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인식과 문화교육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제언-

        이선이 ( Lee Sun-yi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ing propose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how to have the right viewpoint of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First of all, the major premise of this discussion is a reflection on the Modernism, Progressivism and Nationalism in the recognition about culture. Secondly, we deal with the meaning and problems of the recognition method about the existing cross-culture which are ethnocentrism, cultural relativism,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inally, this study considers the analysis method of the culture difference and the actual strategy of culture educa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change our mind about Korean culture education from just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itself to ‘how to teach the culture’

      • KCI등재

        한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이선임 ( Lee Sun-im ),홍장선 ( Hong Jang-sun ),김명희 ( Kim Myung-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디저트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전통한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과는 건강한 디저트 음식을 선호하려는 소비자와 문화적 가치를 함께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적당한 음식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로서 한과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견해와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총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각각의 유형에서 독특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1유형은`박물관에 박제된 전통문화`로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제2유형은 `한국적 팔방미인의 진수`로 시대에 상관없이 모두가 즐겨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제 3유형은 `감성적 추억의 향수`로 음식으로서의 매력보다 마음을 채워주는 음식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4유형은 `외형뿐인 폐쇄된 전통음식` 으로 현대인들과 소통이 단절된 전통문화이며 그에 대한 아쉬움을 표출하고 있었다. 각 유형들은 한과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 후 상품개발에 필요한 컨셉을 제시하였다. As dessert consumers increase, interest in Hangwa,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s also on the rise. Hangwa can be a good dessert food particularly for consumers who want to enjoy healthy dessert food as well as cultural values. This study is aiming to investigate consumers` various subjective opinions about Hangwa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of consumers` perception of Hangwa.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factors of consumers` perception about Hangwa and each factor had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rst factor of perception is viewing Hangwa as `a stuffed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Hangwa was perceived as a food that was not to the taste of modern people. The second factor is the consumers` perception that Hangwa is `the essence of an all time favorite Korean food` that everyone can enjoy. In the third factor of perception, consumer perceived it as a food that filled their mind rather than as a tasty food, which is dubbed as perception of `the fragrance of emotional memories.` Finally, the fourth factor is labelled as the perception of ` a vestige remains of traditional food`, in which consumers viewed it as a traditional culture that is being cut off from modern culture and they expressed regret about it. Since each factor of perception was different depending upon individual perceptions of Hangwa, the current study proposed the communication message relevant to each factor of perception along with the product positioning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 KCI등재

        한국 불교전통색(佛敎傳統色)의 시원(始原) 연구 : 『삼국사기(三國史記)』 색복조(色服條)와 직관조(職官條)를 중심으로

        이선이 ( Sun-yi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81 No.-

        고대사회에서 색(色)은 신분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산 위에서 지내는 봉선(封禪)과 도성 밖에서 지내는 교사(郊祀)는, 천문학적 성격은 역법(曆法)에 반영하여 개삭(改朔)하고 인문학적 측면은 역법(易色)에 반영하여 복식(服飾)제도를 바꾼다. 이러한 동아시아 지역의 일반적인 중국적 통치방식은 신라도 크게 벋어나지 않아 보이지만, 복식에서는 신라인의 색인식(色認識)을 찾을 수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색복조(色服條)의 복식금제(服飾禁制)에 나타난 특징은 화(靴)와 색(色)에 대한 규제다. 화(靴)는 목이 있는 신발로 남성만이 사용하며, 색(色)의 제한은 여성에게만 적용한다. 색은 9색(九色)에 근거하고 한다고 하지만 색명(色名)을 밝히지 않고 있고, 색복의 금제(禁制)에서 가장 먼저 들고 있는 모직물인 계(罽)를 군호(軍號)의 옷깃 색명으로 사용하는 점은 신라 복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직관조(職官條)에 홍전(紅典), 소방전(蘇房典), 조하방(朝霞房) 등을 직관명으로 사용한 것은 붉은 색을 매우 중시한다는 의미이다. 홍전에서 홍색을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소방목(蘇防木)을 사용해야하며, 소방목의 염색물에 담그는 횟수에 따라 붉은 색의 이름은 달라진다. 집약적인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홍전에서 생산하는 홍색은 군왕의 상징이 된다. 중국에서 오행(五行)의 행차(行次)로 복식을 정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23군호(軍號)의 금색(衿色, 옷깃의 색)은 계녹백벽비자적청황흑(罽綠白碧緋紫赤靑黃黑) 10색이다. 홍(紅)은 사용하지 않는다. 금색(衿色)이 2금(衿) 이상으로 결합하는 경우, 비(緋)·계(罽)는 다른 색과 결합하지 않고, 자(紫)·녹(綠)은 다른 색과 잘 결합하고, 벽(碧)은 결합 정도가 중간이다. 이때 계(罽)는 모직물의 명(名)과 색의 명(名)으로 이중의미가 있다. 신라의 복식에서는 홍색과 군호 10색을 더한 11색을 사용한다. 이 色은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정리하면 청황적백(흑) 홍자벽녹(비계) 8색이 된다. 간색(間色)은 계열이 여러 종류이기 때문에 복식금제의 9색(九色)으로 확정하기는 어렵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북당서초(北堂書鈔)』의 9색, 『불설구색록경(佛說九色鹿經)』의 9색을 분석하였으나 9색의 명(名)은 밝힐 수 없었다. 색복조, 직관조, 군호의 금색에서 보이는 색계열은 반야경전류의 색광(色光)의 열차(列次) 방식과 유사하다. 열차는 빛의 색을 한 번에 늘어놓는 방식이며, 행차는 방향에 따라 색을 바꾸어간다. 고대사회의 요소에 새로운 시대의 상징인 불교의 색체계의 접목은 복식의 이중구조(二重構造)와 유사하게 보인다. 신라복식에서 예복(禮服)은 관복(官服, 중국식) 그리고 평복(平服)은 유고(襦袴, 신라 고유복식)라는 인식과 같이, 색에서도 행차와 열차라는 개념이 혼재하였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현상이 신라인의 색채인식이며, 한국 불교전통색의 시원이라고 생각한다. 동시에 한국전통 불교오방색의 시원이기도 하다. Color was the means to represent one's status in ancient society. According to the chapter on the government office for textile (職官條), Hongjeon (紅典, the red department), Sobangjeon (蘇房典, the department of sappanwood) and Johabang (朝霞房, the department of the morning glow) were used as government office names, indicating that scarlet was an important color. Sappanwood must be used to get a scarlet color, and its name depended on how many times the cloth was immersed in its dye in the Hongjeon. As getting scarlet required intensive labor, it was the king’s symbolic color. This is very different from the ways to define costumes in China. Grafting the Buddhist color system as the symbol of a new age onto the existing system of ancient society seems to have created a dual clothing structure. The formal dress of the Silla clothing system was regarded as the official Chinese outfit, and casual clothes were the Yuyo (襦袴, top and trousers) traditional clothes of Silla. In the same way, it seems that the people of Silla had mixed concepts of the train (列次) and change (行次) in their view of the color. This is believed to be not only the origin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al colors, but also that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 KCI등재

        예술적 힘으로서의 정동 -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이선 ( Lee¸ Su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이 글은 니체의 예술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적 경험이 어떻게 힘 감정인 정동으로부터 발생하는지 밝힌다. 이를 위해 필자는 예술적 힘을 정동으로 정의하면서 정동이 왜생명의 힘 충동인지 밝히고 그것의 영향을 받아 감성은 어떻게 예술적 충동으로, 감정은 예술적 정열로 변형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니체에 따르면 생명은 정동의 원초적 형태인 생명의 힘 충동에 의한 것이다. 이 생명의 힘 충동은 감성의 영역에서 새로운 감성능력을 생성시키는 예술적 충동을 일으키며 감정의 영역에서 예술가의 사랑인 예술가의 정열을 낳는 원천이 된다. 이 예술적 충동과 예술적 정열은 미적 취향과 예술가적 삶의 태도를 구현하면서 예술적 경험을 실현시킨다. 따라서 이 글은 생명의 힘충동이자 힘 감정인 정동이 예술적 충동과 예술적 정열로 발전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정동이 예술적 힘으로서 어떻게 예술적 경험을 실현하는지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evaluate how Nietzsche's theory of art, the Art Experience, emanates from 'Affects', an unconstrained impulse of the emotions. To that end, I define an artistic power as 'Affects' and will be analyzing its spheres of influence after dividing them into impulses and emotions. Nietzsche considers an impulse of life as a primitive state of 'Affects'. 'Affects' is the impulse of power which exposes how an aesthetic experience is achieved by signifying how lively emotions start from the impulse of life and an artistic impulse arises from the awareness of a lively sense. Nietzsche also tells how Art Experience is being mounted during his search for the 'Affects', where the artistic passion is being designed by the impulse of powers. In this regard, the paper divulges how the 'Affects', an artistic power, derives from Impulse of Power and leads to a Sense of Power and then how an artistic experience of it becomes existent.

      • KCI등재

        송욱의 동서사상 비교와 후기 시론의 지향점

        이선이 ( Lee¸ Sun-h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이 연구는 1970년대 접어들면서 송욱이 수행한 동서사상 비교의 방법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비교의 과정에서 얻게 된 한국사상의 보편문화적 가치가 그의 후기 비평에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송욱의 후기 시론이 갖는 의미와 지향점을 밝히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었다. 송욱은 문학과 사상이 다르지 않다고 보면서 둘을 등가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문학이 곧 사상이라는 전제는 초기에서부터 후기까지 일관되게 견지한 송욱의 비평적 관점이지만 시기별로는 내용적 차이를 보인다. 후기에 해당하는 1970년대에 송욱의 문학적 지향점을 온전하게 포착하기 위해서는, 이 시기에 수행한 동서사상 비교에 담긴 그의 인식을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東西事物觀의 比較」 (1970)와 「東西生命觀의 比較」(1971)라는 두 편의 글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970년대에 송욱이 어떻게 동서양의 사유를 비교하면서 한국적 사유의 보편성을 확보해 나갔는가를 살폈다. 또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서사상의 비교를 거친 이후에 진행한 시집 『님의 沈默』에 대한 비평적 실천(『님의 沈默 全篇解說』(1974))에서 이러한 관점이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살핌으로써 송욱의 후기 시론에 드러난 지향점을 규명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ology and the contents of comparative study on East/West Thoughts Song Wook carried out in the 1970s, and explores how the value of Korean thought’s cultural universality, an insight which Song Wook had gained in such process of comparison, is shown in his later criticism.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standpoint of Song Wook’s late poetic theory. Song Wook recognized literature and thought as equivalent; the premise of ‘literature is thought’ had been Song Wook’s consistent critical perspective, thus leading to an eventual need for thorough analysis of Song Wook’s perception of thoughts, to comprehend his literary standpoint. In this paper, Song Wook’s two relatively overlooked theses, Comparative Study on View of Ethics in East and West and Comparative Study on View of Life in East and West, are analysed. By doing so, this paper examines how Song Wook compared Eastern and Western thought as well as secured the universality of Korean though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further explores how such Song Wook’s perspective is shown in his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Silence of Love by Han Young-un, and identifies the standpoints of Song Wook’s late poetic theory.

      • KCI등재후보

        전후 한국과 중국의 인구정책과 여성

        이선이 ( Lee Sun-yi ) 한국여성사학회 2007 여성과 역사 Vol.- No.7

        The aggregate birthrate of Korea was estimated to 1.08 in 2005 and it came to entering a serious phase of worrying about the low birthrate. By the contrast, China is, in spite of slightly relaxing the "One Child Policy," still facing an overpopulation problem to the extent that the policy cannot be withdrawn. For a long time, Chinese rural community has regarded a male child as carrying on a family line. But for a male child, it would be the greatest misfortune and impiety to the parent. Accordingly, the policy has been strongly opposed by rural people. Moreover, children who are not enlisted to the family register are on the increase and even infanticides are repeatedly committed. Differences in the circumstances of population that both countries are currently facing may result from how they understood the correlation of economy and population and how they carried out corresponding police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fter the World War ll.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domestic and foreign background of conceptualizing the population policies in both countries, in particular, in the relation of the cold-war conditions around 1960`s; it also researches that how such policies in the same era changed the life quality of women. Under the cold war environment in which the US and the Soviet Union confronted each other as two axes of the world, it was comprehensively recognized in the US that the overpopulation in the Asian region would not only lower the quality of life and cause a great resentment of people in the region, but also Asia would be a hotbed of communism in the end. With such concerns in mind, the United Nations and the US as a leading country strongly supported the population restraint policy in the Third World. In Korea, the Park Jeong Hee government was founded just at the right time and set the economic development as the first goal. The birth control policy was enforced under the joint eff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s part of developing the national economy. On the contrary, China was confronted not only with a military crisis but also an economic blockade under the cold war era and such circumstances made more persuasive Mao`s claim that the population should be regarded as labor power and military power as well. The Korean government, for purpose of succeeding in the birth control, expedited the small family system b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regarding birth issues; for example, the government encouraged late marriage, eradication of illiteracy, expansion of education(woman education), woman employment, and economic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China aggressively mobilized the labor power of women after the socialist revolution under the name of woman liberalization. However, it seemed that chinese women considerably suffered from the double burden of working and manufacturing, household affairs and child rearing while the government encouraged women to be capable of doing many things; furthermore, such traditional thoughts as prolific lucks and preference for a male vividly remained in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