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적 기질과 정념의 세 단계적 성격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우리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철학의 방법론과 내용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들에 대한 이해를 제외하고서 그의 교설들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설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 교설 사이에 존재하는 아주 밀접한 관련성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교적인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의 학자들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의 변형에 관하여 대체적으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하나는 철학적 해석이다. 이것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함으로써 순수하게 철학적인 토대 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변형시켰다는 해석이다. 이와는 반대되는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 해석이다. 이것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형은 그리스도교의 신념들의 빛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하는 그의 신학적인 태도에 기인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본 논문 안에서, 연구자는 후자의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들을 인식하고 있을지라도,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들이 진정한 덕들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이와 관련해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논의한다. 첫째,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서 전개된 도덕적 기질들의 3단계적 성격, 즉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들 또는 후천적으로 획득된 덕, 주입된 덕, 그리고 성령의 은사들을 제시한다. 둘째, 연구자는 그에 의해서 명확하게 드러난 정념들의 세 단계적 지식, 즉 가장 기본적인 의미에서의 정념들, 지성적인 유사물들 안에서의 정념들, 성령의 열매들과 관련된 정념들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도덕철학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사실상 자신의 신학적 의도를 가지고서 철학적 작업이 아닌 신학적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그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도덕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When we study Thomas Aquinas’methodology and contents of moral philosophy, except for the understanding of Aristotle’s moral doctrines, It’s hard to say that we understand his doctrines correctly. Because there is a approximal relationship between Aristotle’s moral doctrines and Thomas Aquinas’moral doctrines. In spite of this. There are two different moral precepts in Thomas Aquina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As for this, On the discussion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on the purely philosophical basis by trying to reveal clearly Aristotle’s primary intention. The 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Thomas Aquinas’exposition transforms theologically Aristotle’s teaching by elucidating Aristotle’s teaching in the light of Christian belief. In this paper, I argue in the latter view. I show that although Thomas Aquinas recognizes the Aristotelian virtues, he thinks they are not real virtues. I argue about these things by dividing into two in detail. First, I present three-layered character of moral dispositions deployed by Thomas Aquinas: the Aristotelian or acquired virtues, the infused virtues, and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Second, I offer three-layered lore of the passions disclosed by him: passions in the most basic sense, passions in their intellective analogues, and fruits of the Holy Spirit. After this, I maintain that Thomas Aquinas does not try to evolve a philosophical work but in fact evolve a theological work in the process of evolving his teaching on his moral philosophy with his theological intention. After all, I conclude that Thomas Aquinas must have evolved his teaching on his moral teaching,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ologian, although Thomas Aquinas evolves his teaching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moral teaching.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있는가?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2 No.2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 도교적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본다면, 그의 체계를 초자연적인 그리스도교의 도덕 체계와 결합시키는 하나의 종합을 이루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어떤 긴장관계가 초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들을 그리스도교의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사고 안으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의 많은 부분들을 변형시켰다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은 또한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그리스도교의 애덕(caritas)에 대한 진정한 개념의 중심적인 특징, 즉 최상의 의미 안에서의 인간적인 사랑(maxime amicitia)으로서 신에 대한 사랑(dilectio Dei)과 이웃에 대한 사랑(dilectio proximi)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philia)의 교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친애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은 원래 그리스도교의 애덕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도교의 애덕과는 정반대라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수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으로의 성공적인 통합으로 규정될 수 없다는 것, 또는 오히려 토마스 아퀴나스가,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지, 그의 통합적인 설명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의 몇몇 본질적인 국면들을 제외시켰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서, 첫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교설의 기본적인 특징들에 관련해서 완전한 친애로서 ‘탁월성의 친애’와 ‘동등성의 친애’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동등성 개념으로부터의 두 가지의 주요한 이탈들을 지적한다. 둘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완전한 친애의 전제조건으로서 나 자신에 대한 잘 정돈된 관계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러한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제조건으로부터의 이탈을 언급한다. 셋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신과 인간의 완전한 친애의 불가능성에 관한 교설을 논의한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로부터의 이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고들을 넘어서지 않고 그것들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한 사람을 가리켜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라고 부른다고 규정하는 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위에서 제시된 이유로 인하여 그 자신을 신의 친구라고 여길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단언하는 것이다. There are two moral precept systems in Thomas Aquinas’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By the way, If Aristotelian theory were a complete system, when we make a synthesis by combining his scheme with Christian moral scheme, that would cause a tension relation between two schemes. In this behalf, It is generally agreed today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ed many of Aristotle’s concept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Christian moral and religious thought. This is also true for the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which Thomas Aquinas uses to interpret the central features of his genuine conception of Christian love(caritas), namely love of God(dilectio Dei) and of neighbor(dilectio proximi), as friendship in the highest sense(maxime amicitia). Here I suggest that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is inherently opposed to Christian caritas in that Christian caritas implicitly or explicitly excludes the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Therefore, I point out that Thomas Aquinas’s reception of Aristotle’s thought on friendship cannot be characterized as a successful integration of Aristotelian theory into medieval Christian theology, or rather Thomas Aquinas, willingly or unwillingly, is forced by his integrative account to exclude some essential aspects of Aristotelian theory. In relation with this, First, After I check the friendships of the virtue and the equality in relation with a basic characteristics of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as a perfect friendship, I indicate two major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concept of virtue and equality. Second, After I examine a well ordered relation toward oneself as a precondition of the perfect friendship, I mention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precondition. Third, After I argue Aristotle’s theory on impossibility of a perfect friend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 present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theory. In conclusion,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 by which I mean a man holds consistently to Aristotle’s thoughts without going beyond them – cannot conder himself a friend of God. Namely,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cannot be a friend of God.

      • KCI등재

        연구논문 :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phronesis)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천적 지혜(prudentia)로 변형 논쟁에 관한 연구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본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실천적 지혜(phronesis)와 기독교 신학의 종합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phronesis)로부터 성 토마스(St. Thomas)의 실천적 지혜(prudentia)으로 변형을 통한 성 토마스의 윤리학의 종합에 대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관점, 즉 성 토마스가 너무 기독교 쪽으로 기울어져서 그의 종합은 사실상 실패했다는 관점과 그의 종합은 성공적이었다는 관점을 양심(synderesis)와 의지(voluntas)를 중심으로 논하고 있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양심의 문제에 있어서는 다니엘 웨스버그(D. Westberg)의 주장을 근거로 하여, 그리고 의지의 문제에 있어서는 앤서니 케니(A. Kenney)의 주장을 근거로 하여 성 토마스의 종합은 성공적이었다는 결론을 제시할 것이다. 양심(synderesis)의 문제에 있어서 해리 재파(Harry Jaffa) 등은 성 토마스의 시도 안에 있는 양심(synderesis)의 개념으로 말미암아 그의 시도는 너무 기독교 신학 쪽으로 기울어져서 그의 종합은 사실상 실패했다고 본다. 그러나 다니엘 웨스트버그(D. Westberg) 등은 성 토마스의 실천적 지혜(prudentia) 안에 나타나 있는 ``세부적인 일련의 규칙들(a detailed set of rules)`` 이라는 용어를 상기시킴으로써 반박하고 있다. 의지(voluntas)에 있어서는, 고티에(R. A. Gauthier)는 성 토마스의 실천적 이성에 있어서 기독교 신학의 의지의 약함(akrasia), 죄와 잘못, 칭찬과 비난, 보상과 처벌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의지(voluntas)의 강조로 인하여 그의 종합은 실패했다고 본다. 그러나 앤서니 케니 (A. Kenney)는 성 토마스의 (A. Kenney)는 단지 의지(voluntas)의 실패가 아닌 이성과 의지, 감정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전체(a Whole)로서의 실패로 봄으로서 이를 반박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대한 비교 연구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하여 성 토마스의 변형을 중심으로-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 언급되고 있는 교설들을 성 토마스가 어떻게 변형시켰는가에 관해서, 최근 학자들 사이에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철학적인 해석이다. 이것은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함으로써 순수하게 철학적인 토대 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변형시켰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인 해석이다. 이것은 성 토마스의 변형은 그리스도교의 신념들의 빛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신학적으로 변형시켰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eudaimonia)에 관한 교설에 관하여 철학적인 해석을 하는 학자들 중에서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의 성 토마스에 대한 논의들이 무엇인지를 검토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제이퍼(Harry V. Jaffa), 도나토(Antonio Donato),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등의 학자들의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도이그의 논의들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첫째, 본 연구자는 도이그가 성 토마스의 교설들에 대하여 동의하면서 그의 교설들을 설명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인간 본성으로서의 행복”에 관한 내용으로서 관조적인 행복의 우월함, 도덕적인 행복의 열등함, 그리고 하나의 본성적인 목적으로서 완전한 행복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에 대한 도이그의 성 토마스의 교설들에 관한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서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도나토(Antonio Donato), 제이퍼(Harry V. Jaffa)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성 토마스의 신학적인 변형과 신학적인 의도로서 철학적인 변형 등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도이그(James . C. Doig)가 성 토마스의 교설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설명하고 있는 “인간인 한에서 지극히 복된 사람”과 “신적인 것”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에 관하여, 브래들리(Denis J. M. Bradley), 도나토(Antonio Donato), 제이퍼(Harry V. Jaffa)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여러 가지의 반론들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도이그의 주장, 즉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교설에 관하여 철학적인 변형만을 시도했다는 주장은 전혀 설득력 없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성 토마스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행복에 관한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On the discussion that how St. Thomas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on the purely philosophical basis by trying to reveal crealy Aristotle`s primary intention. The 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St. Thomas`s exposition transforms theologically Aristotle`s teaching by elucidating Aristotle`s teaching in the light of Christian beliefs. As for this, I will try to find what St. Thomas`s discussion is, by centering about James C. Doig`s assertion among scholars who interpret philosophically on St. Thomas`s teaching about Aristotle`s eudaimonia.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James C. Doig`s assertion by centering about allegations of Harry V. Jaffa, Antonio Donato, and Denis J. M. Bradley. First, I will try find concretely on St. Thomas`s superiority of the contemplative happiness as "happiness on human nature, inferiority of moral happiness, and “the complete happiness as a natural end”. And as a refutation against James C. Doig`s and St. Thomas`s teachings about this, by centering about the assertions of Denis J. M. Bradley, Antonio Donato, and Harry Jaffa, I will offer St. Thomas`s theological transformation, and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as a theological intention. Second, I will examine “the blessed as men” and “the divine” which James C. Doig estimates affirmatively and explains detailedly. And as for this, I will offer several counterargument revolving around the opinions of Denis J. M. Bradley, Antonio Donato, and Harry V. Jaffa. And then I will set forth argument that James C. Doig`s assertion, that is, the assertion which St. Thomas tries only a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about the teaching of Aristotle`s happiness is never persuasive. Consequently, I will form a conclusion that St. Thomas must have expound on Aristotle`s happiness,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ologian although st. Thomas evlves his teachings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 KCI등재

        연구논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 이론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4 No.-

        성 토마스(St. Thomas)의 자연법 이론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의 이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이론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고, 반면에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음을 볼 수 있다. 해리 재파(Harry Jaffa)는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가 언급한 대로 성 토마스에 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가로서 후자에 속하는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런데 재파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에 관한 이론 안에는 그리스도교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들을 ‘잘못 조화시키는’ 하나의 명백한 경향이 있다고 말하면서 그의 조화는 단지 외관상의 조화일 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가 성 토마스의 자연법에 대하여 언급한 쟁점 들 중에서 세 가지를 알아보고 나서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 후에 본 글의 결론을 내릴 것이다. 첫째, 재파는 자연학과 자연적 도덕규범에 관련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성 토마스의 이론에 나타나있는 사실상의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를 지적함으로써 성 토마스의 이론을 공격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의 ‘기능적 관점(functual view)``을 주로해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재파는 자연법과 영원법에 관해서는 "자연법은 영원법 안으로의 이성적 피조물의 참여이다(Natural law is the rational creature`s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에 관한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존 피니스(John Finnis)의 “metalepsis”와 “participatio"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파는 도덕적 원리들의 자연적인 성향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문들과 성 토마스의 원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그리고 앤서니 케니(Anthony Kenny)의 “habitus"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과 케니(Anthany Kenny)와 스티븐스(Gregory Stevens)의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들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의 단지 외관상의 조화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사상체계가 만났을 때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수용형태인 발전적인 종합의 형태임을 드러낼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theory of natural law of St. Thomas is not an apparent harmony with the theory of Aristotle but a developmental synthesis which is the most ideal embracement when two different doctrines met. To do this I will say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St. Thomas and that of Aristotle whom he was absolutely influenced by. In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the natural law of St. Thomas and that of Aristotle, some people have positive attitude and the others have negative one. Jaffa(Harry Jaffa) who is the representative one of the latter, as Macintyre(Alasdair Macintyre) says, is the most persuasive theorist Jaffa argues against a harmony by St. Thomas and criticizes his the apparent harmony because in his theory of the natural law there is a clear trend of ``falsely harmonizing`` Christianity with Aristotelian doctrines. I will consider three issues on the theory of the natural law of St. Thomas that Jaffa referred and make a conclusion through counterargument as follows. Firstly, on the physics and the natural moral precept I will suggest Macintyre`s functional view as a counterargument to seemingly ``naturalistic fallacy`` which Jaffa criticised that it seemed to exist in the theory of Aristotle and St. Thomas. Secondly, on natural law and eternal law I will argue against Jaffa`s objection to "Natural law is the rational creature`s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 by a meaning of "metalepsis" and "participatio" which Finnis(John Finnis) explained. Lastly, on natural habit in moral principles I will argue against Jaffa`s viewpoint through three ways, the study on texts of Aristotle and St. Thomas, a meaning of "habitus" of Kenny (Anthony Kenny), and arguments of Kenny and Stevens(Gregory Stevens). Thus I will bring a matter to light that the theory of natural law of St. Thomas is not only an apparent harmony with Aristotle`s theory, but is a most ideal type of acceptance to pursue, the type of developmental synthesis when two other scheme come across.

      • KCI등재

        성 토마스의 ‘용기’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제이퍼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성 토마스의 용기에 관한 주해의 주된 목적은 고대 그리스-로마의 군대의 영웅주의에 대한 찬양을 순교에 관한 그리스도교의 초점으로 전용하는 것이었다고 단언한다. 특히 제이퍼는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제3권에 있는 용기라는 덕을 ‘능력의 최대한’으로 해석한 것은 종교적 순교자를 염두에 둔 것으로서 그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 의도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제8권 안에서 도덕적 탁월성의 ‘진정한 최대한’은 ‘친애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가장 참된 형태의 정의’라고 단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성 토마스가 전쟁 안에서의 죽음이 가장 고귀하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을 단지 종교적 순교자의 죽음을 염두에 둔 가장 고차원적인 수준의 용기를 예시하고 있는 것처럼 해석하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라고 단언하고 있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강도의 용기와 같은 가장 낮은 종류의 용기도 용기의 한 형태로서 생각하고 있었음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이퍼의 주장들과 관련해서 본 연구자는 첫째, 성 토마스의 용기의 교설에 대한 제이퍼의 주장들을 ‘능력의 최대한’의 원리와 용기의 가장 낮은 형태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나서 제이퍼의 주장들에 대한 반론으로서 공적 전쟁과 사적 전쟁, 거룩한 나라를 위한 죽음, 능력의 총량, 경향성과 최종적인 종(種) 등의 성 토마스의 교설들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가 순교자라는 특별한 사례, 달리 말하면 아리스토텔레스가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았거나 전혀 관심이 없었던 사례, 그러나 전통적으로 용기의 탁월한 예증으로서 그리스도교 저자들에 의해서 찬양된 사례를 자신의 논의 안에 포함시키기를 원했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기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데에 특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 달리 말하면 성 토마스가 그러한 진리들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기에 관한 본문에다가 위치시키고 때때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으로부터 유래된 원리들의 도움으로 그것을 공표할 뿐만 아니라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제이퍼의 주장과는 달리,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쟁터 용기에 관한 설명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기에 관한 분석으로부터의 이탈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용기에 관한 충실한 이해는 여러 관점들 안에서 성격상 철저히 신학적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용기에 대한 설명이 더 광범위한 신학적 전통들을 배경으로 하여 계속될 때, 가장 두드러진 것은 그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의 이탈 또는 전쟁터 용기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을 거부라기보다는 오히려 어떤 의미에서는 성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에 의존하고 있는 순교자 용기라는 전형을 단언하는 것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능가하는 방식이라고 단언한다. Jaffa and several scholars have asserted St. Thomas" main purpose in the commentation of courage was to substitute the ancient roman admiration for military heroism with a christian focus on martyrdom. In particular Jaffa criticizes that It misses the point of Aristotle"s intention because St. Thomas interpreting ‘the virtue of courage’ in the Nicomachean Ethics Ⅲ as ‘the ultimate of power’ has the religious martyr in mind. Because Aristotle asserts that the true ultimate of moral virtue is the truest form of justice being a friendly quality in the Nicomachean Ethics. Also, He asserts that St. Thomas interprets Aristotle’s statements that the death in the war is the noblest just as the exemplarity of the highest level of courage having the death of the religious martyr in mind is very different from Aristotle"s statements. Because Aristotle must have regarded the courage of robber that is the lowest level of courage as one of the kind of courage. In regard to Jaffa’s assertion, first, I examine Jaffa’s assertion on St. Thomas’s study of courage by centering about the principle of the ultimate of power and the lowest from of courage. And then I bring up the public and private war, the dying for the holy country, the complement of a potency, inclination and the final species as the refutation against Jaffa’s assertion. I reveal that St. Thomas wanted to include special case like martyr in his discussion, in other words, the case that Aristotle hasn’t payed attention, but the case that was praised by christian authors as the excellent illustrations of traditional courage. and I assert that St. Thomas specially focused on magnifying Aristotle’s range of courage, namely St. Thomas aimed to locate the truth in Aristotle’s text and bring it forth, developing it, often with the help of principles derived from Aristotle himself. As a result, unlike Jaffa’s assertion, I assert that St. Thomas’s exposition on Aristotle’s battlefield courage is not a separation from Aristotle’s analysis of courage. And than, I admit that it is undeniable that St. Thomas’s Full understanding of courage is in several respects throughly theological in character. Nevertheless, I assert that When St. Thomas’s account of courage is held up against the broader theological tradition, what is most striking is not the departures from Aristotle as such, but the way in which St. Thomas goes beyond Aristotle in affirming the exemplarity of martyr courage in a way that builds on, rather than repudiating, Aristotle’s analysis of battlefield courage.

      • KCI등재후보

        논에서 솔잎과 쌀겨의 혼합처리가 잡초방제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상일(Sang Ill Lee),박기웅(Kee Woong Park),원옥재(OK Jae Won),박수혁(Su Hyuk Park),엄민용(Min Yong Eom),황기선(Ki Seon Hwang),김영태(Young Tae Kim),변종영(Jong Yeong Pyo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5 농업과학연구 Vol.42 No.2

        Combined applications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to paddy weeds and increased yield of rice for developing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in paddy rice fields. Weed control efficacy at 60 days after treatment was improved to 88.8%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hile weed control efficacy by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showed 67.5%. The other weed control efficacy combined with chestnut leaves and barley straws were 76.3% and 69.9% respectivel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more effective to broadleaf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Weed control efficacy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pine leaves was 100% until 7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weed control effect up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526 ㎏/10 a, which was higher yield than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barley straws,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natural snail application and hand weed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재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광역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 지출을 중심으로

        이상일 ( Lee Sang Ill ),박종철 ( Park Jong Cheol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0 No.3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의 복지재정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하여 복지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인 사회복지비 지출비율에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장애인비율, 여성의원비율, 전년도 사회복지비 지출비율이 영향을 미쳤다. 결국 광역지 자체는 기초적이고 의무적인 복지수혜대상자 중심으로 재원을 지출하고 있고, 보편적인 복지수요에 대응한 재정적 여력이 없어 이전재원에 의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종속변수인 1인당 사회복지비 지출비에 생활보호수급자비율, 장애인등록비율, 재정자립도, 여성의원비율, 전년도 사회복지비 지출비율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생활보장제, 장애인지원제도 등 복지제도에 있어 중복수급 및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경제적 활동과 생산노동력을 갖지 못하는 장애인 등에게 재활지원, 균등한 일자리 기회부여, 사회적 기업군으로의 성장발판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셋째, 부가가치세 등의 국세를 지방세로 대폭 이양하여 재정자립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의 사회적 활동 증가 추세에 맞추어 지방정치에도 적극적 참여를 통해서 여성의 사회적 참여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예산제 및 발생주의회계제도 등을 활용하여 예산의 점증성을 완화하여 복지지출의 효율성을 확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