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있는가?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2 No.2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 도교적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본다면, 그의 체계를 초자연적인 그리스도교의 도덕 체계와 결합시키는 하나의 종합을 이루려고 할 경우에 반드시 어떤 긴장관계가 초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들을 그리스도교의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사고 안으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의 많은 부분들을 변형시켰다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은 또한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그리스도교의 애덕(caritas)에 대한 진정한 개념의 중심적인 특징, 즉 최상의 의미 안에서의 인간적인 사랑(maxime amicitia)으로서 신에 대한 사랑(dilectio Dei)과 이웃에 대한 사랑(dilectio proximi)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philia)의 교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친애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은 원래 그리스도교의 애덕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스도교의 애덕과는 정반대라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수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을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으로의 성공적인 통합으로 규정될 수 없다는 것, 또는 오히려 토마스 아퀴나스가,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지, 그의 통합적인 설명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의 몇몇 본질적인 국면들을 제외시켰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서, 첫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교설의 기본적인 특징들에 관련해서 완전한 친애로서 ‘탁월성의 친애’와 ‘동등성의 친애’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동등성 개념으로부터의 두 가지의 주요한 이탈들을 지적한다. 둘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완전한 친애의 전제조건으로서 나 자신에 대한 잘 정돈된 관계를 살펴본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러한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제조건으로부터의 이탈을 언급한다. 셋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신과 인간의 완전한 친애의 불가능성에 관한 교설을 논의한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접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로부터의 이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고들을 넘어서지 않고 그것들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한 사람을 가리켜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라고 부른다고 규정하는 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위에서 제시된 이유로 인하여 그 자신을 신의 친구라고 여길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의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단언하는 것이다. There are two moral precept systems in Thomas Aquinas’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By the way, If Aristotelian theory were a complete system, when we make a synthesis by combining his scheme with Christian moral scheme, that would cause a tension relation between two schemes. In this behalf, It is generally agreed today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ed many of Aristotle’s concept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Christian moral and religious thought. This is also true for the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which Thomas Aquinas uses to interpret the central features of his genuine conception of Christian love(caritas), namely love of God(dilectio Dei) and of neighbor(dilectio proximi), as friendship in the highest sense(maxime amicitia). Here I suggest that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is inherently opposed to Christian caritas in that Christian caritas implicitly or explicitly excludes the Aristotle’s concept of philia. Therefore, I point out that Thomas Aquinas’s reception of Aristotle’s thought on friendship cannot be characterized as a successful integration of Aristotelian theory into medieval Christian theology, or rather Thomas Aquinas, willingly or unwillingly, is forced by his integrative account to exclude some essential aspects of Aristotelian theory. In relation with this, First, After I check the friendships of the virtue and the equality in relation with a basic characteristics of Aristotelian theory of ‘friendship(philia)’ as a perfect friendship, I indicate two major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concept of virtue and equality. Second, After I examine a well ordered relation toward oneself as a precondition of the perfect friendship, I mention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precondition. Third, After I argue Aristotle’s theory on impossibility of a perfect friend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 present the deviation of Thomas Aquinas’s approach from Aristotle’s theory. In conclusion,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 by which I mean a man holds consistently to Aristotle’s thoughts without going beyond them – cannot conder himself a friend of God. Namely, Thomas Aquinas as an Aristotelian cannot be a friend of God.

      • KCI등재
      • KCI등재

        정념의 도덕적 속성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고대 철학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행위에 관한 그의 설명 안에서 ‘심사숙고와 선택’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스토아 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와는 달리 인간 행위에 있어서 단지 의지 또는 정념에만 잘못과 죄, 그리고 이에 대한 책임의 원인으로서 도덕적 속성을 부여했다. 그리고 이러한 스토아 철학적 설명의 유형은 그리스도교의 전통 안에서 또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 당시 그리스도교의 전통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에 의하면, 비록 정념들에 영향이 잘못된 행위의 원인에 대한 일부가 될 수는 있을 지라도, 잘못은 단지 의지 안에만 또는 정념 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또한 이성 안에도 놓여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잘못과 죄는 의지 또는 정념들 자체로부터만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들과 함께 작동되는 행위자의 모든 능력들의 올바르지 못한 작용들로부터 유래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념’의 도덕적 속성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관하여 하나의 체계적인 답변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질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행위 안에서의 정념이 그 자체로써 도덕적으로 중립적인가라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응답한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하면, 사랑, 희망, 증오, 분노, 슬픔, 그리고 절망 등을 포함한 모든 정념들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다. 한 사람이 개별적인 정념에 반응하는 방식이 정념의 도덕적 속성을 결정하는 것이지 ‘정념 그 자체’가 정념의 도덕적 속성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두 번째 질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서, 만일 정념이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지 않고 도덕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면 그것은 어떤 경우에 선한 정념 또는 악한 정념이 될 수 있는 가라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또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답변을 제시한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하면, 정념들이 이성과 이성적 욕구로써의 의지를 따라갈 때, 정념들은 인간의 활동 안에서 인간의 행위를 풍성하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그것들은 선한 정념들이 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정념들이 이성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 수준과 정념들이 이성을 혼란에 빠뜨리는 방식들에 의해서 정념들은 이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악한 정념들이 될 수도 있다. 세 번째 질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념의 도덕적 속성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안에서의 예외적인 정념은 없는지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정념들 중의 어느 것도 본질적으로 선하거나 또는 악하지 않다고 진술했을지라도, 단지 ‘절망’이라는 정념만은 본질적으로 육체와 영혼의 움직임 둘 다를 정지시킴으로써 항상 악한 쪽으로 작동될 뿐만 아니라 결코 올바르게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In ancient philosophy, Aristoteles puts emphasis upon the role of deliberation and choice in his account of human action. But the Stoics bestow the moral property as error and sin, and the cause of responsibility for these upon only the will or passions themselves, differently from Aristoteles, and this type of Stoic explanation will find expression in the Christian tradition as well. But Thomas Aquinas proceed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Christian tradition.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passion accounts for the wrong action, the error lies also in the reason, not only in the will or in the passion, or more precisely, error and sin do not result from the will or the passions themselves, but result from the incorrect operation of all the powers of the agent working together. Thus, I suggest a systematic account upon the question by analysing Thomas Aquinas’s moral property of ‘passion’ The first question is whether Thomas Aquinas’s ‘passion’ in the human action is morally neutral itself. According to Thomas Aquinas, all of the passions, including love, hope, hate, anger, sorrow and desire are morally neutral. The manner in which a person responds to a particular passion determines the morality of passion, and not the passion itself. The second question, “If passion is not morally neutral and has a moral property, can it be a good passion or a bad passion in a certain cas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When passions follow the reason and will as a rational appetite, as passions exert an positive influence which enriches the human action in human activities, they can be good passions. In opposition to this, passions can be bad passions by exerting negative influence upon reason, by the degree of intensify of influencing on reason and the way in which the passions disturb reason. The third questions is whether there is exceptional passions or not in Thomas Aquinas’s entire explanations for the moral property of passion. I maintain that the passion of despair is not morally neutral because it always works to an evil and is never felt rightly by stopping all movement, essentially alone, both of the body and the soul.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입법자 없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은 가능한가?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우리가 성 토마스의 자연법 교설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의 자연법 교설과 그의 교설에 아주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과의 관계를 검토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양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의 평가를 중심으로 연구해보려고 한다. 첫째, 본 연구자는 제이퍼의 주장, 즉 성 토마스의 자연법 안에 있는 법적인 성격이 하나의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 그리고 입법자의 의지와 명령들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의 자연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과는 전혀 다른 그리스도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어윈과 스톤의 주장, 즉 성 토마스의 자연법 교설이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 그리고 입법자의 의지와 명령들 없이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의 자연법은 그리스도교적인 성격을 가지지 않고도 충분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일 수 있다는 단언을 통하여 제이퍼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서 이성적 원리로서 자연법, 자명과 사고의 훈련법으로서 자연법, 이성 공동체와 자연법 등을 제시할 것이다. 이어서 본 연구자는 입법자의 의지와 명령들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서 사물들의 객관적인 속성들에 대한 사실로서 자연법, 훌륭함으로서 자연법 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갈 주니어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인식론의 관점으로서 자연법이라는 논의들을 중심으로 해서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의 영원법과 자연법에 관한 논의 과정에서 비록 신적인 입법자와 입법을 설정할 수밖에 없다 할지라도, 제이퍼의 주장과는 달리 그리스도교적인 신학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설명이 가능하다고 결론지을 것이다. When we make a study of St. Thomas natural law, It is essential for us to examine the relations his natural law with Aristotle`s moral teaching which has an very great influence upon his teaching. So I am going to make researches revolving around the two estimations of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First, I will make observation of Jaffa`s contention, that is, the contention that because a legalistic feature in St. Thomas` natural law contains not only a divine legislator and his legislation but also legislator`s will and his command, his natural law has the Chiristian character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Aristotle`s moral teaching. Second, I will carry on counterargument revolving around Irwin and Stone`s allegation, that is, the allegation that because St. Thomas` natural law is possible without not only divine legislator and his legislation but also legislator`s will and his command, his natural law is able to be Aristotelian in its fullness. In this process, by way of foundations of a polemic against St. Jaffa`s allegation on divine legislation and legislation, I will come up with natural law as a rational principle, natural law as self-evidence and natural law as the disciplines of thought, reason community and natural law. After that, by way of foundations of a polemic against Jaffa`s allegation on legislator`s will and his commands, I will bring up natural law as the fact on the objective property of things and natural law as the fineness. And then lastly, Revolving around natural law by way of a viewpoint of teleological epistemology of Robert R. Gahl, Jr., I conclude that in the course of an argument on St. Thomas` eternal law and his natural law, though we can not but set up the divine legislator and legislation, as distinct from Jaffa`s assertion, Aristotelian explanation is possible without depending on Christian theology.

      • KCI등재

        연구논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 이론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일 ( Sang Ill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4 No.-

        성 토마스(St. Thomas)의 자연법 이론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의 이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이론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고, 반면에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음을 볼 수 있다. 해리 재파(Harry Jaffa)는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가 언급한 대로 성 토마스에 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가로서 후자에 속하는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런데 재파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에 관한 이론 안에는 그리스도교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들을 ‘잘못 조화시키는’ 하나의 명백한 경향이 있다고 말하면서 그의 조화는 단지 외관상의 조화일 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가 성 토마스의 자연법에 대하여 언급한 쟁점 들 중에서 세 가지를 알아보고 나서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 후에 본 글의 결론을 내릴 것이다. 첫째, 재파는 자연학과 자연적 도덕규범에 관련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성 토마스의 이론에 나타나있는 사실상의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를 지적함으로써 성 토마스의 이론을 공격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의 ‘기능적 관점(functual view)``을 주로해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재파는 자연법과 영원법에 관해서는 "자연법은 영원법 안으로의 이성적 피조물의 참여이다(Natural law is the rational creature`s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에 관한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존 피니스(John Finnis)의 “metalepsis”와 “participatio"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파는 도덕적 원리들의 자연적인 성향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문들과 성 토마스의 원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그리고 앤서니 케니(Anthony Kenny)의 “habitus"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과 케니(Anthany Kenny)와 스티븐스(Gregory Stevens)의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들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의 단지 외관상의 조화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사상체계가 만났을 때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수용형태인 발전적인 종합의 형태임을 드러낼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theory of natural law of St. Thomas is not an apparent harmony with the theory of Aristotle but a developmental synthesis which is the most ideal embracement when two different doctrines met. To do this I will say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St. Thomas and that of Aristotle whom he was absolutely influenced by. In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the natural law of St. Thomas and that of Aristotle, some people have positive attitude and the others have negative one. Jaffa(Harry Jaffa) who is the representative one of the latter, as Macintyre(Alasdair Macintyre) says, is the most persuasive theorist Jaffa argues against a harmony by St. Thomas and criticizes his the apparent harmony because in his theory of the natural law there is a clear trend of ``falsely harmonizing`` Christianity with Aristotelian doctrines. I will consider three issues on the theory of the natural law of St. Thomas that Jaffa referred and make a conclusion through counterargument as follows. Firstly, on the physics and the natural moral precept I will suggest Macintyre`s functional view as a counterargument to seemingly ``naturalistic fallacy`` which Jaffa criticised that it seemed to exist in the theory of Aristotle and St. Thomas. Secondly, on natural law and eternal law I will argue against Jaffa`s objection to "Natural law is the rational creature`s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 by a meaning of "metalepsis" and "participatio" which Finnis(John Finnis) explained. Lastly, on natural habit in moral principles I will argue against Jaffa`s viewpoint through three ways, the study on texts of Aristotle and St. Thomas, a meaning of "habitus" of Kenny (Anthony Kenny), and arguments of Kenny and Stevens(Gregory Stevens). Thus I will bring a matter to light that the theory of natural law of St. Thomas is not only an apparent harmony with Aristotle`s theory, but is a most ideal type of acceptance to pursue, the type of developmental synthesis when two other scheme come across.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적 기질과 정념의 세 단계적 성격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우리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철학의 방법론과 내용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들에 대한 이해를 제외하고서 그의 교설들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설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 교설 사이에 존재하는 아주 밀접한 관련성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교적인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의 학자들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의 변형에 관하여 대체적으로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하나는 철학적 해석이다. 이것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래적인 의도를 명확하게 드러내려고 노력함으로써 순수하게 철학적인 토대 위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변형시켰다는 해석이다. 이와는 반대되는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 해석이다. 이것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형은 그리스도교의 신념들의 빛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해석하는 그의 신학적인 태도에 기인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본 논문 안에서, 연구자는 후자의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들을 인식하고 있을지라도,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들이 진정한 덕들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이와 관련해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논의한다. 첫째,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서 전개된 도덕적 기질들의 3단계적 성격, 즉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들 또는 후천적으로 획득된 덕, 주입된 덕, 그리고 성령의 은사들을 제시한다. 둘째, 연구자는 그에 의해서 명확하게 드러난 정념들의 세 단계적 지식, 즉 가장 기본적인 의미에서의 정념들, 지성적인 유사물들 안에서의 정념들, 성령의 열매들과 관련된 정념들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도덕철학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사실상 자신의 신학적 의도를 가지고서 철학적 작업이 아닌 신학적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비록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그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도덕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When we study Thomas Aquinas’methodology and contents of moral philosophy, except for the understanding of Aristotle’s moral doctrines, It’s hard to say that we understand his doctrines correctly. Because there is a approximal relationship between Aristotle’s moral doctrines and Thomas Aquinas’moral doctrines. In spite of this. There are two different moral precepts in Thomas Aquina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As for this, On the discussion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There are two different allegations between the recent scholar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Thomas Aquinas transforms Aristotle’s teachings on the purely philosophical basis by trying to reveal clearly Aristotle’s primary intention. The 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It is the averment that Thomas Aquinas’exposition transforms theologically Aristotle’s teaching by elucidating Aristotle’s teaching in the light of Christian belief. In this paper, I argue in the latter view. I show that although Thomas Aquinas recognizes the Aristotelian virtues, he thinks they are not real virtues. I argue about these things by dividing into two in detail. First, I present three-layered character of moral dispositions deployed by Thomas Aquinas: the Aristotelian or acquired virtues, the infused virtues, and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Second, I offer three-layered lore of the passions disclosed by him: passions in the most basic sense, passions in their intellective analogues, and fruits of the Holy Spirit. After this, I maintain that Thomas Aquinas does not try to evolve a philosophical work but in fact evolve a theological work in the process of evolving his teaching on his moral philosophy with his theological intention. After all, I conclude that Thomas Aquinas must have evolved his teaching on his moral teaching,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ologian, although Thomas Aquinas evolves his teaching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moral teach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