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직봉사동기와 보수만족도가 경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찰조직 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사빈,이수영 한국인사행정학회 201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3 No.3

        근대적 경찰 조직이 창설된 이후 50여년이 흐른 지금 한국은 오원춘 사건, 유영철 사건 등이 발생하며 경찰의 사회적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 조직 구성원 직무만족을 결정 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경찰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한국을 치안 강국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경찰 조직 구성원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소로 내재적 동기인 공직봉사동기와 외재적 동기인 보수만족도가 도출되었으며, 그 영향력의 상 대적 크기는 공직봉사동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동료와 상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동료의 사회적 지지는 보수만족도와 직무만족도를 조절하고 있었으며 상사의 사회적 지지는 공직 봉사동기와 직무만족도를 조절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경찰 조직 내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장 하기 위해서 동료 및 상사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보수만족도와 같은 외재적 동기보다는 내재적 동 기를 강화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KCI등재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ocial Identities: In the Context of Backlash Phenomenon

        이사빈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Asian Women Vol.35 No.2

        Although gender conflict in Korean society is becoming more serious, as seen in the Gangnam Station murder case of 2016 when a 34-year-old man murdered a woman for no reason, it is hard to pinpoint its characteristics and origins. This study explores gender conflict perception (GCP) in various types of social groups and identifies the determinants of GCP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SI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political ideology to analyze how the two types of social identities interact.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s how socially constructed identities affect GCP. Additionally, by adding interaction terms to the regression model, the effects of various social identities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generate a full understanding of gender conflict. It is found that female respondents are more likely to think of gender conflict as a serious social issue if their political ideology is closer to liberalism. On the other hand, male respondents show the exact opposite results. Specifically, conservative male respondents tend to think of gender conflict in Korean society as serious.

      • KCI등재

        Impact of administrative burden on inappropriate payment error: a blessing or a curse?

        이사빈 한국행정학회 2021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6 No.1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impact of eased surveillance on recipients’ unintended payment error rates and fraud related to the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SNAP). With the adoption of SIMPLIFIED REPORTING as part of the innovative reform of public service, recipients of SNAP only have to report their economic status over an extended period and in a simplified form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burden of SNAP clients. But reducing administrative burden in the social security policy field faces the criticism that i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raud. Despite myths that reduced administrative burden can cause fraudulent behavior,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By running several empirical models including a panel fixed effect model using 11-year state panel data, we conclude that an eased Simplified Reporting does not increase fraudulent behavior, but rather it helps clients to receive relevant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 KCI등재

        정부-시민 간의 접촉 수준에 따른 행정서비스 만족도 분석

        이사빈(Lee, Sabinne)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1

        21세기 들어 한국의 전자정부는 눈이 부시게 발전하였다. 특히 공공 서비스 영역에서 전자정부의 도입은 시민들의 공공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햔편 정부 서비스를 일선(street-level)의 영역에서 시스템 영역으로 변환시켜, 공직자들의 업무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과연 전자정부의 도입이 민원 서비스의 만족도를 증가시켰을까? 전자정부의 도입이 오히려 시민들과 서비스 전달자 간 접촉을 감소시킴으로써 서비스 만족도를 감소시킨 것은 아닐까?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 웹페이지를 방문하여 민원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람들의 만족도와 정부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람들의 민원 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하여 전자정부 효과성과 시민접촉(citizen-contact)의 영향을 재점검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받은 기관의 규모와 응답자가 가지고 있는 정부 신뢰의 정도에 따라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정부 웹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람들보다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람들의 서비스 만족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직접 방문한 경우에도 방문한 기관의 규모가 커지면 통계적 유의미성이 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공 서비스 전달 만족도에 있어 전자정부보다는 시민-공직자 간 접촉을 담보해줄 수 있는 직접 방문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 신뢰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정부 신뢰가 낮은 집단일수록 정부 기관에 직접 방문하였을 때의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정부 신뢰가 높은 집단은 서비스 제공 형태보다는 정부 신뢰 그 자체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공공 서비스 전달에 있어 시민 접촉이 가능한 직접 방문 방식이 오히려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 신뢰의 유의미한 영향력을 탐구함으로써 정부 규모가 커 시민 접촉이 어려워질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여 볼 수 있었다. In the 21st century, Korea"s e-government has developed rapidly.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in the public service area has the positive expectation that it will reduce the workload of public officials by converting the government services from the street-level domain into the system domain, which improves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service. Respectively. But did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ivil service? Does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reduce service satisfaction by reducing contact between citizens and service provider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 visited the government web page and the people who received the service by directly visit public institution, and the effect of citizen-contact (citizen-contact) in order to re-examine the effect. In addition, we will examine how the degree of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institutions and the level of government trust that respondents hav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 visited and serv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web page was higher than those who received the service via an internet. However, even if they visited directly, statistical significance disappeared when the size of visited institutions increased. This is an empirical evidence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direct visit method to secure citizen satisfaction and citizen contact rather than e-government. Lastly, when we divide survey respondents into two groups by the level of government trust, the government trust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service provision typ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irect - visit method which can make citizens" contact with public service delivery can be highly satisfied. In addition, by exploring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government trust, we were a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overnment trust as an alternative to citizen contact, especially when government is difficult to contact citizens.

      • KCI등재

        To Be Ambiguous or Not at All?: The Moderating Effect of Drug Felony on Fraud in the U.S. SNAP

        Lee, Sabinne(이사빈)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2

        미국 연방 정부는 1996 년 Personal Responsibility and Work Opportunity Reconciliation Act 제정과 함께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복지 부패와 만성적 마약 범죄를 줄이기 위하여 세 가지 종류의 정책을 도입하였다. 첫 번째는 life ban policy로 마약 범죄에 한번이라도 연루되면 다시는 복지 정책에 등록할 수 없게 하는 정책이며, 두 번째는 아예 아무런 규제도 가하지 않는 no ban, 마지막 세 번째는 주 정부가 요구하는 일정 규정을 만족하면 복지 정책 수혜를 조건부로 가능하게 하는 modified ban 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는 탈 중앙화와 복지 부패의 관계와 관련하여 세 가지 유형의 정책의 완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재정 분권화 수준이 높을수록 복지 부패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주 정부가 모호한 modified ban을 채택하였을 때 가장 심각하였다. 오히려 규제 정책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심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마약과 연루된 복지 부패를 줄이고, 만성 약물 중독자의 관리를 위하여 모호한 규제 정책을 시도하는 것보다, 오히려 만성 약물 중독자에 대한 직접적 관리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federal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declared a “war on drugs” with the enactment of the Personal Responsibility and Work Opportunity Reconciliation Act of 1996. To reduce fraud, the federal government recommends a life-ban policy under which SNAP recipients cannot enroll in the SNAP for the rest of their lives, whereas state governments want to adopt a modified policy or nothing at all. Under this background, we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ree types of drug-ban policies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ralization and the welfare fraud. Previous literatures revealed that a higher level of decentralization can increase fraud because of its ambiguity. Also, in principal–agent theory, the agents abuse information asymmetry caused by ambiguous and complex regulation. According to our empirical analysis, decentralization increases welfare fraud, especially when the ambiguous modified ban was adopted. Despite the general belief, obscure regulation or fraud prevention policies have caused more fraudulent behavior rather than the absence of such regulations. For these reasons, the U.S. federal government should guarantee free choice of state government and reduce the cost of identifying eligibility under ambiguous regulations. Investing more resources for managing chronic drug addicts can be relevantly reduce welfare fraud than adopting ambiguous regulations.

      • KCI등재

        정책유형에 따른 국회의원의 표결행태 분석 - 18대 국회 전자표결의 영향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박은형,이사빈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2

        In this paper, we are trying to figure out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house of representatitive’s voting behavior by analyzing their voting results. Also we are trying to derive how main factors of voting decisions were changed as contents of the legislative bill were changed. In this sense, we categorized three background variables(constituency, socio-economic, political) and tried logit analysis to figure out which variable affects dependent variable most.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showed accomodative behaviors in distributive polic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distribution policy, it was hard to find the effect of the party. Also in distribution policy, the more the ideology of national assembly member is close to liberal, the more they throw veto to the bill. These resul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studies and it can gives us some insights that voting behavior of Korea’s legislatives are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western countries. We can also find out the effect of voters of each representative’s constituencies. In trade policy, charateristics of each constituency affect house member’s voting behavior. We anticipate representative’s voting behavior would be scrutinized in further studies, and we also expect this paper can be the first step. 이 연구는 국회의원의 본회의 표결 결과를 분석하여 표결행태의 결정요인들을 실증함과 동시에 그 영향요인이 정책내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8대 국회의 주요 법안을 배분정책과 재분배정책(통상정책)으로 분류하고, 의원의 개인적 배경과 출신선거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그리고 소속정당과 이념성향이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법안이 내포하는 정책의 유형별로 의원들의 상이한 표결행태가 나타났다. 먼저 배분정책에 대해서는 정책유형론의 논의에 부합하는 비영합적 표결행태를 보였다. 하지만 재분배정책에 대해 이론과 달리 정당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보수적 성향의 의원이 오히려 찬성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원내정당이 정책정당으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서구이론의 보수-진보 프레임이 우리나라 국회의원의 성향 및 행태와는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지역구 중심산업과 관련되는 통상정책에 대해서는 출신 선거구 특성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는 정책내용에 따라 유권자의 선호가 국회의원의 표결행위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요인임을 함의하는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