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웹 GUI 기반 스마트 팩토리 공정 관리 및 공유 시스템

        이상정 ( Sang-jeong Lee ),홍석준 ( Seok-jun Hong ),정택성 ( Taek-sung Jung ),한건욱 ( Geon-uk Han ),이인혜 ( In-hye Lee ),정민교 ( Min-kyo Jeong ),민홍 ( Hong M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최근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스마트 팩토리 부분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은 제품 생산 효율성을 높여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수집과 클라우드로의 전송,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등 자동화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GUI를 활용하여 응용 개발의 편의성을 높여 개발자가 아닌 공정관리자가 직접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으며 유사 환경이 구축된 다른 공장에서 기존에 만들어진 공정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재수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제안된 웹 GUI기반 스마트 팩토리 공정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의 운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KCI우수등재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이상정(Lee, Sang Jung),강현아(Kang, Hyunah),노충래(Nho, Choong-Rai),우석진(Woo, Seokjin),전종설(Chun, JongSerl),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3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9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 궤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no studies that compare services of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although out-of-home care services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ut-of-home care. This study compared care satisfaction of 481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for five years. Futhermore, factors that predict car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identifi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nalyses.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group homes was the higher than that in foster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In additi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types of out-of-home servic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changes in care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s to help children adapt to out-of-home care and improve out-of-home care satisfaction were made.

      • 보호종료 자립준비청년의 연속적 지원을 위한 자립지원전담기관의 역할

        이상정 ( Lee Sang-j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10 No.-

        정부는 지난 2021년 7월, “보호종료아동(자립준비청년) 지원강화 방안”을 통해 자립지원전담기관의 전국 확대 운영과 사후관리 전담인력 배치를 약속하였고, 현재 사업기관 선정과 인력 충원 등의 준비 과정을 거쳐 시도별 일정에 따라 2022년 내에 단계적 개소를 추진하고 있다. 본 고는 자립지원전담기관의 전국적 운영을 앞두고 보호아동 현황과 특성, 자립준비청년 지원현황 등을 살펴보고 아동보호와 자립지원의 연속성 제고의 필요성과 이를 위해 자립지원전담기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과 기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Until now,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that supports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fter out-of-home care has been operated differently by out-of-home care system and by local government, causing gaps and segments in protection and independent living support services, and has not provided practical help to youth aging out of the system. Accordingly, in July 2021, the government promised to expand the nationwide expansion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agencies and the deployment of dedicated personnel for follow-up management and is currently pursuing phased openings within 2022 according to the trial schedule through the preparation process of selecting institutions and staffing them. In the lead-up to the nationwide operation of the independent living support agency,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ed for life-cycle support and the role of the independent living support agency.

      • KCI등재
      • 청소년부모 현황과 정책 과제

        이상정 ( Lee Sang J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19 No.-

        청소년부모는 학업과 취업, 자녀의 임신·출산과 양육이라는 과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청년으로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초기 청년기에 속한다. 그러나 청소년부모 가구는 그동안 주류 정책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한 채 주로 조손가족이나 한부모가족을 지원하는 사업을 통해 제한적 지원을 받아 왔다. 한편 2021년 3월 「청소년복지지원법」의 개정으로 청소년부모 가구를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 가운데, 이 글에서는 청소년부모의 특성과 현황, 정책 지원 현황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청소년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Adolescent parents are young people in their early youth―a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phase―who have to juggle school, work,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Adolescent parent families, however, have not been looked upon as a policy target group in their own right, with the support given to them provided in limited ways via such support programs as those intended for grandparent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As a legal basis on which to provide support for adolescent parents has been laid with the amendment made in March 2021 to the Youth Welfare Support Act, I attempt in this article to discuss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parents, analyze the policy support programs that are in place for those young people, and make policy suggestions to provide improved support for adolescent parents.

      • KCI등재
      • 아동·청소년보호체계의 자립 지원 격차와 정책 과제

        이상정 ( Lee Sang J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건복지포럼 Vol.296 No.-

        보호가 필요한 아동·청소년에 대한 우리나라의 지원 체계는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 산하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어 보호서비스의 내용과 질이 상이하며, 그로 인한 서비스의 분절, 공백, 격차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한편, 보호의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자립 지원과 관련해서도 체계 간 격차 문제가 제기되어 왔으나, 이를 뒷받침할 실증적 자료는 없었으며, 특히 퇴소 또는 보호 종료 전 자립 준비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동·청소년보호체계의 자립 준비 실태와 자립 준비 경험, 자립 관련 서비스 욕구를 비교·분석하여 자립 지원의 체계 간 격차를 확인하고,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보호체계의 아동·청소년 자립 준비 지원과 서비스에 격차가 있고 자립 준비도 수준도 아동보호체계의 자립 준비 대상 아동·청소년에 비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권리로서의 자립 지원 보장을 위한 법적 체계 마련과 통합적 보호·자립 지원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need of protection in Korea is operated separately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refore the content and quality of protection services are different, and the issue of segmentation and gaps in services constantly has been raised. Meanwhile, with regard to independent-living services as the last-stage child and youth protection, the issue of inter-ministerial gaps has been raised, but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data to support this. Above all,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social attention given to how youth under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hould be prepared for independent living.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services and policies designed to support transition-age adolescents in the Child and Youth Protection System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of protected children and youth. Based on its findings, this paper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gaps in independent living services.

      • KCI등재

        가정외보호 자립준비대상아동의 회복탄력성과 영향 요인

        이상정 ( Lee¸ Sang Jung ),김지민 ( Kim¸ Ji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자립준비대상아동은 원가족으로부터의 분리, 가정외보호, 그리고 보호 종료라는 다중적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회복탄력성은 이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상 자립준비대상인 만15세 이상 가정외보호아동의 회복탄력성과 영향 요인을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으며 자립을 준비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유형별로 회복탄력성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가정외보호아동 자립준비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유형간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일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외보호아동의 회복탄력성 영향 요인은 우울,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가정외보호 유형, 자립프로그램 참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아동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성공적인 자립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Children who are in transition from out-of-home care to adulthood are faced with multiple crises: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and scheduled termination of out-of-home care services. Resilience can help these children overcome crises and successfully adapt to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ilience and influence factors of children over 15 years old in out-of-home care from an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silience levels between types of out-of-home care services and stepwis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in resilience between types of home care servi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ome sub-regions. Depress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type of out-of-home care services and Independent Living Program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resilience of out-of-home care childr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resilience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and help their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 外食業從事者의 職務滿足이 移職意圖에 미치는 影響

        李相正(Lee, Sang-Jung)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8 관광산업연구 Vol.2 No.2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food service employees' job satisfac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hypothesis was set up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the primary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ward the hypothesi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urvey research.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are limited to workers at the outlets’ food and beverage service department and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working at the production department of nationwide 90 stores in 31 places such as contract food service companies, family restaurants, and top class hotels in Korea. Among 7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 680 were collected and 667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zing organized path model with subjective measured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the job satisfaction variable of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gives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variable.

      • 가정외보호아동의 자립준비 경험과 실태

        이상정 ( Lee Sang Jung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0 동광 Vol.115 No.-

        본 연구는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에서 보호받고 있는 가정외보호아동의 자립준비 관련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이용 현황과 아동의 자립준비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 아동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자립준비 지원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정외보호아동의 자립준비 실태 조사는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및 위탁가정에서 보호 받으며 실질적인 자립준비 연령이 되는 만 15세 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41개 양육시설, 493개 공동생활가정, 17개 시도별 가정위탁지원센터의 협조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57명(양육시설 427명, 공동생활가정 215명, 위탁가정 315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과 자립준비를 위해 필요한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경험 및 이용률은, 보호유형에 따른 가정외보호아동의 경험 비율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 및 디딤씨앗통장을 포함하여, 자립체험관, 직업 교육 훈련, 자격증, 자립생활 멘토링, 용돈지원, 장학금, 의료, 심리 정서 상담 및 치료, 그리고 자립지원전담요원 사례관리까지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든 서비스에서 위탁가정보호 아동의 이용률이 시설보호 아동보다 낮았다. 또한 위탁가정보호 아동 중에서도 일반위탁가정보다 대리와 친인척 위탁가정 아동의 경험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과 자립관련 서비스는 가정외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의 자립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자립 체험관, 자립생활 멘토링, 심리 정서 상담 및 치료, 자립지원던담요원 사례관리와 같은 자립관련 주요 서비스 이용 경험은 가정외보호아동의 사적 자본 영역과 사회적 자본 영역의 많은 지표들과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가정외보호아동 자립준비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Youth who are aged out from out-of-home care systems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economic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However, the difficulties are preventable when they are well-prepared for independent liv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preparations for independent living and the readiness among transition-age youth in out-of-home care. The study results reveal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th' s experiences with programs and services that are designed to help transition-age youth across types of out-of-home care: institutional care, group home, and foster care. In the other hand, youth with experiences of independent living programs and services presented better outcomes i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especially in the area of human and social capital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independent living support system and the quality of independent living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