적 반성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시작되었으며 전통적인 선교에 대한 근본적인 수정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하나님 선교(Missio Dei)가 등장하면서 선교의 출발점이 교회가 아닌 삼위일체 하나님이 되었다. 하나님이 선교의 주체가 아닌 인간이 주체가 될 때 역사적 과오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십자가 신학은 개인 또는 사회, 세계가 위기를 겪을 때마다 재발견되어 해답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므로 십자가 신학은 아시아 선교신학의 중심이라는 논지로 전개하고자 한다. 기독교 신앙의 위기와 서구교회의 쇠퇴와 아시아 중심으로서의 선교학적 대응은 바로 십자가 신학의 본래의 의미에 대한 회복이다. 십자가 신학은 루터가 가톨릭의 스콜라 철학에 근거한 영광의 신학과 대비하여 대두되었으며, 깔뱅은 십자가를 지는 성도의 삶 성화에 주목하였다. 아시아의 십자가 신학으로 기타모리 가조는 십자가에서의 하나님의 아픔을 핵심으로 보고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으로서 일본의 아픔을 해석하였다. 송천성은 기독교 복음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통애(痛愛)의 최고의 표현이라고 하며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행위는 하나님의 사랑과 통애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십자가 신학의 아시아 선교적 이해로서 십자가에서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선교를 기반으로 다양한 의미가 발견된다. 서구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아시아를 품는 보편적 사랑의 십자가, 헬라철학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난 영혼구원과 사회적 책임으로서의 통전적 선교를 추구하는 구속의 십자가,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와 같은 힘과 무력에 의한 선교가 아닌 아시아 고난을 함께하는 고난의 십자가, 경제적 정치적 열악한 상황으로부터 인간화로의 해방과 죄로부터 해방의 십자가,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갈등으로부터의 화해의 십자가, 아시아의 희망이며 하나님 나라의 궁극적 승리를 의미하는 승리의 십자가이다. 아시아 십자가 선교신학의 모델은 아시아 선교신학의 중심에 십자가신학을 중심으로 그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십자가 선교신학의 근거는 삼위일체 되신 하나님의 사랑에 의한 구속의 뜻이다. 동기는 십자군이 아닌 십자가 사랑의 정신이다. 방법은 십자가에서 보여준 사랑의 행위로 온전한 복음화를 이루는 통전전 선교와 아시아의 모든 영역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가는 상황화이다. 목표는 초림과 재림 사이의 역사의 도상에서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는 것이다. 아시아 선교신학은 십자가 신학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각 방면에서 전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선각자 김마리아에 대한 선교적 조망

        이선이(Seon yi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기독교는 한국 역사의 격동기였던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에 전래되었다. 이 시기에 복음은 개인에게 옛 관습에서 벗어나는 해방의 기쁨을 주었고, 민족에게 일제 치하로부터 해방되리라는 소망을 갖게 하였다. 특별히 한국 여성들에게 복음에 의한 회심과 삶의 변혁이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등 여러 방면으로 놀랍게 나타났다. 한국 기독 여성들 가운데서 김마리아(1892-1944)는 선각자 역할을 한 본보기였다. 본 연구는 김마리아의 삶에 집중하여 회심과 변혁의 생애를 통전적인 선교적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김마리아는 초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인 가정에서 태어났고 기독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일평생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국인, 여성운동가, 교육가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활약하였다. 그녀는 한국인으로서 일제 치하에서 2.8 독립선언과 3.1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고문과 옥고를 치렀다. 또한 여성으로서 당시 집안에서 머물러 있던 관습에서 벗어나 양성평등사상을 가지고 대한민국 애국부인회를 조직하여 대외적인 활약을 하였고 여전도회연합회 회장으로서 교회 여성들을 이끌었다. 그녀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가로서 수피아 여학교, 정신여학교, 마르타 윌슨 여자신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김마리아는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김마리아는 당시 기독교인에게 당면한 선교적 과제인 독립운동과 여성평등을 위하여 변혁자로서 선교적 소명에 충실하였다. 또한 그녀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시대적 소명에 응답하며 한국 여성이 근현대사의 주체로 활동할 수 있는 장을 열었다.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그녀가 민족주의적 기독교를 추구하는 한계에 있었지만, 양성평등 관점에서 남녀 동반자 의식과 여성교육을 통한 주체성 확립을 추구하는 선각자적 정신이 있었다. 그녀의 변혁적 삶은 오늘날 아직도 장벽이 남아 있는 한국교회 여성과 경제적, 정치적, 성적 억압에 고통당하는 세계 여성들에게 도전을 준다. Missionaries arrived in Kor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of the most turbulent times in Korean history. The Good News brought by these missionaries liberated individuals from old traditions and gave the people hope of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Many Korean women especially experienced conversion and successful transformation. Among them, Kim Maria(1892-1944) was a role model for other Korean women. This paper examines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of Kim’s thoughts and activities. Kim was born into a first-generation Christian family and was a pioneer in Korean Christianity. She lived out her identity as a Korean, a female, and an educator. As a Korean, she participated in the Feb 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Mar 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for which she was arrested, imprisoned, and tortured. As a woman, she tried to realize her ideal of gender equality in her every activity. She formed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he was also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Women. As an educator, Kim taught students at Speer Girls’School and Martha Wilson Seminary. Kim died of the aftereffects of torture before she could witness Korea’s liberation. Kim was a leader who transformed the lives of oppressed women in Korea. As a kernel of wheat falls to the ground and dies to produce much fruit, her contribution and death liberated Korean women and the nation. Her missional life continues to inspire Korean women and others around the world still under gender, economic, political, or spiritual oppression.

      • KCI등재

        나혜석 · 딩링 · 히라츠카 라이초우의 ‘모성’인식 비교 고찰

        이선이 ( Lee Seon-yi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8

        본 연구는 근대 동아시아 삼국(한·중·일)을 대표하는 여성이론가 나혜석, 딩링, 히라츠카 라이초우의 생애를 살펴본 후 임신과 출산을 겪으면서 발표했던 그들의 ‘모성’관련 글을 고찰하고 비교해보았다. 동아시아 삼국의 여성들은 식민, 반식민, 제국이라는 정치경제적 상황에 구속받으면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삶을 영위했다. 그리고 사회문화적 삶은 전통과 근대성이 교차하면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룬 3인의 여성들의 인식, 특히 모성관은 근대의 변동이 만들어내는 정치경제적 요소와 사회 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삼국 ‘여성’들의 선택지는 근대가 갖는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 자연스러운 여성의 출산, 수유능력과 육아에 대한 책임 사이의 연계성 때문에, 그리고 인간의 어린 시절은 광범위한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여성의 어머니 노릇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여성의 어머니 노릇은 성별노동 분업의 몇 안되는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여성의 ‘장소’를 ‘자연스럽게’ 규정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러나 근대의 산물인 자아를 갖춘 여성 나혜석과 히라츠카는 이 어머니 노릇을 하나의 질곡(딜레마)로 받아들인다. 나혜석은 강렬한 자아를 갖춘 여성이지만 이 질곡을 사회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지 않았다. 때문에 자신의 글에 대한 대응을 비슷한 처지의 조선 여성들에게 기대했지만 반박의 글이 한 남성에게서 나오는데서 그치고 더 이상의 진전이 없었다. 히라츠카는 이전에 어머니 되기에 대한 소회를 밝혔던 일본 여성들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어머니 노릇’을 온전히 받아들인다. 어머니 노릇을 받아들인 여성이 겪어야만 하는 현실적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주체로 ‘국가’를 들고 있으며 이후 국가의 모성 보호를 주장하게 된다. 딩링은 이미 아이가 있는 위만전이 남편의 사후 근대적 자아에 눈뜨기 때문에 자아와 모성의 갈등을 겪을 여지가 없다. 이미 존재하는 아이들을 지켜야 하는 여성 위만전은 아이들을 망국민으로 만들지 않기 위하여 ‘국가’건설에 매진하고자 한다. 그리고 혁명사업에 일찍이 뛰어든 추근(秋瑾)과 같은 여성처럼 결코 남성들에게 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딩링의 어머니 위만전은 딩링에게 추근의 이야기를 자주 들려주었으며 측천무후를 흠모하는 여성이었다. 그녀에게 모성은 개인적 과제가 아니며 자녀 역시도 근대적 가족 안에서 자라나야할 대상은 아니었던 것 같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life of female theorists Na Hye-seok, Dingling, and Hiratsuka Raichou, who represent the three modern 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examines and contrasts their maternity-related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ir pregnancy and childbirth. Women in these three countries have been living in a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they were restrain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colonization, anti-colonization, and imperialism. Their lives under such circumstances would have also posed influences as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erception of the three women in this study, especially in regards to maternity,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changes in the modern era. The choices given to the ‘women’ simultaneously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modernity. Due to the connection between seemingly natural birth-giving, the ability to feed, and the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and, due to the extensive care and protection required for the children, women’s motherhood seems to be considered very natural. Thus, the motherhood of women is regarded as one of the few universal and ongoing elements of gender division in labor, making it appear that women’s ‘place’ of being is prescribed ‘naturally’. However, Na Hye-seok and Hiratsuka, who possessed ego as the product of modernity, accepted this motherhood as fetters, or a dilemma. While Na Hye-seok was a woman with a strong self-consciousness, she was not in a position to shake off her bonds in a social way. Because of this, she wrote to expect responses from other Korean women in a similar position. Her progress stopped after she received refutation only from men. Hiratsuka engaged in discussions in a context wherein Japanese women, who had previously expressed their impressions on becoming mothers, already existed. Hiratsuka fully embraced the concept of “motherhood.” She mentioned the ‘state’ as the subject to resolve the real problems of women who accepted motherhood, and further advocated the protection of maternity by the state. Dingling had no place to suffer conflicts of ego and maternity, as her mother Yu Man Zhen, who had already had a child, found her ego after her husband’s death. Yu Man Zhen, a woman who has to protect her existing children, strived to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China’ as she did not want their children to become a ruined people. She also mentioned she would never lag behind men, just like Qiu Jin, who had joined the revolution earlier. Dingling's mother, Yu Man Zhen, often told Dingling the stories of Qiu Jin, and was an admirer of Wu Zetian. To her, motherhood was not a personal burden, nor were her children an object to grow up in a modern family.

      • KCI등재

        추수감사절의 상황화에 대한 고찰

        이선이(Seon yi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5 No.-

        It is Thanksgiving day on the third Sunday of November celebrated in most Korean Churches. But they have raised questions of the meaning of Thanksgiving day because of incongruent time, losing the meaning of service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what Thanksgiving day is appropriate in Korean context. Appropriate contextualization is balanced between the text and the social context. First, we think if Korean Thanksgiving is based on the Biblical text, Korean Thanksgiving is the response of Koreans who God gave grace the same way as Israelites. Having a thankful mind is as biblical as Israel people in the Bible. Second, they wonder if Korean Thanksgiving is appropriative in Korean context. The Korean Thanksgiving is less appropriate. Charles Kraft explained the appropriate contextualization in three crucial dimensions; Relationship, understanding, and freedom. The relationship dimension is that Korean Thanksgiving has cultivated the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it is less developed than the relationship of neighborhood. The understanding dimension is that Korean Thanksgiving must be established by Korean knowledge through North American's missiology. The freedom dimension is that Korean Thanksgiving is not enough to show spiritual power as healing and witness. Korean Thanksgiving has had a history of 100 years so it indicates that it is time to move forward to a new direction. We think about Missional works through Korean Thanksgiving. We will respond to God and share with our neighbors in relationship dimension. They will establish Korean Thanksgiving Theology in the understanding dimension; foreign missionaries work, liberation from Japan colo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Korean war. We should expand thankful power for the sick people and societies in the freedom dimensio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is very short compared with Western history. Western mission work has been giving negative effects in Asian context because of forcing western culture and thoughts. In spite of lacking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al aspect, western missionaries devoted Korean evangelism. Korean Christianity has developed wonderfully. Koreans worship the creator God and the saver God. I suggest that Korean Thanksgiving should be more appropriate in the Korean context and also establish thanksgiving missiology and develop methodology for Korean Protestant.

      • KCI등재
      • KCI등재

        수경재배 시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 함량 복합 급액 제어에 의한 '설향' 딸기(Fragaria annanassa Dutch. cvs. 'Sulhyang')의 생육 및 품질

        최수현,김소희,최경,정호정,임미영,김대영,이선이,Choi, Su Hyun,Kim, So Hui,Lee Choi, Gyeong,Jeong, Ho Jeong,Lim, Mi Young,Kim, Dae Young,Lee, Seon Yi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우리나라 딸기 재배는 시설 재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농가의 급액 관리는 재배자의 경험을 토대로 타이머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타이머 급액 방법은 재배 환경, 작물의 생육 단계, 배지 수분 함량 등을 고려하기 어려워 작물을 최적 수준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급액 관리의 정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함량을 이용한 급액 방법은 작물의 생육 상태에 따라 정밀하게 양액을 공급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코이어배지를 이용한 딸기 수경재배에서 적산일사량과 배지 수분함량을 이용한 복합 급액 제어와 타이머 제어 급액 방법을 비교하고 복합 급액 제어 시 최적의 적산 일사량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적산일사량 급액 방법은 외부 일사량을 기준으로 100, 150, 250J·cm<sup>-2</sup>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급액하며 배지 수분함량이 60% 미만이면 강제 급액하고, 1회 급액량은 50mL로 공급하였다. 타이머 제어는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급액을 개시하는 적산 일사량 기준이 작을수록 일일급액량이 많았으며 100J·cm<sup>-2</sup> 기준 급액 시 급액량은 250J·cm<sup>-2</sup> 처리구 대비 46% 많았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복합 급액 제어 방법이 타이머 제어보다 높았으며, 100, 150J·cm<sup>-2</sup> 처리구에서 지상부 생체중이 높았고 100J·cm<sup>-2</sup> 처리구에서 건물중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수량 또한 타이머 제어 방법보다 복합 제어 방법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적산 일사량 기준이 작을수록 초기 수량이 증가하였다. 평균 과중은 타이머 제어 급액 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딸기의 정밀 급액 관리를 위하여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 함량 센서를 이용한 복합 제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trawberry cultivation in Korea is grown in greenhouse, but most farms manage their water supply using a timer control method based on the experience of growers. The timer control ha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weather condition, the growth stage of crop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ubstrate, so that the crops cannot be managed at an optimal level, and the accuracy of cultivation management are lacking. The watering methods using integrated solar irradiance and substrate moisture contents are control systems that provide eco-friendly and precise water supply considering the growth conditions of cro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mbined water supply control with integrated solar irradiance and substrate moisture contents and timer control method in hydroponic cultivation of strawberries using coir, and to set the optimal integrated solar irradiance level for complex water supply control. The irrigation system was automatically watered when it reached 100, 150, 250 J·cm<sup>-2</sup> based on the external solar irradiance, and forced irrigation was performed at a substrate moisture content of less than 60% in all treatments. The amount of irrigation at once was 50 mL. The timer treatment was applied as a control. The smaller the level of integrated radiation to start watering, the greater the daily amount of irrigation. Both the fresh weight and dry weight per plant were higher in the complex irrigation control method than the timer control, and the 100 and 150 J·cm<sup>-2</sup> treatment had the highest fresh weight, and the 100 J·cm<sup>-2</sup>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ry weight. The yield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mplex control method than in the timer, and the early yield increased as the level of integrated solar irradiance was smaller. The fresh weight of fruit was the lowest in the timer-controlled irrig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combined control irrigation method using integrated solar irradiance and substrate moisture content was confirmed for precise water supply management of strawberries in hydropo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