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ON/OFF 제어방식 오일쿨러의 정밀온도 제어에 관한 연구

        이상윤,Lee, Sang-Y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4 No.2

        최근 공작기계 분야에서 가공속도와 가공정밀도 같은 시스템 성능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가공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작기계와 수가공 분야의 공작물 가공 부위에 유해한 열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이 열은 가공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온도를 제어하는 오일쿨러는 공작기계에서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대표적인 제어기법인 핫가스 바이패스 방식과 압축기 가변속 제어 방식이 오일쿨러에 채택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오일 출구 온도를 설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압축기의 속도를 제어하였다. 공작기계의 정밀 가공이 요구되는 추세에 맞추어 ${\pm}0.1^{\circ}C$의 고정도 온도 제어가 가능한 오일쿨러가 요구된다. 그러나 정밀 온도제어가 가능한 오일쿨러는 가격이 고가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on/off(릴레이) 제어방식 대신에 PID 제어기와 위상각 전력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정밀 온도제어가 가능한 오일쿨러용 제어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제어기를 제작하고, $23^{\circ}C$, $24^{\circ}C$ 그리고 $25^{\circ}C$에서 실험하였다. Recently, the needs of system performances such as working speed and processing accuracy in machine tools have been increased. Especially, the working speed increment generates harmful heat at both moving part of the machine tools and handicrafts. The heat is a main drawback to progress accuracy of the processing. Hence, a oil cooler to control temperature is inevitable for the machine tools. In general, two representative control schemes, hot-gas bypass and variable speed control of a compressor, have been adopted in the oil cooler system. In this paper, the compressor's speed are controlled to keep reference value of temperature at oil outlet. The precision processing of a machine tool is required for an oil cooler guaranteeing ${\pm}0.1^{\circ}C$ temperature control. But the oil cooler with precision temperature control is expensive. Therefore in this paper, instead of a on/off(relay) control method, a PID and phase angle electric power control method is proposed for the precision control of an oil cooler. The proposed controller is implemented and tested at the temperature of $23^{\circ}C$, $24^{\circ}C$ and $25^{\circ}C$.

      • KCI등재후보

        퍼지제어를 이용한 공작 기계용 오일 쿨러의 핫가스 바이패스방식 정밀 온도 제어에 관한 연구

        이상윤,Lee, Sang-Y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4 No.3

        최근 공작기계 분야에서 가공속도와 가공정밀도 같은 시스템 성능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가공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작기계와 수가공 분야의 공작물 가공 부위에 유해한 열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이 열은 가공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온도를 제어하는 오일쿨러는 공작기계에서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대표적인 제어기법인 핫가스 바이패스방식과 압축기 가변속 제어 방식이 오일쿨러에 채택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작기계에 사용하는 핫가스 바이패스 오일쿨러의 정밀한 온도특성을 얻기 위한 퍼지 제어기의 설계와 구현 방법을 다룬다. 출구 오일온도를 설정값과 실내온도로 잘 유지하도록 전자팽창밸브의 개도 각도를 제어하였다. 특히, 퍼지 제어기는 갑작스러운 외란에 의한 온도변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몇 가지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으로 목표 온도를 ${\pm}0.22^{\circ}C$정상상태 오차 이내로 제어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needs of system performances such as working speed and processing accuracy in machine tools have been increased. Especially, the working speed increment generates harmful heat at both moving part of the machine tools and handicrafts. The heat is a main drawback to progress accuracy of the processing. Hence, a oil cooler to control temperature is inevitable for the machine tools. In general, two representative control schemes, hot-gas bypass and variable speed control of a compressor, have been adopted in the oil cooler system. This paper deals with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fuzzy controller for obtaining precise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HB oil cooler system in machine tools. The opening angle of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re controlled to keep reference value and room temperature of temperature at oil outlet. Especially, the fuzzy controller is added to suppress temperature fluctuation under abrupt disturbances. Through some experiments, the suggested method can control the target temperature within steady state error of ${\pm}0.22^{\circ}C$.

      •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 상태의 급성백혈병 환아에서 경험적 항진균제로 투여한 Amphotericin B와 Itraconazole의 효과와 이상 반응 비교

        이상윤,박종선,김선영,양금진,박경덕,김학기,Lee, Sang-Yun,Park, Jong-Sun,Kim, Sun-Young,Yang, Keum-Jin,Park, Kyung-Deok,Kim, Hack-Ki 대한소아감염학회 2005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2 No.1

        목 적 : 혈액종양 환아의 항암요법 후 발생한 호중구감소증 상태에서, 진균 감염은 높은 치명률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균 감염에 대한 경험적 항진균제로 주로 사용되는 ABV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 TNF-${\alpha}$의 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발열, 오한, 발진, 신독성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 Azole 계열의 ITZA도 광범위한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경험적 항진균제로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ABV와 ITZA의 정맥 주입에 따른 부작용의 발생 및 효능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방 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호중구감소증 상태에서 발열이 있어 치료한 급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으로 선정된 환자는 30명으로 ABV, ITZA 각각의 치료군은 15명이었다. 항진균제는 총 14일간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혈청에 포함된 염증성 사이토카인(IL-$1{\beta}$, TNF-${\alpha}$)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1Ra, IL-4)을 ELIZA를 통하여 측정하고, 치료 종료 시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 두 치료군의 성별, 나이, 진단명, 항암치료의 단계, 마지막 항암요법의 시기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BV 치료군에 비해 ITZA 치료군에서 정맥 주입 시 발생하는 이상 반응의 빈도가 적었다. 또한, ABV 치료군에서 ITZA 치료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가 정맥주입 시 증가함을 보였고, IL-1Ra/IL-$1{\beta}$는 ABV 치료군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ITZA 치료군에서는 증가함을 보였다. 결 론: 급성백혈병 소아에서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시 경험적 항진균제로 ABV와 ITZA를 사용하여 최종 치료 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정맥 투여와 연관된 이상 반응은 ABV 군에서 많았으며 호중구의 회복은 ITZA 군에서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ABV나 ITZA 투여 시 시간에 따른 IL-Ra/IL-$1{\beta}$의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Fungal infe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Amphotericin B(ABV) and itraconazole(ITZA) have been used as the standard empirical antifungal therapy in neutropenic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who have persistent fever that does not respond to antibiotic therapy. ABV is an antifungal drug associated with side effects such as fever and chills, symptoms which may be mediated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beta}$(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We assessed modulation of these pro-inflammatory cytokines as well as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s(IL-4, IL-1Ra) by ABV and ITZA. Methods : From March 2004 to February 2005, a total of 30 episodes from acute leukemia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intravenous ABV or ITZA for 14 days. Clinical responses were evaluated at the completion of therapy, and cytokine IL-$1{\beta}$, TNF-${\alpha}$, IL-4, and IL-1Ra were measured for determination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two antifungal agents and inflammatory cytokines. Results : Empirical antifungal agents were given to 37 patients(ABV 20, ITZA 17), and 30 patients(ABV 15, ITZA 15) were evaluable for efficacy. White blood cell and absolute neutrophil count in the group treated with ITZA increased early days of treatment, so the duration of neutropenia in ITZA group is shorter. Serum creatinine level is lower in ITZA group than in ABV group but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rate between two groups. The IL-$1{\beta}$ was increased in ABV treatment group and the ratio of IL-1Ra/IL-$1{\beta}$ is markedly decreased in ABV treatment group while increased in ITZA group. Conclusion : ITZA and ABV have at least equivalent efficacy as empirical antifungal therapy in neutropenic children with acute leukemia. However ITZA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ess toxicity in clinical and molecular aspects.

      • KCI등재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시와 행정공간정보화 연구 - 부산 센텀시티 중심으로 -

        이상윤,윤홍주,Lee, Sang-Yun,Yoon, Hong-Jo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4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스마트 사회가 시작되고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는 지역의 도시행정공간정보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부산지역의 선도적인 글로벌 스마트 도시를 꿈꾸고 있는 부산 센텀시티의 도시정보화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곧 더욱 진화될 스마트 사회와 유비쿼터스 시대에 합당한 부산 센텀시티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메터데이터로서 행정공간정보화된 정보의 활용 측면을 제안하였으며, 부산 센텀시티의 성공적인 지역정보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국 2030년 무렵에도 여전히 부산 센텀시티가 선도적인 정보화 스마트도시로 남기위해서는 현재의 도시정책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정공간정보화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도시정보시스템에 제공하여 대민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In recent years, our society, because of the arrival of a new paradigm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ICT has entered into future smart society and the ubiquitous era. So it can be a notable turning point in the city and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aspects of the era chang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rive a desirable vision for the city of Busan Centum City Informatization in the dream of leading global smart city of Busan by applying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Soon this study derived a successful local informatization strategy for Centum City in Busan. It proposed the use of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zation as metadata inform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leadership strategy of Busan Centum City in smart society. Eventually in 2030 to around, In order to still remain Busan Centum City as a leading ICT smart cit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trategy.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itizen services through the use of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zation as metadata information for urban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비엠 활성수 플랜트의 공정제어기 설계 및 구현

        이상윤,Lee, Sang-Y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5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BM 활성수를 생산하는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 제어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 제어기를 개발 하였다. 첫 번째 기능으로는 먼저 부로와가 과부하가 걸렸을 때, 과전류 감지기가 동작하여 일정시간 부로와를 정지시킨 후 재 기동 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정전시 유도조에서 퇴비투입조로의 순환을 막기 위해 전동밸브가 정전시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볼밸브의 고장으로 인한 퇴비투입조의 누수를 막을 수 있다. 세 번째는 생산된 활성수를 농축조에서 4개의 저장조로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활성수 생산량을 자동 관리 하였다. 그리고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제어기 신호측정 시험장치를 개발하여 제작한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 제어기가 설계한 사양대로 잘 동작하는지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BM 활성수 플랜트 공정제어기를 견실한 저가의 시퀀서 제어방식 기반의 공정 제어기를 개발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의 향상 및 운전관리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a BMW plant process control system model which produces BMW is suggested and the BMW plant process controller with the following functions is developed. The first function is to operate the electronic overload relays to stop the blow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re-operate it again when the blower is overloaded. The second function is to close the motor operated valve automatically in case of power failure to prevent the circulation from the guided tank to the compost throwing tank and to block leak from the compost throwing tank due to the failure of ball valve. The third function is to transfer produced BMW from the concentration tank to 4 storage tanks for automatic managing of the BMW output. A device to measure the signal of the BMW plant process controller and a test equipment are developed. The designed BMW plant process controller is checked to see if it operates correctly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The sequence control method based on BMW plant process controller is developed at a low cost in this study, so it is expected to bring improvements in the st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system and to cause reductions in the operation and the management cost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한국형 수중로봇시스템의 기술개발연구 - 시나리오플래닝 적용으로 -

        이상윤,윤홍주,Lee, Sang-Yun,Yoon, Hong-Jo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of technology system for an advanced deep-sea unmanned underwater robot of S. Kore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It was developed a 6000m class next-generation deep-sea unmanned underwater vehicle(or robot, UUV) system, soonly ROV 'Hemire' and Depressor 'Henuvy' in 2006 at S. Korea and motion control, adaptive control algolithm, a work-space manipulator control algolithm, especially the underwater inertial-acoustic navigation system robust to initial errors and sensor failures. But there are remained matters on position tracking of the USBL, inertial-acoustic navigation system, attitude sensor, designed sonar sensors. So this study suggest the new idea for settle the matters and then this idea help the development of the underwater inertial-acoustic navigation system robust to initial errors and sensor failures, such as acoustic signal drop-out, by modifying the error covariance of the failed sonar signal when drop-out occurs. As a result, the future policy for deep-sea unmanned underwater robot of S. Korea is to further spu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more improvement of the technology level for deep-sea unmanned underwater robot system with indicator and imaginary wall as external device.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2006년에 개발된 한국형 수중로봇시스템(심해무인잠수정시스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한국이 개발한 이 심해무인잠수정의 설계심도는 6000미터이며, 그 구성을 보면, '해미래'는 실질적인 심해탐사작업을 실행하고, 이 '해미래'를 지원하는 '해누비'는 심해에서 시료채취나 탐사가 가능하다. 한편 이 한국형 심해무인잠수정시스템은 수중복합항법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6000m심해에서 5m이내의 항법오차가 있고 50cm이내의 상대 위치오차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를 보완하여 관련 분야에서 기술 선도국이 될 수 있는 한국정부가 추진해야 할 바람직한 미래전략방향을 고찰했다. 그 결과 인디케이터와 가상벽을 갖춘 외부장치를 구비한 심해무인잠수정 시스템 개발이 한국에 있어 미래지향적인 정책추진방안이었다.

      • KCI등재

        EVM에서의 자바 동적 메모리 관리기 및 쓰레기 수집기의 구현 및 성능 분석

        이상윤,원희선,최병욱,Lee Sang-Yun,Won Hee-Sun,Choi Byung-U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3 No.4

        자바 언어는 객체지향성, 안전성, 유연성으로 인하여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하나가 되었으며, 자바 가상머신이 제공해주는 메모리 관리기 및 가비지 컬렉터로 인하여 프로그래머는 메모리 관리에 관한 많은 고민이 줄어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용 자바 가상 머신에서 구현된 메모리 관리기 및 가비지 컬렉터에 대해서 제안한다. 메모리 관리기는 힘을 다양한 크기의 셀로 분할한 후 통일한 셀의 집단인 블록 단위로 관리하여 빠른 메모리 할당과 해제가 가능하다. 가비지 컬렉션 방법으로는 3-색상 기반 표기-쓸어담기 가비지 컬렉터를 기반 알고리즘으로 채택하였으며 멀티쓰레드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4-색상 기반 표기-쓸어 담기 가비지 컬렉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메모리 단편화가 발생하지만 객체 생성수가 많아짐에 따라 단편화율이 거의 일정함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Java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most widely-used languages owing to its support of object-oriented concepts, safety, and flexibility. Garbage collection in the Java virtual machine is a core component that relieves application programmers of difficulties related to memory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mory manager and a garbage collector that is implemented on a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The memory manager divide a heap into various-sized cells and manages it as blocks of same-sized cells. So it is possible to allocate and free memory fast. We adopted the 3-color based Mark & Sweep garbage collector as our base algorithm and we propose 4-color based Mark & Sweep garbage collector for supporting multi-threaded program. The proposed garbage collector occurs memory fragmentation but we show through a experiment that the fragmentation ratio is almost fixed according as we create objects continuously.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전자정부 보안연구 -지능형 정부의 빅데이터 사이버보안기술 측면에서-

        이상윤,윤홍주,Lee, Sang-Yun,Yoon, Hong-Joo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2

        본고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사이버보안 인텔리전스 서비스에 대응하는 지능형 정부 연구측면에서 바람직한 미래형 전자정부의 새로운 모습을 찾았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요 특징인 중앙화 및 지능화의 측면에서 빅데이터 사이버보안기술에 주목하여 미래형 전자정부의 전략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안분석기술이 적용되는 보다 고도화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스템 마련을 제시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시스템 구축 측면에서 IT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로그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해 보안 위협 여부를 선제적으로 탐지하는 인공지능과 같은 지능형의 고도화된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 시스템 마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이 구현되면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전자정부 보안에 있어 중앙화 및 집중화된 빅데이터 대상 확대, 증가된 데이터에 따른 처리속도 및 탐지 후의 대응까지 보다 지능화된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desirable form of future e-government in terms of intelligent government research in response to new intelligent cyber security servic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he strategic planning of the future e-government has been contemplated in terms of the centralization and intellectualization which ar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system construction which is applied with security analysis technology using big data through advanced relationship analysis is suggested in the pape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such as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 which anticipatively detects security threat by using log inform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is suggested in the paper. Once the suggested system is materialized,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big data object, allow centralization in terms of e-government securi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oost data process, speed and follow-up response, which allows the system to function anticip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