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良心)"에 관한 연구 -제이퍼와 암스트롱의 이해를 중심으로-

        이상일 ( Sang Iii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코플스톤(F. C. Copleston), 고티에(R. A. Gauthier), 브레들리(. M. Bradley)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이교도로 대표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리스도교로 대표되는 아우구스티누스 사이의 조화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시도가 단지 외관상의 조화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이러한 입장의 이면에는 그리스도교의 ‘계시’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의 교설에 관한 제이퍼(Harry V. Jaffa)의 견해도 이와 같은 그의 기본적인 입장의 범주 안에 있다. 왜냐하면 언뜻 보기에도 양심이라는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가 아닌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관련된 용어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몇몇 학자들의 양심의 개념은 불행한 전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시와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양심을 하나의 판단하는 그리고 자책하는 기능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에 관한 개념은 상당히 다른 관점들로부터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몇몇 학자들 중에서 특히 제이퍼의 양심에 관한 이러한 중심적인 주장들과 이에 대한 반론에 관해서 두 가지로 나누어서 전개할 것이다. 첫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양심과 계시의 관련성을 주장함으로써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제이퍼와 머켄(P. Mercken)이 지적한 내용들을 먼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는 웨스트버그(D. Westberg), 랭스턴(D. C. Langston), 파츠(T. C. potts), 넬슨(D. Nelson)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성 토마스의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들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전개할 것이다. 둘째, 성 토마스의 양심의 진리 됨에 관한 증거의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먼저 연구자는 이에 관한 제이퍼의 주장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크로우(M. Crowe)와 암스트롱(R. A. Armstrong)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이에 대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양심에 관하여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지는 않을지라도, 성 토마스의 교설 안에서 실천적 지혜, 덕들, 그리고 의지의 연약함과의 관련성 가운데 논의 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양심에 관한 교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기반으로 하여 행위에 관한 교설을 하나의 실용적인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더 풍성한 공헌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이어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양심이라는 용어를 ‘자명’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함으로써 양심의 진리 됨에 대한 증거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언뜻 보기에는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양심에 관한 교설을 가능한 한 아리스토텔레스적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함으로써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 그리스도교의 양심에 관한 교설과 화해 및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단언할 것이다. Some scholars including F C. Copleston, R. A. Gauthier and J. M. Bradley basically insist that St. Thomas Aquinas’s attempt to achieve harmony between Aristotle who be represented as a pagan and Augustine who be represented as a Christian is just a external harmony. At the inside of their position, there is a subject of ‘revelation’ in the center. His view on St. Thomas Aquinas’ teaching of conscience is in the category of his basic position as such. Because seemingly, a term of conscience seems to be a term which relates not to Aristotelian terms but to Christian revelation. Like this, some scholars’s conception of conscience has an infelicitous evolution. Today, most of people regard the conscience which seem to relate to revelation as a judgeable and the function of self-accusation. But this conception of St. Thomas Aquinas’ conscience has been discussed from the rather different viewpoint. I will discuss especially about Jaffa’s cardinal assertion upon conscience among some scholars. First, there is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t. Thomas Aquinas’s conscience and Aristotle’s teaching. Concerning this, I will scrutinize the contents which Jaffa and mercken insist upon St. Thomas Aquinas’ conscience and revelation. and then, I will bring forth counterarguments on this by presenting the intimate correlation between St. Thomas Aquinas’s conscience and Aristotle’s teaching revolving around D. Westberg, D. C. Langston, T. C. Potts and D. Nelson’s assertion. Second, there is the question of evidence for St. Thomas Aquinas’s truthfulness of conscience. In this behalf, I will examine Jaffa’s insistence on this,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his assertion on the basis of M. Crow and R. A. Armstrong’s assertion. And now, I will elucidate that although Aristotle doesn’t refer distinctly to conscience which is debated revolving around relation with prudence, virtues and weakness of will makes more opulent contributions to his teaching of action which is on the basis of Aristotle’s teaching in a practical viewpoint. And then, I will reveal that St. Thomas Aquinas presents clearly evidence for the truthfulness of conscience by elucidating the term of conscience as the conception of self-evidence. In conclusion, I will assert that St. Thomas Aquinas’s effort which intends to reconcile Aristotle’s teaching with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about conscience is successful by attempting to interpret his teaching of conscience which seemingly seems to relate intimately to the revelation of Christianity as an Aristotelian teaching so far as possibl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관한 비교연구 -포부가 큰 것(megalopsychia)를 중심으로-

        이상일 ( Sang Iii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7 No.-

        성 토마스(ST. Thomas)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 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이며, 또 다른 하 나는 그리스도교적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이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본다면, 그의 체계를 초자연적인 그리스도교의 도덕 체계와 결합시켜서 하나의 종합 올 이루려고 할 경우에는 반드시 어떤 긴장관계가 초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양자간의 긴장 관계를 해석하는 두 가지의 관점이 존재한다. 하나는 성 토마스의 양자 간의 종합은 성공적이었다는 관점과 또 다른 하나는 그의 종합이 사실상 실패했다 는 관점이다. 이에 대하여 본 글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것(megalosychia)에 대한 성 토마스의 해석을 중심으로 해서 이러한 논란에 대한 적절한 답을 찾고자 애쓸 것이다. 이틀 위하여 본 연구자는 첫째,호너(David Honner)와 할로웨이(Carson Hollow)의 주장, 즉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것’ 에다가 감사(gratitudinis) 와 겸손(huminitas) 올 부가 또는 보충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사람(megalopsychos) 의 자신에 대한 우월의식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경멸, 그리고 배은망덕 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주장을 먼저 살펴볼 것이다. 둘째, 호너와 할로웨이의 주장에 대 한 반론으로써 두 가지를 지적할 것이다. 하나는, 머천(p.Merchen)이 언급했던,‘도덕성의 내면화’ 와 관련되어 있는 성 토마스의 ‘외적 좋음의 내면화를 지적함으로써 호너와 할로웨이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코플스톤(Frederick Charles Cop;eston)의 주장, 즉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독립적인 인간으로서의 포부가 큰 사람을 의존적인 인간으로서의 포부가 큰 사람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것이라는 탁월성을 심각하게 왜곡했다는 주장을 중심으로 호너와 할로웨이의 성 토마스의 주장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There are two different moral precepts in St. Thoma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By the way, If Aristotelian teaching were a complete system, When we make a synthesis by combining his scheme with Christian moral scheme, that would cause a tension relation between two schemes. Then, There are two viewpoints to interpret the bilateral tension relation. One is it viewpoints that St. Thomas` bilateral synthesis is successful. The other is the viewpoints that his synthesis is actually failed. As for this, I will try to find a roper answer to this controversy by centering about St. Thomas` interpretation on Aristotle`s ``megalosychia``. For the sake of this, Fu I will see through David Honner and Carson Holloway`s assertion that St. Thomas solves the question about megalosychia`s own superiority, contempt for others and ingratitude to be mentioned by Aristotle, by adding or supplying gratitudinis and huminitas to Aristotle`s megalosychia. In the first place, I will refute against David Honner and Carson Holloway`s assertion 효 pointing to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good`` in relation to th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to be mentioned by p.Merchen The next thing, I will refute against David I loner and Carson Holloway`s assertion by centering about Frederick Charles Coplestone`s assertion that St Thomas distorts seriously the virtue of megalosychia by transforming Aristotle`s megalosychia as a independent person into the megalosychia as a dependent person.

      • 만성(慢性) Acohol 섭취(攝取) mouse에서 alcohol 대사(代謝)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인삼(人蔘)의 영향(影響)

        최용원(Yhong Won Choi),이상일(Sang III Lee),허근(Keun Huh) 대한약리학회 1984 대한약리학잡지 Vol.20 No.1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an effect of ginseng butanol fraction(total saponin) on the hepatic ethanol metabolism, we used experimental animals for the subject of study. When, in case of ADH and MEOS, ginseng butanol fraction was added,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in a small dose, and on the contrary, in a large dose, showed inhibitory effect. in catalase, the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by adding ginseng butanol fraction. In the light of kinetic aspect, when, in reaction mixture, ethanol and ginseng butanol fraction were concurrently added and reacted, Km value of ADH and MEOS was decreased. After pretreated with ginseng butanol fraction and inducement of acute toxic state by ethanol, the activities of ADH and MEOS were increased to an extent of about 25% compared to controls. But cata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case that ginseng butanol fraction was given to mice fed with 5% ethanol instead of water for 60 days, the activities of ADH and MEOS were increased about 20% to 50% compared to ethanol-treated group. On the contrary, catal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ut blood concentrations of ethanol were decreased due to ginseng butanol fraction treatment. All thes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reduction of ethanol blood concentration should be dependent upon increased activities of ADH and MEOS. Thereby it suggests the recovery from alcohol intoxication can be prompted by treatment with ginseng.

      • KCI등재후보

        크론병 환자에서 Infliximab 치료 후 발생한 중증 다발성 결핵

        김희욱 ( Hee Wook Kim ),장성일 ( Sung Iii Jang ),김번 ( Bun Kim ),윤영훈 ( Young Hoon Youn ),변민광 ( Min Kwang Byun ),박효진 ( Hyo Jin Park ),이상인 ( Sang In Lee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3

        Infliximab, a tumor necrosis factor-a (TNF-a) inhibitor, has been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a variety of inflammatory illnesses, including Crohn`s disease. However, infliximab can increase the risk of reactivation of latent tuberculosis (Tbc) infection by affecting host immune responses. Therefore, a screening test should be performed before the initiation of infliximab therapy, and patients with evidence of latent infection should be treated with prophylactic anti-Tbc therapy, Here, we report a case of multifocal disseminated tuberculosis after treatment with infliximab in a patient diagnosed with Crohn`s disease who had no past history of Tbc and showed a negative screening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