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에서 의료영역의 리베이트와 형법

        이석배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3 No.2

        의료영역에서 리베이트 관행은 제약회사의 마케팅방식으로 고착화되어 있다. 과거에는 리베이트를 받은 봉직의의 경우 배임수재죄(경우에 따라서 업무상 배임죄, 공무원인 봉직의는 수뢰죄, 수뢰후 부정처사죄 등) 또는 사기죄로 처벌한 사례가 있지만, 개원의들에 대하여 조세범처벌법 이외에는 처벌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2010년 5월 신설되고 11월부터 시행된 의료법 제23조의2 및 제88조의2 리베이트에 관한 쌍벌규정에 따라 개원의들도 리베이트를 받는 경우 형사처벌의 대상일뿐만 아니라, 제66조 제9호에 따라 1년 이하의 면허정지도 가능해졌다. 의사들은 리베이트가 처벌되는 것에 대하여 커다란 반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전국의사총연합은 자영업자인 개원의사들 리베이트 수수를 뇌물로 규정하고 형사처벌과 행정처분 등의 과도한 이중처벌을 법제화한 리베이트 쌍벌제에 대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위헌법률심판제청 신청서를 제출해 놓은 상태이다. 이 신청서와 성명서에는 독일 연방대법원의 판례가 언급되어 있다. 물론 이 판례의 결론이 이 신청서와 성명서에서 언급하고,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처벌할 수 없다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내용과 의미는 전혀 다르다. 외국의 입법례나 판례를 인용하여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찾을 때에는 그 규정의 의미와 배경을 명확하게 살피지 않으면 귤이 회수를 건너 탱자가 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판결이 나오게 된 배경과 판례의 내용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실제 우리나라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검토하는 데에 기본이 될 것이다. 이 글은 독일연방대법원의 BGHSt 57, 202ff.결정을 분석, 검토하였다. 여기서 이 결정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개원의가 요양기관으로 의무지정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개원의는 자신의 영업을 하는 사람이지 건강보험의 업무를 처리하는 자는 아니라는 점 이외에는 없다. 다시 말하면 최근 논의되고 있는 위헌논란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의료법 제23조의2 및 88조의2가 위헌인지 여부와는 별개로 그 근거로 제시된 이 결정은 오히려 개원의의 리베이트를 처벌하는 것은 입법정책에 달린 것이라고 본다. 위헌을 주장하는 측에서 이 결정을 인용하는 것은 오히려 자신들에게 불리한 정보를 스스로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 계량 경제학 모형의 부분 식별에 관한 연구

        이석배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12 經濟論集 Vol.51 No.1

        계량 경제학 모형의 부분 식별(partial identification of econometric models)은 계량 모형의 제약 하에서 모형의 모수가 부분적으로만 식별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통상적인 추론 및 검정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요구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계량 경제학 모형의 부분 식별에 대한 최근의 계량 경제학 문헌을 선별적으로 소개하고, 경제학에의 적용 사례를 통해 새로운 추론 및 검정 방법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Partial identification of econometric models refers to settings where parameters of interest are not point-identified but only known to lie within a subset of the parameter space. This paper surveys the latest developments in the literature on partial identification in econometrics and illustrates the usefulness of this new approach by reviewing a few examples in economics.

      • 국내 주광조도의 가용량에 관한 연구 : 6개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six principal regions

        이석배 順天大學校 1996 論文集 Vol.15 No.1

        In Korea, daylighting availability data are lacking, but solar radiance data for various regions have been collected regularly at meteorological stations. These solar radian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equivalent daylight illuminance data if the luminous efficacy of solar radiance is known.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luminous efficacy of solar radiance, an daylight measuring equip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exterior daylight illuminance and solar radiance was installed 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data collected during one year period are evaluated by a computer program, and the hourly variation of monthly and annual means of luminous efficacy of solar radiance are calculated. By using these values, the available solar radiance data are converted into equivalent illuminance data. In this paper the hourly variation of luminous efficacy values, daylight illuminance data and the illuminance levels of various working hours are tabulated. The results presented here may be used to predict a design base daylight illuminance level and the possible energy savings from photoelectric control of artificial lighting installations.

      • SCIE
      • 利用可能한 日照時間의 豫測

        李碩配 순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87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 No.-

        The use of meteorological data for architecture requires data on sunshine duration and sun positions for the calculation of both daylighting and solar heat gains. But in real situations, when the insolation of buildings is examined in detail, the available meteorological data on sunshine duration do not provide the guidance for sunshine calculation. So, measured sunshine data for Seoul based on a period of 10 years are analysed to give average hourly and daily durations of sunshine, average sunshine durations for certain intervals of the day and frequencies of days with sunshine duration exceeding a specified duration in terms of available sunshine rather than possible sunshine.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these data, a design aid in the form of available sunshine diagram is developed and its use discussed.

      • 書光照明을 위한 天空狀態의 豫測

        李碩配 순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91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5 No.-

        Currently,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ethods based on the uniform sky, the CIE standard overcast sky and the CIE standard clear sky, the average sky, which appears real sky conditions closely, is proposed to calculate the mean of interior daylighting illuminance. In order to compose the mean sky, the luminance distribution of all the sky conditions which really appear must be devided into three types, that is, the clear sky, the partly cloudy sky, and the overcast sky. Also their luminance distribution is to be defined respectively and their relative frequency of occurrences within the total working hours is indispensably to be estimated. In this paper, the existing theoretical model of sky luminance distribution and classifying methodologies of the three skies are described, and a procedure is stated which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estimate the relative frequency of occurrences of the three skies from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yearly relative frequency of occurrences of the clear sky, the partly cloudy sky, and the overcast sky relating to the usual working duration is assumed to be 26%, 27%, 47% respectively.

      • 자동조명제어에 의한 시간별 조명에너지 절감의 예측

        이석배 순천대학교 1999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Vol.18 No.2

        The maximum hourly savings in artificial lighting use are being examined at the Sunchon Measuring Station. When the energy savings due to daylight are calculated an estimate of daylight availability is required. Where artificial lighting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relevant quantity is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daylight illuminance.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 which measured illuminances over one whole working year. Using measured data on availability of daylight, equations are drived to predict the maximum hourly possible savings in artificial lighting use that can be achieved using automatically controlled lighting systems. The equations are applied to a series of worked example and figures are given for the relative maximum savings in artificial lighting use. The hourly savings range from 33% to 89% of the energy used for uncontrolled lighting, assuming that a horizontal illuminance of 500lux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